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기록문화재를 집대성하여 연구 자료집을 출간하고 나아가 당대의 문화를 심층적으로 밝히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를 연구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이러한 기록문화재들의 자료집성과 이의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 ...
모든 기록문화재를 집대성하여 연구 자료집을 출간하고 나아가 당대의 문화를 심층적으로 밝히고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작업은 한국 문화를 연구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이러한 기록문화재들의 자료집성과 이의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첫째 우리나라 문화의 중심이자 꽃으로 불리는 미술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과 오랫동안 소외되었던 연구 분야인 조선시대 문화 연구의 중심을 바로 잡는다는 뜻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그동안 고대미술 연구는 불교미술 연구가 중심이었지만 조선시대는 일반회화와 도자 연구에 집중된 감이 있으므로 이 모두는 함께 아우를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이들은 대부분 조성기와 명문을 갖고 있기 때문에 조성사상이나 인문, 사회적 배경, 양식이나 편년, 도상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기초적이고도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조선시대 기록 문화재들의 자료집성과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조선시대 문화를 복원하는데 가장 크게 공헌할 수 있는 분야가 될 것이다. 둘째 조선시대 조각사의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근래 많이 조사 발견되는 복장품의 조성발원문이나 불상의 명문에서 조성사상이나 불상 명칭, 조성배경이나 조성연대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얻어 이를 해석하고 분석하며 각 도상의 특징이나 조형사상, 그리고 의미 등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이 도상해석학적 연구인 것이다. 특히 임란 후 불교의 통폐합이 극적으로 이루어져 이상의 사회상의 반영은 물론 통불교의 사상이 반영된 삼신삼세불상이나 삼장보살상 등이 크게 대두되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고격한 품격보다 친근미 넘치는 편안한 얼굴과 신체, 그리고 여기에 알맞은 수인과 자세 등 도상특징이 반영되므로 조선 후반기 불상의 도상해석학적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셋째 조선시대 불화의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불상 보다 훨씬 용이한 편이다. 불화마다 화기가 거의 대부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당해 불화의 모든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셈이다. 이들은 시대별로 체계화시키고 항목별로 분류한다면 전체 불교회화사를 유형별, 시대 편년별, 양식별, 작가 유파별, 시주계층별의 변천상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동시에 도상해석학적으로도 연구하는 과정이 잘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조선시대 공예의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범종이나 금고 그리고 사리기 등에 새겨진 조성발원문이 상당수 남아있어서 조성연대, 조성배경, 조성 시주나 화주, 조성장인의 유파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조선시대 건축사의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그동안 조선시대 건물의 해체수리가 상당히 이루어졌으므로 건물 창건과 수리의 정보가 모두 담긴 상량문(上樑文)이 많이 축적되어 있어서 이를 정확히 해석하고 분석하며 건물의 형식 및 양식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연구한다면 보다 명확히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조선 건축의 개성과 특징이 읽혀질 때 조선시대 미술사는 물론 조선시대 문화의 특징을 정확히 밝혀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이상의 기록문화재의 도상해석학적 연구를 통해서 조선시대 불교사의 체계적, 심층적 연구를 이룰 수 있다. 현재 한국 불교사연구는 불교사 자료의 부족으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연구는 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기록문화재를 심도있게 분석한다면 사원의 구조나 조성사상, 사원 임원 조직의 명칭이나 제도변천, 사원의 시주나 화주 계층과 그 변화과정 등을 시대별 재료별로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조선시대 불교사연구는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문화재의 기록인 화기와 조성기 및 발원문, 명문과 탑 사리기 및 건축상량문 등을 발굴·수집·조사·해석하고 이를 목록화하며, 이들을 집대성하여 ‘기록문화재 연구 자료집’을 발간하고, 아울러 분야별로 상세하게 그 조형의지와 도상 해석학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여 ‘도상해석학적 조선시대 미술 연구’를 발간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삼고자 한다.
기대효과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와 연구자료집의 결과물은 여러면에서 많은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이 결과물은 한국 중 근세에 해당되는 조선시대 문화의 큰 기둥을 바로 세우는데 기본 성과물이 될것이며, 나아가 이결과물은 여러 분야(학문, ...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와 연구자료집의 결과물은 여러면에서 많은 효과를 도출해 낼 수 있다. 이 결과물은 한국 중 근세에 해당되는 조선시대 문화의 큰 기둥을 바로 세우는데 기본 성과물이 될것이며, 나아가 이결과물은 여러 분야(학문, 사회, 교육)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학문적 기대효과 첫째, 이 결과물은 조선시대 문화연구의 기본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통합적 연구방법론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와 연구자료집의 결과물은 이런 조선시대 문화 연구의 기둥이 되어 미술사는 물론 역사학, 불교사, 서지 및 서예사분야 등 학제간의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이것이 기폭제가 되어 조선시대 문화를 총체적이고 통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삼을 수 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이 결과물은 특히 조선시대 미술연구의 방법론을 획기적으로 변화시켜 연구의 수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 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및 연구 자료집의 결과물은 조선 문화와 명(明), 청(淸) 등 중국의 문화나 일본문화와의 동질성과 차별성을 분명히 밝힐 수 있어 조선 문화의 국제적 보편성과 개성을 찾아낼 수 있는 학문적 테마라 할 수 있다. 이른바 한국학의 국제화, 즉 글로벌화라는 오늘날 한국 학계의 정체성과도 맥이 닿는 면이라 하겠으며 나아가 이를 데이터 베이스(DB) 구축을 통하여 국내 ․외에서 후속 연구를 지속적으로 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기대효과 첫째, 이 연구 자료집과 연구 결과는 한국학 연구성과를 조직적으로 문화콘텐츠 사업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구실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 특히 시각적인 미술 문화의 연구는 문화콘텐츠 사업에 가장 잘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한국 문화 가운데 가장 한국적인 조선시대 문화의 연구는 가장 글로벌화한 문화콘텐츠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갖춘 문화콘텐츠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공동연구원들이 지도 강의하는 사회 프로그램인 사회지도자 교육 또는 박물관 대학, 신문, 방송 등에서 집중적으로 강의 지도한다면 사회 일반인들의 관심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적 기대효과와 인재 육성 방안 첫째, 이 연구(논문·자료집)에 참가하는 연구원들은 물론 학부 및 대학원생들을 전문화시킴으로써 석·박사논문을 제출하는 연구자를 크게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국내외 한국학 교육과정 연구자들의 연구에 업그레이드된 성과물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조선 문화연구를 한 차원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방별로 우리나라 문화유산, 특히 기록문화재를 발굴·수집하고 해제·분석·해석함으로써 각 지방의 문화적 특성 연구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지방문화의 차별성과 동질성을 파악하며 지방문화상품의 특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조선시대 기록문화재의 자료집성과 이의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한 조선시대 미술의 심층적,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넓게는 조선시대문화의 근간을 세우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아울러 조선시대 문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미술 연구의 기본 틀을 마련한다는데 큰 ...
조선시대 기록문화재의 자료집성과 이의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한 조선시대 미술의 심층적, 도상해석학적 연구는 넓게는 조선시대문화의 근간을 세우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아울러 조선시대 문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미술 연구의 기본 틀을 마련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조각의 자료집성과 도상해석학적 연구 결과는 조각 예술 연구의 발전은 물론 조선시대 문화 전반 나아가 포목(布木), 지철(紙鐵)의 활용 등 산업과 기술연구에 이르기까지 다각도로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조선시대 회화의 자료 집성과 심층적 연구는 조각과 더불어 회화예술 연구의 단계를 크게 업그레이드 할 수 있고, 나아가 인접학문 연구에까지 이바지할 수 있다. 조선시대 공예의 자료집성과 도상해석학적 연구 결과는 금속, 도자, 목공예, 예술 연구의 기본 토대를 바로 세울 수 잇고 해당 분야의 산업기술에도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조선시대 건축의 자료집성과 연구의 결과는 건축예술분야의 획기적 업적이 될 수 있고 나아가 조선시대 건축 토목 기술의 잣대를 세울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조선시대 불교 자료집성과 연구 결과는 조선시대 불교의 자료정리와 집성 그리고 조선시대 문화의 근본적 배경 사상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글키워드
건축,조선시대 미술,명문,공예,회화,조각,문화콘텐츠,조선시대문화,기록 문화재,상량문,조성기,발원문,문화사,도상학적 연구
영문키워드
Architectural documents,Inscriptions,Document of production process,Document of production background,History of culture,Iconological Study,Arts of Joseon,architecture,Arts and crafts,Painting,Sculpture,Documentary Heritage,Cultural Contents,Culture of Jo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