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언어환경 결핍요인 유형에 따른 아동의 어휘 발달 양상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27-B00542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2 년 (2010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영태
연구수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연구 목표

    ♦ 우리 사회는 결혼이민자나 외국인 노동자의 자녀, 또한 장애가족의 자녀들이 모두 어우려져 살아가는 통합사회이다. 이들 자녀들 중에는 단순히 불충분한 언어환경으로 인하여 어휘발달, 나아가 언어 및 의사소통의 문제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 아동이 어휘습득을 하는 데는 언어환경이 매우 중요하다. 어휘발달 지연을 나타내는 아동들 중에는 기질적으로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지만, 결핍된 언어환경만으로도 어휘발달의 지연을 나타내는 아동들도 있다.

    ♦ 이러한 결핍된 언어환경에 의한 어휘발달 지연은 다른 사람과의 원활한 의사소통 뿐 아니라 학습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문헌에서 언급되는 주요 환경요인들로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 한국어가 미숙한 결혼이민자 부모 가정환경, 장애부모 가정환경 등이 있다(Hoff-Ginsberg & Naigles, 2002; Malacrida, 2007; Kohnert et al., 2005 등).

    ♦ 그러나 이들 요인들이 아동의 어휘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서로 다른 결핍환경에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환경의 특성에 따라 어떤 어휘형태에 더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불충분한” 언어환경을 유형별로 나누어서 그러한 환경의 아동들의 어휘능력을 다양하게 분석함으로써, 결핍된 언어환경에서 자랄 수밖에 없는 아동들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촉진하는 데 필요한 학문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하여 연구를 두 단계로 나누어, 우선 (1) 언어결핍환경(다문화가정 및 시각, 청각, 지적장애 부모 가정)에 따라 아동의 어휘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2) 연령에 따라 어휘발달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 학문적 기여도
    ▘어휘발달 문제를 초래하는 언어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적 틀을 제시한다.
    ▘부모의 장애유형에 따른 아동의 어휘발달 및 습득책략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결혼이민자 가정 아동들의 차별적인 어휘발달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소외계층 아동들의 어휘문제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장애부모가정 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에 대한 후속연구를 활성화 한다.
    ▘우리나라의 특이한 다문화언어 환경이 아동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제적 비교연구를 활성화 한다.

    ♦ 사회ㆍ경제적 기여도:
    ▘장애부모나 결혼이민자 가정, 또한 저소득층 아동들의 어휘발달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언어발달 위험군 아동들을 조기에 지원해 줄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언어환경 특성에 따른 지원의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시킨다.
    ▘다문화 및 장애 가정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킨다.

    2. 기대효과

    ♦ 교육적 기여도:
    ▘집단 간 차이가 나는 세부 어휘능력을 밝힘으로써 어휘 촉진 또는 지원의 방향을 제시한다.
    ▘연령에 따라 일반 아동과의 격차가 좁혀지는 어휘와 심해지는 어휘특성을 분석하여 연령에 따른 언어촉진 또는 지원 전략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밝혀진 대상 아동들의 취약 어휘를 특수교육 및 언어치료 지원 내용에 활용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3. 연구 요약

    ♦ 본 연구는 구체적인 어휘의 이해 및 사용능력에 있어서 언어결핍환경 아동과 일반 아동, 또한 결핍환경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어휘촉진 또는 지원의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 단계로 나누어, 우선 (1) 언어결핍환경에 따라 아동의 어휘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2) 연령에 따라 어휘발달의 양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1차년도

    ▘연구목적:
    ① 언어환경 유형(장애 부모, 다문화 부모)에 따른 저학년 아동집단과 사회경제적 수준을 맞춘 통제집단 사이에는 어휘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② 장애부모의 장애유형(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적장애)에 따라 아동의 어휘능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발달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연구대상: (1) 국제결혼 다문화가정의 자녀 20-30명과 (2) 장애부모를 둔 아동 20-30명, 그리고 통제집단으로 생활연령, 동작성 지능지수 및 사회경제적 지위(SES)를 일치시킨 (3) 저소득 일반가정 자녀 20-30명과 (4) 중산층의 일반가정 자녀 20-30명, 총 80-120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내용: 표준화된 표현어휘검사와 수용어휘검사를 통하여 각 언어환경결핍 아동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전반적 어휘능력 및 품사사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 나아가 심층 어휘반응검사를 통하여 장애부모의 장애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어휘능력(동작/감정/지각인지 어휘 등)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한다. 또한, 오류유형 분석을 통하여 집단간 어휘선택의 특성을 고찰한다.

    ▘연구결과 활용: 집단간 차이가 나는 세부 어휘능력을 밝힘으로써 어휘 촉진 또는 지원의 방향을 제시한다.

    ♦ 2차년도

    ▘연구목적: 일반 언어환경 아동들에 비하여 언어결핍환경 아동들의 어휘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그 차이가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한다.

    ▘연구대상: 1차년도 연구대상 아동들 중 일반아동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의 아동 10명

    ▘연구내용: 1차년도에 분석된 대상 아동들의 자료와 10-12개월 후에 추가로 수집된 자료를 비모수통계를 통하여 그 차이를 분석한다. 또한 역추적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통해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일반아동과의 차이가 좁혀지거나 더 심해지는 어휘의 형태를 질적으로 분석한다.

    ▘연구결과 활용: 연령에 따라 일반 아동과의 격차가 좁혀지는 어휘와 심해지는 어휘특성을 분석하여 연령에 따른 언어촉진 또는 지원 전략을 제시한다.
  • 한글키워드
  • 장애부모 아동,어휘발달,언어환경,다문화가정 아동
  • 영문키워드
  • vocabulary development,language environment,multicultural family,handicapped parents l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환경적으로 언어자극이 결핍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 집단에 속한 아동의 어휘 발달 특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언어 결핍 환경집단에 ‘청각장애 부모 가정의 자녀’ 및 ‘다문화가정 자녀’를 포함시키고, 각 환경 내 자녀들의 어휘 발달 양상을 일반가정 아동들과 비교하여 품사별 어휘 의미유형별로 표현어휘와 수용어휘의 정확도와 반응속도 특성을 분석하였다. 2차년도에는 시간에 따라 발달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1차년도 검사한 아동의 일부를 10개월~1년 후 다시 검사하여 이를 1차년도 결과와 비교하여 지속적인 발달지연을 보이는 그룹과 시간에 따라 또래 수준에 근접해가는 아동 집단의 차이를 분석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각장애 부모 가정 자녀와 다문화가정 자녀는 공식적인 어휘 검사 결과에서 일반가정 아동과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청각장애 부모가정 자녀에 비해 다문화가정아동은 일반가정아동과 어휘 능력에서 더 뚜렷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해나 표현하는 어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언어결핍 집단 유형에 따른 보다 자세한 어휘 발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어휘종류에 따라 어휘 수행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집단 간 문법 분류인 품사에서의 수행 차이가 의미 분류에 따른 어휘별 수행차이보다 분명하게 나타났다. 청각장애 부모 자녀의 경우 다른 어휘에서와는 달리 지각․감각어휘 이해에서는 다문화 아동의 수행정확도보다 낮은 모습을 보여 환경의 특성이 전반적인 어휘능력 뿐 아니라 의미적 속성에 따른 어휘에 차등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셋째, 같은 아동들에게 전반적 어휘 능력 검사를 1년 후 재실시하여 ‘정상수준도달집단’과 ‘정상수준미달집단’으로 나누고 이러한 발달 양상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 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정상수준도달집단’의 아버지 교육년수가 ‘정상수준미달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청각장애부모가정 아동의 경우에는 어휘력과 환경변인 자체의 직접적인 상관도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집단간 세부 어휘 능력의 차이를 통해 각 집단에 대한 어휘 촉진 또는 지원의 방향을 활용할 수 있고, 연령에 따라 일반 아동과의 격차가 심해지지 않도록 연령에 따른 언어 촉진 또는 지원 전략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밝혀진 환경 결핍 아동의 제한된 어휘 유형을 특수교육 및 언어치료 내용에 활용할 수 있겠다.


  • 영문
  • This project aim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vocabulary development in environmentally deprived children. First, children who has hearing-impaired parents and from multicultural family have participated in vocabulary test. Their grammatical and semantic vocabulary performance were compared to children from ordinary families. Next, 10~18 children from each group were retested after 10 months in order to follow up longitudinal changes as they grew up.
    In results, three groups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performance in overall vocabulary scores. Compared to children from ordinary famil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more delay in expressive and receptive lexical ability than children of hearing impaired parents. Grammatical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had more influences in performance accuracy than semantic categorization. Children whose parents are hearing impaired performed significantly lower only in perceptual and sensory words tha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It could imply each deprived conditions have different effects in lexical performance. In the follow up study, more than half of children in deprived language environment showed continuing delay. In multicultural children, father's education was related to children's achivement.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in vocabular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children who has hearing impaired parents.
    These results could help setting a goal and plan for supporting policies which reduce vocabulary delay in children at risk. Specific characteristics of family and long term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in facilitating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in language deprived environ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언어자극 환경 결핍 요인에 따른 아동의 어휘 발달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언어 결핍 환경 유형에 ‘청각장애 부모 가정’ 및 ‘다문화가정’을 포함시키고, 각 환경 내 자녀들의 어휘 발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 발달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종단 연구를 실시하였다. 첫째, 언어 환경에 따른 어휘 발달 특성 연구를 위해 만 5~9세의 일반가정아동 40명, 청각장애부모가정 아동 45명, 다문화가정 아동 27명, 총 112명을 대상으로 REVT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중 집단간 조건을 맞추어 각 집단 15명씩 45명의 자료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어 환경 유형에 따라 집단간 수용 및 표현 어휘 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일반가정아동과 다문화가정아동의 어휘 능력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언어 환경 집단별 어휘 발달의 세부 특성 연구를 위해 만 5~9세의 청각장애부모를 둔 아동 22명과 다문화가정의 자녀 22명, 일반가정 자녀 22명, 총 66명을 대상으로 REVT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품사별, 의미유형별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1) 언어환경요인에 따라 품사별 수용어휘 능력 및 표현 어휘 능력에 차이를 보였으나 언어환경 유형과 품사별 어휘능력의 상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언어환경요인에 따른 의미 유형별 수용어휘 능력 및 표현어휘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용어휘의 경우 집단과 의미유형의 수행도에서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에 표현어휘의 경우 집단과 의미 유형의 수행도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언어 환경에 따른 어휘발달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만 5~9세의 청각장애부모를 둔 아동 10명, 다문화가정 자녀 18명을 대상으로 REVT 표현 어휘 검사를 1년 간격으로 실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정상수준도달집단’과 ‘정상수준미달집단’으로 나누고 이러한 발달 양상의 차이가 나타나게 된 변인이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 총 28명 중 다문화가정아동의 ‘정상수준도달집단’은 9명, ‘정상수준미달집단’은 9명, 청각장애부모가정아동의 ‘정상수준도달집단’은 6명, ‘정상수준미달집단’은 4명이었다. 2) 다문화가정아동에서 표현어휘발달 ‘정상수준도달집단’과 ‘정상수준미달집단’의 평가변인별 집단간 차이를 비모수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정상수준도달집단’의 아버지 교육년수가 ‘정상수준미달집단’의 교육년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3) 다문화가정 ‘정상수준도달집단’은 아동의 표현어휘능력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각장애부모가정아동 ‘정상수준도달집단’에서는 연령과 수용어휘능력 및 형제수와 소득수준이 서로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내기는 하였으나, 어휘력과 환경변인 자체의 직접적인 상관도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적인 가정의 아동에 비해 언어자극결핍 위험이 높은 환경에 있는 아동들이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어휘 능력이 유의하게 낮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겠다. 장애부모 환경이 취업 등의 경제적인 문제와 결합되는 경우 양육 어려움이 더 커진다는 연구결과를 고려할 때, 어휘 및 언어발달을 위한 사회적 지원서비스의 필요성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다문화가정의 결혼이민 어머니의 경우 가정에서 한국어로만 의사소통하고 어머니 모국어로 의사소통 하는 비율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한국어가 어려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는 특히 고급 어휘를 활발히 습득해 나가는 시기인 학령기 아동에게는 적절한 수준의 풍부한 언어적 자극을 제공하는 것이 어려웠을 가능성을 추측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세 집단 간 문법적 분류인 품사에서의 수행차이가 의미적 유형에 따른 수행차이에서보다 분명하게 나타나 어휘의 문법적 특성이 의미적인 속성보다도 집단 간 차이에 더 영향을 줌을 암시하였다. 청각장애 부모 자녀의 경우 다른 어휘보다 지각․감각어휘 이해에서는 다문화 아동의 수행정확도보다 낮은 모습을 보여 환경의 특성이 전반적인 어휘능력 뿐 아니라 의미적 속성에 따른 어휘에 차등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종단연구에서 청각장애 부모가정과 다문화가정 모두에서 절반에 가까운 아동들이 일년 후에도 표현어휘에서 또래수준성취가 어려웠다는 점은 연령 증가에 따라 일반가정 아동과의 차이가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의미하며 언어발달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져야함을 의미한다. 다문화가정에서 부모 교육수준과 아동의 표현어휘능력간 정적 상관은 언어환경 결핍 위험군 집단 내에서도 교육수준 등의 관련요인에 따라 이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차등적으로 접근해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언어 자극 결핍 환경에 따른 아동의 어휘 발달 특성 및 발달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언어 자극 환경이 결핍되어 있는 경우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언어 발달이 다소 지체되어 있을 수 있으나 환경 유형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며, 발달 양상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어휘 발달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언어 환경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장애 부모 및 다문화 가정 아동의 어휘 발달 특성 및 양상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언어 결핍 환경에 따른 언어발달 위험군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 주었다. 또한 언어 환경 특성에 따라 필요한 지원의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통해 다문화 및 장애 가정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집단간 세부 어휘 능력의 차이를 통해 각 집단에 대한 어휘 촉진 또는 지원의 방향을 활용할 수 있고, 연령에 따라 일반 아동과의 격차가 심해지지 않도록 연령에 따른 언어 촉진 또는 지원 전략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밝혀진 환경 결핍 아동의 제한된 어휘 유형을 특수교육 및 언어치료 내용에 활용할 수 있겠다.
  • 색인어
  • 언어환경, 어휘발달, 장애부모 아동, 다문화가정 아동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