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기후변화와 위기관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 #40;SSK& #41;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78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승호
연구수행기관 건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장동호(공주대학교)
조창현(경희대학교)
정준호(강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IPCC 제4차 보고서에 의하면 전구평균기온은 지난 100년 동안(1906-2005년) 0.74℃±0.18℃ 상승하였으며, 최근 50년 동안(1956-2005년)은 그 보다 더 높은 0.64℃±0.13℃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Trenberth et al., 2007). 이 보고서는 향후 20년 동안 0.2℃/10년의 상승률로 온난화가 지속되어 21세말의 전구평균기온은 20세기 말에 비하여 최대 6.4℃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포함된 동아시아의 경우 평균기온은 3.3℃ 상승할 것이라 전망하였으며, 여름철(6, 7, 8월)에는 3.0℃, 겨울철(12, 1, 2월)에는 3.6℃ 상승할 것이라 전망하였다(Christensen et al., 2007).
    이와 같은 급격한 기온상승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과학자는 물론 국제기구 등에서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다음 세기 동안 기온이 상승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다. 기온상승은 해수면의 상승과 그로 인한 해안침식, 생태계의 분포와 생존, 수자원, 농작물의 생산, 인구 이동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해수면 상승은 해안 저지대의 침수와 범람의 빈도를 증가시키면서 지형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박정재, 2009). 또한 폭풍과 열대성 저기압에 의한 폭풍 해일에 노출되어(Meehl et al., 2007) 방파제 등 인공 시설물을 포함한 해안침식을 유발할 수 있다. IPCC 제4차 보고서에 의하면,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대규모 삼각주 지역의 해안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이 증가할 것이며 특히 작 섬들이 위험한 지역이다(Nicholls et al., 2007).
    기온상승은 해안 생태계뿐만 아니라 육상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미 국내에서도 식물계절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이경미 등, 2009), 온난화가 지속될 경우 한반도의 고산대에 격리되어 있는 고산식물은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지적이 있다(공우석, 2005). 설악산에서는 대표적인 고산식물인 분비나무 군락의 쇠퇴가 관찰되고 있다(전영문 등, 2009). 뿐만 아니라 사과 등 과수 재배지가 이동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이어지고 있다(서형호, 2005). 허인혜 등(2006)은 기온상승으로 우리나라에서 왕대속 대나무의 북한계가 북상하였고, 육쪽 마늘 재배 한계도 북상하였음을 밝혔다. 그 외에 벼의 수량이 감소하고 있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다(심교문 등, 2005; 정유란 등, 2006; 이승호 등, 2008; 이윤선·이승호, 2008).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기온상승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부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온상승의 영향은 인간생활의 터전이 되는 지표면의 모든 형상과 복합적으로 연계되면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연구는 특정 분야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통합적 연구가 부족하다. 또한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및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및 대책 마련이 1990년대 후반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 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21세기 기후 전망뿐만 아니라 자연재해, 해양환경, 수문환경, 농·수산업, 임업, 수자원, 에너지 등에 대한 영향을 예측한 연구가 다수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및 영향평가 모델의 개발에 대해서는 낙후된 상태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및 영향평가 방안에 대한 국가단위의 자료 발굴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위험성을 각 지역과 분야별로 파악하고, 통합적인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가 경제사회적 영향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인간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전지구적 혹은 우리나라에서 전반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위험성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로 수행된 단편적인 연구가 아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통합적인 연구의 결과가 중요하다. 현재까지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는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의 영향은 각 분야 간에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가 다시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학문간에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기후변화를 포함한 자연과 인문을 아우르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관한 학제간 연구의 이정표가 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가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이 새롭게 기후나 다른 분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차후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예상지역의 산출 및 기후변화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전․사후 적응대책 수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피해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도출된 연구 성과와 국가재난방재시스템 및 국가기후변화협약종합 대응대책과의 정책적 연계를 통하여 관련 기관들 간의 정보공유와 정보의 중복생산 방지를 유도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 산지, 평지, 도시지역의 자연재해, 해안생태, 농․수산업 등의 피해를 저감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및 대책은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시장성보다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할 것이고, 특히, 기상청, 소방방재청, 환경부, 국토해양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피해저감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범국가적 국토통합관리를 통하여 국토이용에 관한 입지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피해저감을 위한 토목, 건설공사의 기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산지가 발달하였고, 평지를 중심으로 도시가 발달해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해안 및 산지, 평지, 도시에서의 기후변화에 대한 취약성 평가를 위한 현장연구 자체가 이후의 체계적인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대한 기초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지역별 취약성 평가를 통해 지역적 취약성 평가 기술을 축적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연구지역내의 침수피해액을 산정하고 피해 발생 시 보상자료로 이용할 수 있는 모델 개발과 적절한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시 관리 및 장기적인 국토관리계획에 기여할 수 있다. 침수취약지역에 대한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변화 예측을 위한 다중시기원격탐사 자료의 처리 및 GIS 기법의 적용기술의 개발도 기대할 수 있다.
    경제적․산업적 측면에서 보면, 기후변화 취약성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국토지역 관리 및 피해저감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대책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 과제를 통하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GIS 및 원격탐사자료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관련 산업의 기술개발 촉진의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보면, 지역적인 침수피해예측모델은 전무한 국내에서 인문·사회현상을 포함한 지역적인 침수피해예측모델의 개발을 통해, 침수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재산과 인명 보호에 기여할 것이다. 인명, 시설물 뿐 만 아니라 문화재 및 사적 등의 소중한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환경과 사회·경제적 환경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하여 기후변화가 경제사회적 영향에 대한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인간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를 해안지역과 산지지역, 평지지역, 도시지역으로 구분하고, 각 지역과 분야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후 관련 전문가와 자연환경 변화에 대한 전문가, 사회 환경 변화에 관한 전문가, 경제 환경에 대한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였다. 각 연구자는 분야별 연구를 수행하면서 정기적인 워크샵을 개최하여 연구 참여자 간에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고 일관된 목표를 향하여 연구가 수행될 수 있게 한다.
    기후 관련 공동연구자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경향을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위험성이 있는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기온과 강수량, 바람, 안개일수, 서리일수 등을 분석한다. 자연과 사회·경제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각 요소의 극한값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도시화한 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 분석하여 변화하는 경향이 전구적인 경향에 의한 것인지 혹은 국지적이거나 도시화 등에 의한 것인지를 평가한다.
    자연환경 관련 공동연구자는 해안지역과 산지지역, 평지 및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각 지역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한다. 과거의 해수면을 복원하고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검토하여 해수면 상승 한계값을 산출한다. 강원도 산지지역을 사례로 기후변화로 인하여 산사태, 산불 등이 증가하고 있는지, 각종 산업의 영향 등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평지와 도시지역의 침수발생 가능성을 분석한다.
    사회 환경 관련 공동연구자는 1차년도에 기후변화에 대한 세계 각국의 정책 반응에 대하여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차이를 분석한다. 그후 기후변화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내용과 전문가 집단과의 차이에 관하여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장·단기적인 외부효과에 반응하는 사회 경제 내의 개인 반응의 집합적 행위를 재생산하고 그 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이론적 연구를 수행한다.
    경제 환경 관련 공동연구자는 시군구별로 농업생산량과 토지가치를 분석하여 기후 민감도와 취약지역을 분석한다. 다음 단계에서는 지역 단위를 좁혀서 위험지역으로 파악된 시군구를 대상으로 읍면동별로 조사하여 농작물에 대한 기후 민감도를 파악한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전력소비량을 분석하여 미래 에너지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다음 단계(중형과제)에 새롭게 추진해야할 추가 분야를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위기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농업생산량,기후변화,위기관리,사회·경제적 영향,해수면 상승,침수발생 확률,기후 민감도,토지 가치,위험성 평가,전력 소비량
  • 영문키워드
  • climate sensitivity,electric consumption,socioeconomic impact,risk management,sea level rise,climate change,flooding probability,agricultural productivity(agricultural output),land value,risk evalua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환경과 사회 경제적 환경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후변화가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인간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를 기후변화에 민감한 해안지역과 산지지역, 도시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과 분야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분야를 크게 기후환경, 자연환경, 사회환경, 경제환경으로 구분하여 각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였다.

    기후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경향을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위험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온과 강수량, 바람, 안개일수, 서리일수 등을 분석하였다. 특히 자연과 사회/경제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요소의 극한값을 중심으로 해안/ 산지/ 도시 지역 등의 특성에 따른 지역별 기후 변화를 파악하였다.

    자연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해안과 산지, 평지지역의 특징이 공존한 충남지역과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과거의 해수면을 복원하고 해수면 상승 한계값을 산출한 후 침식위험 지역을 파악하였으며 기후 변화로 인한 임상변화를 파악하였다.

    사회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에이전트 기반 모델(ABMS)을 제시하여 북극 지역의 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국내의 농업 분야의 기후변화 적응 및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극한 기후 출현 시 도시 지역의 교통 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경제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강원도를 중심으로 시군구별로 농업생산량과 토지가치를 분석하여 기후 민감도와 취약한 지역을 분석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지역별 경작유형별 토지가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농지가치를 파악할 때 인간의 적응성까지 고려한 리카디언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재해와 관련된 기후/자연/사회/경제 환경으로의 체계적인 시스템 평가를 필요로한다.
  • 영문
  • This study was aimed to understand the risk of natural, socio-economical environment by climate change, set up the risk management system and plan for reaction. Ii was aimed to minimize the social cost by climate change, found the alternative for keeping the sustainability of human activity.
    For achievement of research purpose, It was organize a research team who is expert by climate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economic environment research area.


    In climate environment research, it was analyzed climate change trend over south Korea whether it has the long-term risk or not. It was analyzed temperature, precipitation, number of fog day, and number of frost day. It was analyzed focused on extreme value of climate element by region which has coastal, mountainous, and urban characteristics.

    I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it was assessed climate change risk focused on Chungcheongnam-do and Gangwon-do region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mountainous, and land region. It was restored an ancient sea level, understand the erosion risk region by calculation of sea level rising limit, and forest type changes by climate change.

    In social environmental research, it was suggested long term research method which is Agent Based Model System (ABMS). It can be used to understand ecosystem change in arctic region and assessed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vulnerability in agriculture area. Also, it was analyzed change of transportation environment when the extreme climate is appeared in urban area.
    In economic environmental research, it was analyzed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land price for understanding climate sensitivity and vulnerable region focused on Gangwon-do region. When it was understood land price by climate change, it suggest Ricardian analysis method considering adaptability of human.

    It can be set up the groundwork data for understanding risk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 over south Korea. It needs systematic assessment related with weather disaster by climate chan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환경과 사회 경제적 환경의 위험성을 파악하고 장기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관리 시스템의 구축과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후변화가 사회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고 인간 활동의 지속 가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대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를 기후변화에 민감한 해안지역과 산지지역, 도시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과 분야별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분야를 크게 기후환경, 자연환경, 사회환경, 경제환경으로 구분하여 각 전문가로 연구진을 구성하였다.

    기후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경향을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위험성이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온과 강수량, 바람, 안개일수, 서리일수 등을 분석하였다. 특히 자연과 사회/경제 환경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요소의 극한값을 중심으로 해안/ 산지/ 도시 지역 등의 특성에 따른 지역별 기후 변화를 파악하였다.

    자연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해안과 산지, 평지지역의 특징이 공존한 충남지역과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과거의 해수면을 복원하고 해수면 상승 한계값을 산출한 후 침식위험 지역을 파악하였으며 기후 변화로 인한 임상변화를 파악하였다.

    사회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장기적인 연구 방법론으로 에이전트 기반 모델(ABMS)을 제시하여 북극 지역의 생태계의 변화를 파악하고 국내의 농업 분야의 기후변화 적응 및 취약성을 평가하였으며 극한 기후 출현 시 도시 지역의 교통 환경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경제환경 관련 연구에서는 강원도를 중심으로 시군구별로 농업생산량과 토지가치를 분석하여 기후 민감도와 취약한 지역을 분석하고 이를 전국으로 확대하여 지역별 경작유형별 토지가치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농지가치를 파악할 때 인간의 적응성까지 고려한 리카디언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위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대비한 위기관리 시스템을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재해와 관련된 기후/자연/사회/경제 환경으로의 체계적인 시스템 평가를 필요로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의 결과는 전지구적 혹은 우리나라에서 전반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위험성을 국가적인 차원에서 관리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각 분야별로 수행된 단편적인 연구가 아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통합적인 연구의 결과가 중요하였다. 현재까지 기후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는 각 분야에서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다. 그러나 기후변화의 영향은 각 분야 간에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가 다시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학문간에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기후변화를 포함한 자연과 인문을 아우르는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관한 학제간 연구의 이정표가 될 수 있었다. 특히 기후변화가 각 분야에 미치는 영향과 그것이 새롭게 기후나 다른 분야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차후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예상지역의 산출 및 기후변화 위기관리 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전․사후 적응대책 수립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피해비용의 절감이 예상된다. 도출된 연구 성과와 국가재난방재시스템 및 국가기후변화협약종합 대응대책과의 정책적 연계를 통하여 관련 기관들 간의 정보공유와 정보의 중복생산 방지를 유도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 산지, 평지, 도시지역의 자연재해, 해안생태, 농․수산업 등의 피해를 저감하는데 활용될 수 있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및 대책은 공공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시장성보다는 공공의 이익에 기여할 것이고, 특히, 기상청, 소방방재청, 환경부, 국토해양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피해저감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범국가적 국토통합관리를 통하여 국토이용에 관한 입지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피해 저감을 위한 토목, 건설공사의 기준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2) 인력양성 방안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한 목표로 인력양성 계획을 수립하였다. 각 연구자의 연구 보조원으로 박사과정(수료자 포함)과 석사과정, 학부생의 참여를 독려하였다. 제1단계에서는 각 연구자마다 석사과정 1-2명의 참여를 유도하고 그 중 우수 인력은 박사과정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권장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1단계에서는 전체적으로 박사과정 2-3명과 석사과정 5-7명, 학부생 3-5명이 참여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공동연구자는 연구보조원들의 학술대회 학술 발표와 논문 투고를 적극 유도하였다. 연구보조원이 발표하는 학술발표 논문의 수를 연간 국제 대회 1-3편, 국내 대회 3-5편을 목표로 시행하였으며,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논문집에 매년 3-5편의 논문을 발표할 수 있게 노력하였다. 장기적으로 학술발표대회 참여와 논문 게제 결과를 반영한 인센티브제도를 지향하였다. 특히 새로운 단계 진입 시 연구비 배분 등에서 발표실적이 우수한 연구자 및 연구보조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하였다.
    제2단계와 제3단계 진입 시에는 학부생의 참여를 적극 권장하여 관련 학문 분야의 저변 확대를 위하여 노력하였다. 점진적으로 연구보조원의 구조를 피라미드가 되게 하여 박사과정 수료자와 박사과정생, 석사과정생, 학부생 순으로 연구 참여자수를 조정하였다. 특히 현장 답사 시에 학부생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여 연구과제와 관련 학문 분야에 관심을 유도하였다.

    3) 연구결과의 교육과 연계 방안

    본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 함양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영향과 그 위험성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기후변화가 그 자체로서의 문제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미래 우리 사회의 위험성에 대하여 대처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마련 될 수 있다. 이런 연구의 결과는 공교육(대학교는 물론 초·중·고 등)의 현장에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기관과 환경 관련 단체 등에서 활용하는 기후변화 관련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공동 연구자들이 대외적으로 특강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였다.
  • 색인어
  • 극한 기후, 기후민감도, 기후변화, 농업생산량, 사회·경제적 영향, 위기관리, 위험성 평가, 침식 위험 지역, 에이전트 기반 모델, 토지가치, 해수면 상승, 리카디언 분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