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경찰공무원의 양성평등의식 제고를 위한 성역할 태도 형성요인 탐색과 직무태도간의 관계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4-B00113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7월 01일 ~ 2012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권혜림
연구수행기관 가톨릭관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현대사회에 있어서는 남녀평등사상의 보급, 여성의 교육기회 증대, 가사노동의 감소, 여성의 삶의 변화, 취업여성의 증가 등으로 인해 여성의 성역할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 여성은 점차 자신의 시간을 가사 일보다는 원하는 일에 투자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으며, 남성들도 여성의 취업에 점차 허용적이고 스스로도 직장에서의 역할수행과 더불어 남편으로서의 역할, 아버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를 바라는 성향을 보인다고 함. 이는 기성세대에 비해 젊은 세대들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남(Carr, 2002: 112). 즉, 남성은 생계부양자로서, 여성은 가사와 자녀양육 주 책임자로서의 성역할이 비교적 분명하던 과거와 달리 성역할의 경계성이 모호해지고 있음(Maume, 2006: 859).
    ○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아직 경찰직의 현실은 그렇지 못함. 경찰이라는 직무의 특수성을 이유로 여성의 진입이 어려운 대표적인 남성 중심의 직업으로 여겨져 왔고, 그 결과 채용, 승진, 부서 배치에 있어서 남녀의 대우가 달리 이루어지고 있음.
    ○ 경찰업무의 특수한 성격으로 인해 경찰의 공식적인 이미지는 조직적인 계급체계, 권위적인 구조와 함께 결단력, 육체적 강인함, 활동성 등의 남성적 기술들(masculine skills)로 묘사됨. 물론 경찰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이나 갈등해결과 같은 소위 여성적 기술들(faminine skills)도 필수적인 것으로 언급됨(LippeㆍGraumansㆍSevenhuijsen, 2004: 402). 문제는 이러한 업무적 기술들을 남녀 경찰공무원의 업무영역으로 연결시켜 여성경찰관은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업무처리 아니면 여성으로서의 부드러운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민원봉사실이나 교통분야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왔음. 여성경찰 업무영역의 편중성과 제약은 적재적소에 배치를 통해 우수한 업무성과를 발휘할 수 있는 소중한 인적자원을 낭비하는 셈임.
    ○ 결국 경찰에 대한 편향된 이미지와 양극적인 성역할 인식은 경찰조직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부각시키고, 직장에서의 양성평등 구현에 장애물로 작용하게 됨.
    ○ 우리나라는 1945년 8월 15일 국립경찰 출범 이후 민주경찰로서의 경찰환경과 분위기 조성의 일환으로 노약자나 부녀자 보호를 위하여 1946년 7월 1일 여성경찰이 창설되었으며(이황우, 2008: 74), 올해 창설 65주년을 맞이하였음. 2009년 12월 말 기준으로 전체 경찰관 중 6.3%인 여성경찰의 비율은 매년 충원인력의 20-30%를 여성경찰로 선발하여 향후 10%까지 확대할 계획에 있음(경찰청, 2010: 366).
    ○ 최근 들어 여자경찰에 대한 적극적 채용과 인사배치가 과거보다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인 현상이나(김성언, 2006: 139), 남ㆍ녀 평등이라는 단순한 구호아래 단순히 여성경찰관의 양적 증원만을 고려하는 것은 오히려 경찰조직 구성 및 운영의 비효율을 가져오게 되리란 우려가 있음. 시대적 요청에 의해 아무리 많은 수의 여성경찰관이 채용되어도 남성위주 경찰조직 특성과 경찰직무의 특성에 부합하는 여성경찰관의 역할인식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는 한 여성경찰관의 효율적인 역할수행을 기대할 수 없음(김태곤, 2009: 3).
    ○ 여성경찰관에 관한 기존의 연구(박주문, 2001; 전정환, 2006)가 여자경찰 인력의 증대와 업무범위 확대, 승진채용에 중점을 둔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여성경찰의 역할에 대한 조직의 시선과 의식에 기초하여 실질적인 활성화 방안을 고민하고자 함. 특히 서구사회는 물론 아시아 국가인 일본보다도 높은 가부장적, 전통적 가치관과 성역할 태도가 직장에서 여성경찰을 평가함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직무태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려 함.
    ○ 따라서 이 연수의 목적은
    - 첫째, 성역할 태도가 남성위주 문화를 지니고 있는 경찰조직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함. 특히 성별, 연령이나 결혼여부, 재직기간 등에 따라 일정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추측 하에 인구사회학적ㆍ근무환경적 특성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함.
    - 둘째, 남녀경찰관의 성역할 태도의 차이와 그에 따른 직무태도의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함.
    - 셋째, 여성경찰관의 효율적 업무성과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인식과 평가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미래의 다원화된 치안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여자 경찰인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함.
    - 넷째, 궁극적으로 경찰공무원의 남녀평등 인식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여 보다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 연구요약
  • ○ 최근 들어 여성경찰에 대한 적극적 채용과 인사배치가 과거보다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채용에서는 ‘여경채용목표제’를 실시되고 있고, 승진에서는 ‘여경승진목표제’가 추진되고 있음. 직무영역에 있어서도 파출소장, 일선경찰서 방범과장, 정보과 외근배치, 여자형사기동대 창설, 마약전담수사관 등 과거 남성경찰관의 고유영역으로 간주되어 왔던 많은 영역들까지 점차적으로 여성경찰에게 개방되고 있음. 물론 이는 ‘여성의 우대’라는 정치적 목적도 있겠지만 양성평등과 여성경찰의 직무영역 확대라는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한 변화라고 할 수 있음(전정환, 2006: 468).
    ○ 그러나 여전히 경찰에서의 성벽(性壁)은 높고, 여성경찰관을 바라보는 남성경찰관들의 시선이 곱지만은 않은 것이 현실임. 부정적인 평가의 저변에는 우리나라 특유의 전통적 가치관과 성역할 태도가 작용하고 있음.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남성경찰관일수록 여성을 자신의 직장동료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그들과의 갈등을 높게 경험할 가능성이 높음.
    ○ 실제로 일부 남성경찰관들은 여성경찰관의 필요성에 대해 다소 소극적 내지 부정적인 인식을 지니고 있음. 예를 들어 지구대에 단 한 명의 여성경찰관을 위해 화장실과 휴게실을 별도로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어려움과 순찰활동시 오히려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관을 동료로서보다는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 인식하여 업무집중도 저하 등을 이유로 불만을 호소하기도 함(류채형, 2010: 3).
    ○ 반대로 여성경찰관 스스로 남성경찰관과 동등한 역할수행이나 역할 수준 상승을 기피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 여성 특유의 생물학적ㆍ심리적ㆍ유전적 특성에서 비롯된 소극적이고 의존적, 비활동적 특성으로 인해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기를 두려워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남성위주 경찰조직 문화 속에서 역할 향상에 큰 기대를 걸지 않기 때문이기도 함.
    ○ 특히 기혼여성은 직장인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아내, 엄마로서의 역할수행 등 다중역할수행에 따른 부담과 갈등을 경험함(권혜림, 2010: 18). 이러한 역할갈등에 놓이게 되는 경우, 가족이나 직장 또는 스스로의 성역할 태도가 어떠한가에 따라 업무수행의 우선순위가 정리되게 됨. ○ 경찰조직 내에서 여성경찰의 지위와 역할에 대한 정립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때, 비로소 제도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게 될 것임. 특히 같은 조직의 구성원인 남성경찰관이 여성경찰의 양적 비중과 역할확대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수긍이 바탕이 되어야 동료의식 형성 및 효율적인 인적자원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 결국 여성경찰에 대한 제도적ㆍ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남성경찰관의 인식변화, 근대적 성역할 태도에 의한 감성적 지원 등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 이러한 노력들은 경찰공무원의 직무태도 개선과 조직성과 증대로의 결과로 연결될 것임.
    ○ 최근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미국, 스웨덴, 일본에 비해 더 높은 수준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성역할 태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백주희, 2009). 성,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취업유무를 통제한 상태에서 한국을 준거집단으로 높고 보았을 때 성역할 태도에 있어서 미국, 스웨덴, 일본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임(김재엽ㆍ김희진ㆍ최장원, 2010: 40).
    ○ 이렇듯 우리나라는 서구사회는 물론 같은 아시아 국가인 일본보다도 높은 가부장적ㆍ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다는 사실은 아이러니 함.
    ○ 경찰공무원의 성역할 태도를 연구하고자 한 배경에는 국내의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실제로 경찰공무원과 경찰조직이 여성과 남성의 성적 역할을 어떻게 차별받는지를 살펴보고자 함.
    ○ 따라서 남녀 경찰관의 성역할 태도의 차이와 전통적 성역할 태도와 개인적ㆍ근무환경적 특성과의 관계,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올바른 직장분위기와 조직성과 제고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것임.
    ○ 경찰공무원의 성역할 태도는 성별과 나이, 교육수준, 결혼여부 등의 개인적 특성과 근무부서, 근무기관, 근무방식, 재직기간 등의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됨.
    ○ 또한 성역할 태도는 경찰공무원의 직무태도에는 일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과의 관련성도 파악하고자 함.
    ○ 연구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면접, 실증조사를 결합하여 분석에 활용하고자 함.
  • 한글키워드
  • 직무태도,성역할 태도,양성평등의식,동료애,경찰공무원
  • 영문키워드
  • Gender role attitude,Gender equality,Police Officer,comradeship,Job attitud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사회는 남녀의 성역할 경계성이 모호해져가고 있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남성위주의 보수적ㆍ전통적 성격이 강한 경찰조직에서 여성은 채용부터 승진, 부서 배치까지 그들의 능력만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성경찰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저변에는 우리나라 특유의 전통적 가치관과 성역할 태도가 작용하고 있다.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남성경찰관일수록 여성을 자신의 직장동료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그들과의 갈등을 높게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성역할 태도가 남성위주 문화를 지니고 있는 경찰조직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실증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할당표본추출을 통해 1,1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총 754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전통적 성역할 태도가 높았고, 미혼보다는 기혼자들의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평등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비간부급이 간부급에 비해 좀 더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였으며, 내근직 경찰관과 비교대근무를 하는 경찰공무원이 외근직과 교대근무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재직기간, 계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자보다는 남자가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계급이 높을수록 평등적 성역할 태도를 지녔으며, 재직기간이 오래된 경찰공무원일수록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역할 태도가 직무태도, 직장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등의 직무태도에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경찰공무원일수록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영문
  • Gender role attitude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in social science disciplines including psychology, sociology, economics, and organization studies.
    This study explored the Gender role attitude and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The Police officers’ Gender role attitude & Job Attitude has been measured, and then how Police officers’ Gender role attitude affects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has been examined.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a theoretical basis to assert the need of police officer‘s formative causes of gender role attitu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attitude.
    The findings show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Police officers’ Gender role attitude and Police Officer's Job Attitude. So,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for job attitude increase plan for the police.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based largely on the Gender role attitude model. Independent variable is 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environment and Dependent variable is Gender role attitude. And also, Independent variable is Gender role attitude and Dependent variable is comprises 2 categories; job attitude(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in the workplace(The conflict of supervisor's and The conflict of peer's).
    1,100 police officers from korea was selected as subjects and 812 police officers among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and used 754 police officers' response in actual analysis. Her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crosstabs, anova and frequency are used in data-processing with SPSS for Windows 18.0.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사회는 남녀의 성역할 경계성이 모호해져가고 있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남성위주의 보수적ㆍ전통적 성격이 강한 경찰조직에서 여성은 채용부터 승진, 부서 배치까지 그들의 능력만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성경찰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의 저변에는 우리나라 특유의 전통적 가치관과 성역할 태도가 작용하고 있다.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남성경찰관일수록 여성을 자신의 직장동료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하고, 그들과의 갈등을 높게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성역할 태도가 남성위주 문화를 지니고 있는 경찰조직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실증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할당표본추출을 통해 1,10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총 754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남성이 여성보다 전통적 성역할 태도가 높았고, 미혼보다는 기혼자들의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평등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비간부급이 간부급에 비해 좀 더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였으며, 내근직 경찰관과 비교대근무를 하는 경찰공무원이 외근직과 교대근무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재직기간, 계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자보다는 남자가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계급이 높을수록 평등적 성역할 태도를 지녔으며, 재직기간이 오래된 경찰공무원일수록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역할 태도가 직무태도, 직장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등의 직무태도에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경찰공무원일수록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이 연구에서는 성역할 태도가 경찰조직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성역할 태도의 차이 및 성역할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성역할 태도가 직무태도와 직장 내 대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역할 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자경찰관이 여자경찰공무원에 비해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었으며, 미혼보다는 기혼자들의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령이 낮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평등적인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무환경적 특성에 따른 차이는 비간부급이 간부급에 비해 좀 더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였으며, 내근직 경찰관과 비교대근무를 하는 경찰공무원이 외근직과 교대근무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평등한 성역할 태도를 보였다.
    둘째, 성역할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성별, 재직기간, 계급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자보다는 남자가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니고 있으며, 계급이 높을수록 평등적 성역할 태도를 지녔으며, 재직기간이 오래된 경찰공무원일수록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역할 태도가 직무태도, 직장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등의 직무태도에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에 전통적 성역할 태도를 지닌 경찰공무원일수록 상사 및 동료와의 관계에서 일정한 갈등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 활용방안
    남성위주의 성격이 강한 경찰조직에서 일정 수의 여성경찰공무원이 함께 근무하고 있으며, 향후 그 양적ㆍ질적 향상이 기대되어지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남녀경찰공무원의 성역할 태도를 기반으로 한 서로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연구는 의미가 크다고 본다. 또한 성역할 태도와 직무태도와의 관련성 확인을 시도함으로서 궁극적으로 경찰조직의 양성평등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후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활용방안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경찰조직 내에서도 양성평등 교육이 실시되고는 있으나, 소극적ㆍ형식적인 교육의 효과성은 크게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과 정책 등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기 위해서라도 경찰관 개개인의 양성평등 인식수준을 조직차원에서 파악하고, 실질적으로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 색인어
  • 성역할 태도, 전통적/근대적 성역할 태도, 직장 내 대인관계, 직무태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