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구글어스를 활용한 학습모듈의 개발과 효과에 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B00751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종원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구글어스와 같은 ‘Virtual Globe’를 활용한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 및 의의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Virtual Globe(예, 구글어스 등)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2) 중등학교의 지리수업을 위한 ‘Virtual Globe 활용 교수학습 모듈’의 개발
    3) ‘Virtual Globe 활용 교수학습 모듈’의 현장 적용 및 평가

    위의 단계별 과제를 통해 아래의 두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1) Virtual Globe(예, 구글어스 등) 및 GPS를 실제 데이터의 획득, 분석, 활용 과정은 학생들의 지리 학습(예, 문제해결, 공간적 사고 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2) 동료 학생들과의 협동을 통한 문제(과제) 해결이 학생들의 지리 학습(예, 문제해결, 공간적 사고 등)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 기대효과
  • 공간정보기술(geo-spatial technology)은 지리교육 분야뿐만 아니라 과학교육, 교육공학 분야에서 폭넓게 연구되고 있는 주제이다. 미국에서 해마다 개최되는 ESRI's GIS User Conference에서는 해마다 수천 명의 참여자가 본 연구와 관련 있는 주제를 발표하고, 정보를 얻는다. 그 동안 'GIS 활용 지리교육의 효과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GIS를 활용하지 않는다'(Baker and Bednarz, 2003)는 주장이 있어 왔다. Virtual Globe 활용 교육의 효과에 대한 과학적, 객관적 평가가 필요한 만큼 본 연구는 관련 분야 연구를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쉽게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만큼 그 적용 및 활용 방안은 명확하다. 단순히 Virtual Globe를 위치를 찾거나 시각화의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지리적 탐구 및 분석 과정을 초, 중등학교의 학생들 및 교사들과 공유함으로써 현장 지리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개발된 수업 모듈은 교사 대상 ‘GIS 활용 교육 연수’를 통해 확산시킬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공간정보기술(geo-spatial technology) 분야의 성장 속도에 비해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은 계속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Gewin, 2004). 초, 중등학교 급에서 전문적인 GIS 관련 기술을 접함으로써 지리에 대한 인식은 물론, 향후 학생들의 직업 선택에도 긍정적인 영향(Bednarz, 2000)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구글어스가 갖는 GIS적 속성으로 인해 일찍이 지리교육 분야에서는 구글어스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이러한 높은 기대에는 여전히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GIS 프로그램(예, ArcView 등)을 활용한 지리교육에 대한 실망과 구글어스의 대중적 인기에 영향을 받은 바가 크다. 구글어스를 활용한 수업 사례들이 일화적으로(anecdotal) 보고되고 있기는 하지만, 높은 기대에 비해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활용 가능한 수업모듈이나 성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구글어스와 같은 ‘Virtual Globe’를 활용한 학습모듈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 및 의의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과제는 다음과 같다.
    1) Virtual Globe(예, 구글어스 등)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델의 개발
    2) 중등학교의 지리수업을 위한 ‘Virtual Globe 활용 교수학습 모듈’의 개발
    3) ‘Virtual Globe 활용 교수학습 모듈’의 현장 적용 및 평가

    1) Virtual Globe 활용 교수-학습 모듈 개발을 위한 디자인 원칙은 모듈 개발의 설계도 역할과 더불어 모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 GIS 및 공간정보기술(geo-spatial technology) 기반 교육, 멀티미디어 활용 교육, 멀티미디어의 구성주의적 분석에 대한 검토를 통해 종합할 수 있는 디자인 원칙은 ‘구성주의와 테크놀로지’ 측면, ‘문제중심학습’과 ‘실제적 활동’ 측면, ‘공간적 사고’ 측면으로 정리할 수 있다.

    2) 본 연구에서 개발할 Virtual Globe 활용 교수-학습 모듈은 ‘Google Earth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듈’과 ‘Google Earth와 GPS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듈’, ‘AEJEE를 활용한 Current Quakes 모듈’의 세 가지이다. 단, AEJEE를 활용한 ‘Current Quakes 모듈’의 경우 기존의 모형이 있기 때문에 한국의 교실환경 및 교육과정에 맞춰 변형해서 활용하게 된다.

    3) 교수-학습 모듈의 평가 방안: 세 모듈의 현장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발성사고법(think aloud)’과 ‘포커스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발성사고법은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머릿속에 사고하는 것을 그대로 구어로 표현하게 하고 그 결과로 나온 프로토콜을 분석하는 방법이다(Van Someren et al., 1994). 실험 과정은 비디오로 녹화되며, 실험참가자들의 모든 구어는 녹음, 전사된다. 실험 학생들의 사고 과정은 문제해결의 측면과 공간적 사고의 측면에서 분석되며, 분석틀로는 ‘Montaque and Applegate(1993)의 문제해결과정 코딩시스템’과 ‘Gersmehl and Gersmehl(2006)의 공간적 사고 분류틀’이 활용될 것이다(표 3, 표 4). 학생들의 사고 중 해당 ‘코딩(영역)’과 일치하는 부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분석하게 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주요한 모듈 평가 방법은 ‘포커스그룹(Focus group) 인터뷰’와 NVivo를 활용한 질적 자료 분석이다.

    본 연구는 학교에서 쉽게 활용 가능한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만큼 그 적용 및 활용 방안은 명확하다. 단순히 Virtual Globe를 위치를 찾거나 시각화의 도구로 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지리적 탐구 및 분석 과정을 초, 중등학교의 학생들 및 교사들과 공유함으로써 현장 지리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 이미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이지만 다음과 같은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이점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글어스 등 GIS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듈을 개발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공간정보기술(geo-spatial technology)을 ‘지리’를 더 잘하기 위한 수단(예, ‘GIS를 통해 지리를 배우는 학습’)으로 보고 있다면, 본 연구는 ‘GIS를 매개로 동료,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리적 능력, 문제해결, 비판적 사고 등을 향상시키는 학습'의 관점을 지지한다. 둘째, 초, 중등학교에서 구글어스나 Virtual Globe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듈이 개발되고 있지만, 실제로 참여 학생들이 어떤 인지적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분석은 미흡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모듈을 수행하는 동안 학생들이 경험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인지적 사고 과정을 분석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모듈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및 공간적 사고 능력의 활용을 요구하는지 평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발성연구법(think aloud)’ 및 ‘NVivo를 활용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는 관련 연구 분야의 차별적인 방법이 된다.
  • 한글키워드
  • GPS,공간적 사고,문제중심학습,NVivo,AEJEE,World Wind,구글어스,디자인 원칙,교수-학습 모듈,발성사고법,포커스 그룹 인터뷰,실제적 활동
  • 영문키워드
  • authentic activity,GPS,AEJEE,World Wind,Google Earth,spatial thinking,focus group interview,NVivo,design principles,Teaching-learning module,think aloud,problem-based learn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구글어스, GPS, 지오웹 등 공간정보기술은 과학기술 뿐 아니라 일상생활 분야에서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동안 구글어스, GPS, 지오웹 등 공간정보기술을 수업에 활용하면 학교교육의 질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라는 많은 주장이 있었지만, 학교 수업에서 공간정보기술이 활용되는 빈도나 방식은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했을 때 수업에서 나타나는 변화들을 과학적으로 보여주는 연구가 부족한 점도 한 가지 원인이 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정보기술에 기반한 수업자료를 활용할 경우 나타나는 수업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구글어스, GPS, 지오웹 등에 기한한 4편의 수업자료가 개발되었으며, 교사연수를 통해 학교로 확산되었다. 개발된 수업자료는 학생들이 직접 공간정보기술이라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실제와 같은 문제를 해결해 보는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수업자료는 연구기간 동안 16개 학교에서 적용되었다. 수업자료의 활용이 교실수업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보면, 우선 수업은 체험, 참여, 문제해결이 강조된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공간정보기술은 평소 학생들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는 측면에서 교육적 가치가 발견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경우 테크놀로지의 활용에 익숙한 세대이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기술)에 쉽게 적응했으며, 협업을 통해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수의 학술대회 및 전문 학술지에 발표되었으며, 개발된 수업자료는 정규수업은 물론 동아리 활동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의 콘텐츠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 영문
  • Recently geospatial technologies such as Google Earth, GPS, Geo-Web, etc. have been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as well as scientific research. Although it has been suggested that integrating geospatial technologies into classrooms will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enormously, the usage of geospatial technologies in classrooms hasn’t been satisfactory at all. One of reasons to the unsatisfactory usage is a lack of scientific research that can show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caused by geospatial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geospatial technologies in classroom setting. For this purpose, four teaching materials using geospatial technologies including Google Earth, GPS, and web-based GIS were developed and diffused through several teacher training workshops. The teaching materials were designed to ask students to solve authentic problems using geospatial technologies. The materials were used in 16 schools and data were collected. The use of the geospatial technologies has brought some positive changes in classroom including creation of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emphasizing student participation, hand-on experiences, authentic problem solving, etc.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geospatial technologies can help students solve problems that otherwise they might not solve. Since students today are more technologically adapted, they were so easily adapted to new technologies. The four teaching materials using geospatial technologies can be valuable resources for club activities and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s well as regular class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글어스, GPS, 지오웹 등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고, 이를 학교현장에 적용함으로서 교실수업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1차 년도에는 공간정보기술 기반의 수업자료를 개발하고, 교사연수를 통해 수업자료를 검증하고 확산하는데 주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 기반의 <강원도에 풍력발전단지를 세우자!>, GIS 프로그램 기반의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가?>, GPS 기반의 <GPS 보물찾기>, 지오웹 기반의 <입지 컨설턴트가 되다!> 등 4편의 수업자료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수업자료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교사연수에서 검증되고, 확산되었다. 또한, 개발된 수업자료를 교실수업에 적용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도구 또한 개발되었다. 2차년도에는 주로 개발된 수업자료를 현장에 적용하고, 변화를 평가하는데 주목하였다. 개발된 수업자료는 총 21회의 현장적용 과정을 거쳤으며, 일부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녹화, 분석하기도 했다. 수업자료의 현장 적용 결과를 보면, 대부분의 교사들은 수업자료를 거의 변형하지 않고 사용하거나(채택), 자신의 교실상황에 맞춰 상당히 변형해서 사용하는(조정) 특징을 보였다.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는 문제이해, 해결책 수립, 해결책 실행(자료조작/탐색, 자료분석/판단, 정보의 종합/추론/반성),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관리/평가, 문제해결 전반에 대한 평가 등의 단계가 골고루 관찰되었다. 또한, 수업자료에 활용된 공간정보기술은 그러한 기술이 없었다면 해결하기 어려웠을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성과는 공간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이 어떻게 교사의 수업을,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 및 문제해결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개발된 수업자료는 동아리 활동, 창의적체험활동 등의 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구글어스, GPS, GIS 등이 공간정보기술이 학교교육에 활용되면 학교교육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줄 것이라는 많은 주장과 연구에도 불구하고, 학교교육에서 공간정보기술의 활용은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여러가지 원인이 있지만, 공간정보기술이 학교수업에서 활용되었을 때 어떠한 변화가 나타날 것인지를 과학적이고, 논리적으로 밝히려는 연구가 부족했던 점도 주요한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수업자료의 개발 - 교사연수를 통한 자료의 확산 - 교실 적용을 통한 수업변화의 평가 등 일련의 과정을 통해 공간정보기술의 교육적 활용이 가져올 수 있는 교사들의 수업 변화, 학생들의 상호작용 및 문제해결 변화 등을 과학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의 성과는 다양한 학술대회 및 학술지를 통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4편의 공간정보기술 기반의 수업자료는 최근에 주목받고 있는 학습자의 참여나 체험을 강조하는 수업, 혹은 동아리 활동, 창의적 체험활동의 콘텐츠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색인어
  • 공간정보기술, 교수학습자료, GIS, GPS, 구글어스, 지오웹, 문제기반학습, 목적기반시나리오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