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선진사회 진입을 위한 국가브랜드가치제고의 통합시스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0-330-B00285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유경
연구수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유신(부산대학교)
이진용(중앙대학교)
이유나(한국외국어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국가 브랜드는 기업이나 제품 브랜드와 차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국가브랜드 구축과 관리는 일반적 접근법과는 다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국가 브랜드는 여러 이해관계자에 의해서 소유되는 공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관광, 예술, 문화, 자연, 정치, 경제 등 매우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국가브랜드 관리자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에 대한 통제권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각 구성요소 별로 민ㆍ관ㆍ산의 이해관계자와 폭넓은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특성이 있다. 모간, 프릿차드, 피고트(2002)는 정치성(politics)을 대표적인 국가 브랜드 관리의 난제로 언급했다. 즉, 국가 브랜드의 경우에는 이해관계가 상이한 여러 집단들이 관여되어 있기 때문에 정치적 압력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간의 합의를 이끌어내고 긴밀한 협력 체제를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결국 국가 브랜딩이란 단순한 관리활동(managed activity)이 아니라 협력과정(coordinated process)의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또한 국가브랜드는 역사적으로 축적되어온 국가정체성이라는 사실(facts)에 근거하여 형성된다는 특성이 있지만, 국가정체성의 가변성과 다양한 시각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해석의 차이는 협력의 과정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국가브랜드의 진정한 가치 제고를 위한 다양한 국가 구성차원의 긴밀한 협력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국가 브랜드 정체성에 대한 국가적 합의와 공유과정 역시 중요하다. 즉 국가 브랜드 정체성의 개념 및 역할에 대한 평가와 합의가 민·관·산ㆍ학 각계에서 광범위하게 이루어져야, 이해관계자의 협력체제도 원활하게 구축될 수 있으며, 대내외 국가브랜드 전략 수행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강력한 국가브랜드의 구축은 대내외적 국가가 직면한 어려움의 해결책과 동시에 국가 발전의 성장 동력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국가브랜드 관리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국가의 목표 달성의 구체적 방법론적 해법을 제시하기 위해서 본 연구자들은 특정 학문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학문과의 연계를 통한 장기적이고 심층적인 연구 수행을 고려한다. 결국 본 연구의 핵심목적은, 단계적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브랜드의 장기적 연구 및 실행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선진국으로의 도약에 발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사업의 결과들은 대한민궁이 선진사회로 진입함에 있어 문화, 관광, 외교, 수출, 정책, 이민, 국민성 등 의 각 방면에서 갖추어야 할 통합적이고도 체계적 요소들을 찾아내는 한편 이들의 역할과 노력에 대해 근본적이고도 실질적인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그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다음의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의 정체성에 대한 정립과 소통의 방안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문제로 지적되는 분열과 갈등의 구체적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50년 동안 서구의 산업기술과 사회 문화적 제도를 최단 기간 내 흡수하는데 성공한 것처럼 보이지만, 국가 고유의 정체성에 기반을 둔 융합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해서 많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 고유의 정체성과 이러한 정체성을 어떻게 재해석하고 의미를 부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우리 사회의 갈등의 고리를 끊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한국사회를 긴장과 갈등 국면으로 치닫게 만드는 ‘집단 간 소통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함으로써 사회적 갈등과 긴장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본 사업은 향후 다양한 학문 간 공동연구의 대표적인 모델로서 기여할 것이다. 변화와 새로움에 대한 압력이 증가되는 미래사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학문적 융합을 통한 새로운 가치제안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학문간 교류와 융합의 가시적인 성과는 성공적인 공동 연구의 발전적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사업의 결과는 정부의 다양한 정책 부처에 구체적이고도 현실적이며 나아가 국가 백년대계를 위한 미래지향적 정신적 기반 및 명분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넷째, 향후 국가브랜드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초기 정부의 노력이 공공주도였다면 10년 뒤 선진사회의 문턱에서는 자율적이고도 통합적인 체계와 인프라구축을 위한 모든 노력이 민간주도의 협업과정을 거칠 수 있도록 제안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정부가 해야 할 단기적인 사업의 불완전한 구조와 실체를 중장기적이며 완전한 구조로 보다 체계적이며 상설적인 구조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우리나라는 선진국과는 달리 국가 관리를 위한 핵심사상과 정신이 확고하게 정립되어 있지 못한 상태에서 국가브랜딩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과거에 강조되어 오던 “홍익인간”, “동방의 고요한 아침의 나라”, “은근과 끈기” 등의 정신적 특성들을 한국의 상징으로 사용하다가, 최근 들어 Dynamic Korea를 브랜드 명칭으로 사용하면서, 이 특성들은 역동성(dynamism)이라는 새로운 의미로 재해석 된 바 있다. 현 정부도 다양한 조사와 여론수렴을 거친 결과 현재의 국가 슬로건을 크게 수정하거나 진로를 변경하는 등의 노력은 하지 않기로 했다. 이에 대해 국가 정체성과 핵심사상에 대한 확산과 수용과정이 교착상태에 빠질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또한 아직도 대한민국의 핵심사상과 정신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백년대계를 위한 본질적 정체성을 확고하게 정립하는 과정을 통해, 세계 속 우리 국가의 현재 위치를 점검하고, 더 나아가 미래의 위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민관산학의 각 분야에 정신적, 이론적, 실천적 과제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소형 사업단계에서는 국가를 브랜딩 하는 과정에서 가장 우선되는 국가정체성의 특성과 중요성을 탐구하여, 한국의 정체성의 발굴과 정립을 위해 정체성의 의미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확보하고, 이러한 결과를 수용자입장에서 해석해 봄으로써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의 핵심사상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다음으로 국가브랜드 가치 형성의 차원은 어떻게 구성이 되며, 이러한 가치 형성의 차원에 따른 국가브랜드의 실행주체들의 통합적이고 상호연계적인 실행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교화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토록 하겠다. 국가브랜딩의 내부역량 강화의 마지막 단계에는 국가브랜드 정체성의 내부 확산과 소통의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국가의 핵심 사상이자 고유의 정신적 가치인 정체성을 내부적으로 공유함으로써 구성원이 저마다 처한 기반에서 국가브랜드의 실행 주체로서의 정신적 정체성(mind identity), 행동적 정체성(behavioral identity)을 확립하고 국가브랜드 강화를 위한 실체적 노력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국가브랜드 정체성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내부 확산과 소통의 방법을 모색하는 단계적 연구를 진행토록 하겠다.
  • 한글키워드
  • 보증 브랜드,국가브랜드지수,사회 정체성,국가브랜드차원,공적개발원조,문화,하드파워,소프트파워,국격,소통모델,다이나믹 코리아,역동성,내부 브랜딩,국가브랜드 슬로건,국가 브랜드 정체성,국가 정체성,국가 브랜드,국가
  • 영문키워드
  • nationa brands index,social identity,communication model,soft power,endorser brand,nation brand identity,national identity,nation brand,nation,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culture,hard power,nation brand hexagon,nation dignity,dynamic korea,dynamism,internal branding,nation brand sloga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국가브랜드의 가치 제고는 국가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요소를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 정체성의 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가브랜드 정체성 개발에 중심을 두고 진행이 되었다. 국가정체성의 개념적 정의와 보편적 인식 차원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국가브랜드 정체성 시스템 구축과 차별화 전략에 대한 연구를 지나 국가브랜드 개성 차원에 대한 연구와 정책 수용 및 확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국가정체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확립됨으로써 국가이미지 관련 담당자들이 국가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토대를 갖추고 실무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Raising the value of a national brand may serve as a core factor in enhan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However, establishing the national identity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in this process. This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Korea’s national brand identity. Beginning with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universal awareness dimension of the national identity,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brand identity system, and differentiation strategies have been studied. Furthermore, research into the national brand personality dimension and the acceptance and proliferation of policies have been carried out as well. This research attempts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concept of national identity, and it is expected that those who are in charge of managing national brands may be able to develop strategic foundations and tactics based on the finding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국가브랜드의 가치 제고는 국가 경쟁력 강화에 핵심적인 요소를 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 정체성의 확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가브랜드 정체성 개발에 중심을 두고 진행이 되었다. 국가정체성의 개념적 정의와 보편적 인식 차원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국가브랜드 정체성 시스템 구축과 차별화 전략에 대한 연구를 지나 국가브랜드 개성 차원에 대한 연구와 정책 수용 및 확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국가정체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이 확립됨으로써 국가이미지 관련 담당자들이 국가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토대를 갖추고 실무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결과의 활용계획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국가브랜드에 대한 학문적 이해는 우리의 경제 문화 수준에 비교할 때 너무 허약하다. 앞으로 더 많은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적용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성과들은 앞으로 우리나라가 갖추어야 할 국가브랜드의 학문적 이론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 또한 이의 실무적 활용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국가정체성 차원의 지표들은 국가브랜드에 대한 탐색을 보다 수월하게 할 것이다. 또한 제시된 국가브랜드 관련 측정도구들은 국가브랜드 실무를 맡고 있는 국가기관 영역의 성과평가와 전략방향 설정에 활용할 계획을 수립할 토대를 만들은 셈이다.
    2)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국가브랜드 개성차원 개념과 측정도구들은 차별적 국가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전략적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대상 국가별로 각기 다른 개성차원들은 강조하는 광고, PR활동들을 기획하여 보다 효율적인 국가브랜드 관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3) 특히 본 연구는 세계 주요 국가들의 국가브랜드와의 상대적 비교를 실현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지닌다. 즉 한국의 국가브랜드가 세계 주요 국가와 비교했을 때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고,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측정도구를 개발, 제시하고 있어 우리의 국가브랜드 지수가 세게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4) 본 연구에서 확인된 바, 국가브랜드 관련 국가기관들의 담당자들 간에 국가브랜드 구성차원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며, 전반적으로 국가브랜드 관리에 대한 정부차원의 통합적인 시스템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국가브랜드위원회가 해체된 현재 향후 국가브랜딩을 위한 직제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데 있어 본 연구의 결과들을 참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세계 국가브랜드 파워에 대한 순위결정은 대체적으로 서양의 기관들에 의해 좌지우지 되고 있다. 해당 기관들이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들은 모두 서구사회 중심적인 시각에서 구성된 것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권의 특성들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경험과 연구 성과를 토대로 국내ㆍ외 여러 기관과의 협업을 도모하여 향후 전 세계적인 국가브랜드 관리 중점 연구소를 설립하고, 한국의 국가브랜드 강화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소의 설립은 국가브랜드 관리를 위한 매뉴얼 도출, 중-후진국가 대상 국가브랜드관리 시스템 관련 교육과 컨설팅 등의 수행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움직임이야말로 우리나라가 경제적 원조 뿐 아니라 무형자산 관리에도 영향을 끼치는 선진국으로의 진입을 촉진시키는 일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가브랜드 연구소 설립과 운영을 위한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인력육성과 관리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는 국가브랜드 관련 정책 결정 과정에 있어서 입안자들뿐만 아니라 전문가와 일반 시민들의 의견수렴을 하는 참여적 정책 결정과정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에서 이미 전문가 집단과 관련 단체의 자문을 구하는 학술 세미나 및 학회 발표가 이루어진 바 있다. 좀 더 확장된 차원에서 이러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즉, 연구결과 논의과정을 현재 한국사회의 소통부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국가정체성을 공통의제로 삼아 다양한 집단들 간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사회적 갈등과 긴장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기제로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추후 국가브랜드를 둘러싸고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나 갈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국가정책에 대한 사회 일반의 합의를 형성하고 정책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를 높이고 관련 구성원들의 책임감 강화를 가능하게 한다.
    넷째 이 연구 결과는 인문정신의 융성을 위한 국가의 미래 기획 틀을 민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박근혜 정부들어 문화국가 브랜드의 정신을 계승하고 새로운 한국적 가치를 문화적 차원에서 발굴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이른바 문화융성위원회가 그것이며 인문정신 특별위원회가 신설되어 한국의 정체성을 발굴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적 정체성을 국가브랜드에 정교화된 개념으로 적립하려는 일련의 정책적・제도적 시도에 큰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연구의 책임연구자는 문화융성위원회의 회원으로 활동하기에 SSK를 통한 연구재단의 성과를 중앙성부의 성과로 연계하는데 유리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색인어
  • 브랜드, 국가 브랜드, 정체성, 국가 정체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