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베이즈주의: 합리성으로부터 객관성에로의 여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인문저술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0-812-A00048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영의
연구수행기관 강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저술의 목표는 과학 방법론으로서의 베이즈주의(Bayesianism)가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해되고 있는 베이즈주의는 주관적 베이즈주의(subjective Bayesianism)를 의미하는 데(이하 베이즈주의라고 함) 확률을 개인이 특정 명제에 대해 갖는 신념도라고 규정한다. 베이즈적 합리성은 확률에 대한 이러한 주관적 해석을 바탕으로 정의된다. 베이즈주의의 근본 문제는 이렇게 정의된 합리성이 최소한의 규제만을 받는다는 데 있다. 즉 믿음 체계는 확률론의 공리 체계를 준수하고 일관성을 범하지 않는 한 합리적이라고 규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베이즈적 합리성 개념이 과연 경험적 영역을 다루는 과학적 추론 및 과학 방법론에 적절히 적용될 수 있는지는 의심스럽다. 본 저술은 베이즈주의가 합리성과 객관성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베이즈주의는 입증과 같은 과학적 추론 영역에 성공적으로 적용되어 왔다고 평가되고 있는데, 그러한 성공은 매우 이상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과학적 방법과 그 산물인 과학적 지식은 그러한 이상적 조건에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태반이고 더구나 과학적 판단의 최종 주체가 개별 과학자가 아니라 과학자 사회라는 점을 감안하면 주관적 합리성만으로는 과학적 객관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고 보아야 한다. 본 연구자는 과학 방법론으로서 베이즈주의의 성공 여부는 과학적 객관성을 어느 정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보고 그 가능성을 최대한 추구할 것이다.
  • 기대효과
  • 일반적으로 베이즈주의는 과학의 객관성을 적절히 설명할 수 없다는 비판이 있다. 본 저술은 그러한 비관적 결론은 성급한 것이며 베이즈주의는 충분히 주관적인 합리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극복하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본 저술이 시도하는 이러한 작업은 한편으로는 객관성에 대한 베이즈적 분석을 제공함으로써 베이즈주의의 적용 영역을 확장하는 결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과학의 객관성에 대한 최근의 비판적 입장들에 대해 명료한 대답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저술은 베이즈주의와 확률적 추리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성화되는 데 기여할 수 있고,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재로 활용될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저술 과정은 다음의 세 단계로 진행될 것이다.
    첫째 단계: 베이즈적 합리성을 규정하고 그러한 합리성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틀을 검토한다.
    둘째 단계: 베이즈적 합리성의 내적 문제와 그것에 대한 외적 도전들을 검토한다.
    셋째 단계: 합리성의 문제들을 베이즈주의 이론적 틀 안에서 해결함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전통적 과학관에 따르면 과학은 실재에 대한 객관적 이론을 산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공하며, 과학자들은 그러한 방법론을 장기적으로 적절히 적용하여 실재에 대한 참된 이해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미에서의 과학의 객관성은 논리실증주의 이후로 쿤(Kuhn), 핸슨(Hanson). 파이어아벤드(Feyerabend) 및 사회구성주의자들에 의해 심각한 도전을 받아왔다. 본 저술에서 이해되는 객관성은 이러한 전통적 의미의 객관성이 아니라 과학자 사회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간주관적 합의를 통해 확보되는 객관성이다.

    본 저술은 3부로 구성될 예정이다. 1부에서는 베이즈적 합리성(1장), 베이즈적 합리성을 뒷바침하는 이론적 정치에 대한 분석(2장)이 다루어 진다. 2부는 베이즈적 입증과 의사결정(3장), 베이즈적 합리성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도전(4장), 객관성에 대한 도전(5장)이 다루어진다.
    3부에서는 객관성에로의 베이즈적 여정이 제시될 것이다. 6장에서는 객관적 방법이 논의되고 7장에서는 사회적 합의와 증언을 중심으로 하는 두번째 여정이 제안된다.
  • 한글키워드
  • 뉴컴의 문제,발견술과 편향,베이즈적 의사결정,베이즈 정리,수렴공리,베이즈적 합리성,사회인식론,증언,베이즈 망,주관적 베이즈주의,객관적 베이즈주의,제한된 합리성,오래된 증거의 문제,베이즈적 입증,더치북 정리,진화심리학
  • 영문키워드
  • Baysian confirmation,Bayes theorem,convergence theorem,Bayesian rationality,social epistemology,testimony,Byes network,subjective Bayesianism,objective bayesianism,bounded rationality,evolutionary psychology,heuristics and biases,Newcombs problem,Bayesian decision theory,Dutch book argument,old evidence problem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