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동아시아 공동체와 다문화 공존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0-32A-B00009
선정년도 2010 년
연구기간 3 년 (2010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병곤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황정미(고려대학교)
플라워스(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김미경(조선대학교)
김희강(고려대학교)
김남국(고려대학교)
이종두(고려대학교)
정인경
제임스패러(上智大學)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다문화 공존’ 정책의 수립을 통해 동아시아 각국의 차이를 줄이고,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크게 세 가지 목적을 지니고 연구를 수행한다. 첫째, 동아시아(한·중·일+ASEAN) 내의 국제 이주 현상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주-개발-다문화 공존’의 연계 모델을 탐구한다. 둘째, 지역 내 국가간·도시간 비교를 통해 다문화 갈등조정을 위한 지역(regional)·국가(national)·지방(local) 수준의 포괄적 다문화 정책을 구체화한다. 셋째, 다문화 공존을 위한 지역적 차원의 심의와 규범 확립을 통해 ‘동아시아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로드맵을 제시한다. 지구화는 동아시아 내에서 시장과 같은 경제영역뿐만 아니라 사상, 문화, 사회의 영역에서도 유동성과 개방성을 확대시키고 있으며, 민족국가 단위를 넘어 지역적 차원의 협력 필요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특히 국제 이주의 증가는 지방적, 국가적, 초국가적 수준에서 다양한 사회 제도들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초국가적 이주의 경제적·정치적·법률적·사회문화적 효과는 국가 내부의 사회적 갈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때론 국가간에도 긴장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국제 이주가 수반하는 다면적 현상을 다룰 수 있는 다문화 공존의 정책적 기반을 탐구하는 것은 지역공동체 형성에 있어 중요한 정치·경제·사회적 의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대응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 내의 국제 이주 현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경험적 분석(1년차)에서 시작하여, 국제 이주로 인한 정치사회적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로운 다문화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대안적 정책을 모색(2년차)하고, 이를 통해 지역 국가간 상호협력을 증진시키고 ‘동아시아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지역 차원의 의제화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차별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1년차 연구는 각국에 관한 체계적인 자료 수집을 통해 동아시아 지역의 이주 양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동아시아 이주 네트워크 지도’를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차적으로는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이주의 패턴, 이주 송출 국가와 이주 수용 국가의 정책적 특징, 이민자들이 모국과 정주 국가와 맺는 관계 등을 분석한다. 또한 구조와 행위자의 역동적인 상호 작용을 경험적으로 드러낼 수 있도록 개인적 차원에서 이주를 유발하는 요인들이 실제로 작용하는지 검토하며, 통계 분석과 연결망 이론을 활용하여 동아시아 지역의 이주의 특성과 요인, 국가별 각 요인이 갖는 영향력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② 2년차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간·도시간 다문화 정책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이 지역에 적용될 수 있는 포괄적인 다문화 공존 정책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가간·도시간 다문화 정책을 비교하기 위한 정책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나라와 주요 도시의 다문화 정책을 체계적으로 비교한다. 특히 이주자의 실질적 삶의 공간인 ‘지방/도시’에 주목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통해 다문화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매커니즘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을 보장하고 동아시아 지역 차원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규범 형성에 참여하는 조정자로서의 국가의 역할을 탐구한다. ③ 3년차 연구는 지역 내 다문화 갈등해소 메커니즘 형성을 통해 지역공동체를 조직하는 원칙을 세워나감으로써 동아시아 정체성이 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상호 협력 증진을 목표로 ‘조율, 재분배, 권리’의 세 가지 의제를 중심으로 지역 내 이주 문제에 대한 공통의 심의 기반을 마련하는 한편, ‘이주-개발-다문화 공존’이 연계될 수 있는 정책적 연결고리를 모색한다. 아울러 EU 등에서 이주 및 다문화 공존 관련 의제가 심의되고, 공통의 규범형성으로 이어지게 된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동아시아 차원에서 비자기민족중심적 심의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를 통해 크게 세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학문적 기여이다. 지금까지의 동아시아 정체성 논의가 전통적 가치를 강조하거나 경제·안보에 바탕한 기능적·전략적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면, 본 연구는 국가간 이주와 다문화라는 사회문화적 현상을 토대로 공통의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를 새로운 측면에서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비자기민족중심적 심의의 원칙을 제시함으로써 현대 민주주의 이론의 중심에 있는 심의 민주주의 이론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협력의 걸림돌이 되고 있는 과거사 및 민족주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동아시아 지역의 이주 및 다문화 공존의 양상에 관한 종합적인 자료 구축과 비교 연구를 목표로 하는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내 이주의 미시적·중범위적·거시적 요인들과 이주 경향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각국과 주요 도시의 다문화 정책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다양한 비교 연구를 위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주와 개발의 상관관계, 노동시장과 기술교육, 이주의 여성화 경향, 이주 네트워크 등에 관한 연구는 지구적 차원의 개발과 재분배, 동아시아 생산체제, 페미니즘, 네트워크 이론의 연구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국내적 수준에 국한된 다문화 관련 연구의 범위와 시각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사회적 기여이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 각국의 다양한 문화적 정체성을 인정하면서도 서로 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상호 이해의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동아시아 내의 이질성과 갈등을 줄일 수 있는 교차문화적 보편성을 제공함으로써 과거사나 배타적 민족주의를 뛰어넘어 미래지향적인 동아시아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나아가 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반감을 방지하고, 차이를 존중하는 공존과 관용의 문화를 형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되는 다문화 정책은 지역, 국가, 지방 수준의 정책 준거로 활용될 수 있다. 초국가적 수준의 의제(조정, 재분배, 권리)는 국가간 협력을 위한 일차적인 토대를 제공하며, 국가간 비교에 사용된 다문화 정책 평가 지표는 국가들간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차이를 줄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이주자에 대한 동화 정책이나 통제 중심의 이주자 관리에서 벗어나, 이주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국가간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자율성을 보장하는 조정자로서의 국가의 역할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다문화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정책방안의 제시는 위로부터의 획일적인 실행이 아니라 지역 특색에 맞는 자율적인 다문화 정책의 수립을 가능하게 한다. 동아시아의 주요 도시들이 실행하고 있는 다문화 정책을 검토함으로써 한국적 토양에서 실행될 수 있는 지방 중심의 정책 모델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교육적 효과이다. 본 연구의 공동 연구원들은 각자의 대학원 학생들을 중심으로 공동연구와 공동 집필을 계획하고, 연구 집필에서부터 출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시킬 구체적 계획을 갖고 있다. 이를 통해 국외 학자들과 학술적 교류와 공동 작업의 기회와, SSCI 논문 게재 경험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주제와 관련된 학습 능력과 연구자로서의 잠재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 특히 매년 10회 정도 이루어지는 라운드테이블과 연 1회의 국제심포지움은 학생뿐만 아니라 국내 연구자에게도 새로운 연구를 접하는 기회가 되고, 한국적 문제의식의 세계화를 통해 인식의 지평을 넓히는 장이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해외 공동 연구원이 참여하는 본 연구는 연구자들과 학생들의 국제적 교류를 통한 연구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질적인 결과를 산출하는 데 무엇보다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외 잡지에 특집을 게재하고, 워킹페이퍼와 단행본 출간을 통해 파생연구를 불러일으키고, 학문적 후속세대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 내 국제 이주의 증가가 초래하는 정치사회적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지역·국가·지방 수준의 포괄적인 다문화 공존 정책을 모색하고, 이것이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한다. 이 연구는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된다. 1년차에는 동아시아 지역의 이주의 특성 및 요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진행한다. 해외 연구자 네트워크 구성을 통해 동아시아 각국의 국제 이주 관련 최신 통계 자료들을 확보하고, 거시적·중범위적·미시적 수준에서 이주를 유발하는 요인들을 도출한다. 이후 연결망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이주 네트워크 지도’를 작성하고, 이주의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한다. 동아시아의 이주 경향을 ① 전반적 이주의 패턴, ② 노동시장과 기술 교육, ③ 이주의 여성화 경향, ④ 미등록 이주자·난민·강제이주자, ⑤ 유학생 이동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며, 수집된 이주에 관한 통계적 자료를 바탕으로 ‘이주-개발’의 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한다. ① 소득과 이주의 관계, ② 이주의 패턴과 국가의 거시적 경제 환경과의 관계, ③ 이주가 유입국과 유출국의 발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중심으로 이주의 효과를 다층적 수준에서 검토하고 유럽 및 다른 지역과 비교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비교의 시각에서 본 동아시아의 이주와 개발”이라는 제목으로 종합한다. 2년차에는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간·도시간 다문화 정책을 비교한다. 이주자들이 지닌 삶의 기회를 평가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되고 있는 EU의 ‘이주자 통합 정책 인덱스’를 바탕으로 ① 노동시장 접근, ② 가족 재결합, ③ 장기 거주, ④ 정치 참여, ⑤ 국적에 대한 접근, ⑥ 차별금지 등의 정책 영역을 중심으로 각 나라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할 수 있는 평가척도를 작성한다. 이를 기준으로 동아시아 국가들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 검토하여, 다문화 정책을 둘러싼 동아시아 지역 내의 분기(divergence)와 수렴(convergence)을 파악한다. 이후 유럽 국가들의 도시별 다문화 정책을 광범위하게 비교연구한 “다문화 정책과 시민성의 양식”의 분석틀을 참조하여 도시 수준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고, 동아시아 각국의 주요 도시들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내 국가간·도시간 다문화 정책의 차이를 줄이고 다문화 공존의 규범을 형성하기 위한 원칙과 대안적인 모델을 제시한다. 초국가적 공간으로서 도시의 역할에 주목하여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다문화 갈등조정 모델의 가능성을 검토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성을 보장하면서도 다문화 정책의 불일치를 조정하고 지역적 규범 형성에 참여하는 조정자로서의 국가의 역할을 수립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동아시아의 다문화 공존: 국가별·도시별 다문화 정책 비교”라는 제목으로 정리된다. 3년차에는 1차년과 2차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내에서 ‘이주-개발-다문화 공존’이 연계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구체화한다. 경제학자 아마티아 센이 중심이 된 UN의 인간개발보고서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이주자의 ‘가능성’(capability)을 중심으로 한 ‘이주-개발-다문화 공존’ 연계 모델을 제시하고, ‘조정·재분배·권리’의 세 가제 의제를 중심으로 국제 이주로 인한 다양한 다문화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동아시아 지역 차원의 논의의 틀을 구체화한다. 이후 EU 등에서 이주 및 다문화 공존 관련 의제가 심의되고 공통의 규범 형성으로 이어지게 된 과정을 분석하고,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 국가간 상호협력과 초국가적 수준의 심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을 모색한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국가들의 민족주의, 반(反) 이주 움직임 등이 국가간 심의의 장애가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비자기민족중심적 심의’를 위한 조정원칙을 탐구한다. 다문화 공존 정책이 동아시아 공동체를 위한 정체성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고,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동아시아 공동체와 다문화 공존: 이주, 개발, 인권”이라는 제목의 연구 결과물을 도출한다.
  • 한글키워드
  • 이주에 대한 관리,비자기민족중심적 심의,권리,가능성,이주-개발 연계,이주자 통합 정책 인덱스,지방적 수준,국가적 수준,지역적 수준,기능적 통합,지역주의,동아시아 정체성,동아시아 공동체,동아시아,유럽연합,규범권력,정책결정 과정,아젠다 설정,갈등조정 메커니즘,다문화 정책,다문화 공존,다문화적 갈등,연결망 분석,경제적 이주,이주 네트워크,이주의 패턴,국제 이주,지구화,초국가적 심의,재분배,조율
  • 영문키워드
  • Conflict-solving Mechanism,Regional Level,Regionalism,Redistribution,Regulation,Non-ethnocentric Deliberation,Capability,Migration-development Nexus,Migration Integration Policy Index,East Asian Identity,East Asian Community,Multicultural Policy,Multicultural Coexistence,Multicultural Conflicts,Migration Network,Migration Trends,International Migration,Globalization,Transnational Deliberation,European Union,Normative Power,Agenda Setting,Rights,Local Level,National Level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이주 증가 및 다문화 현실의 대두에 주목하고 다문화 공존 정책의 수립을 위한 다층적 수준에서의 비교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 및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 간 정치·경제·사회‧문화 교류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역내 이주의 증가는 협력과 통합의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국내 사회 문제와 갈등, 더 나아가 국가 간 갈등의 요소로 부상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이주 및 다문화 공존 정책을 다층적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포괄적인 다문화 정책 수립 방안과 이에 필요한 보편적인 심의원칙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연차별 주제를 가지고 3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1단계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내 이주의 관계망과 이주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동아시아 각국의 이주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이주 유발 요인을 검토하고 이를 거시적‧중범위적‧미시적 차원 수준으로 나누어 그 영향을 준별했다. 또한 동아시아 각 국의 이주현황과 경향성, 즉 국가별 유입이민, 유출이민 상황과 이주의 특성을 분석했다. 2단계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와 도시들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 분석했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다문화 정책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를 수립하고 이 기준에 따라 분석 대상 국가들의 다문화 정책 자료들을 취합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각국의 다문화 정책을 평가했다. 아울러 주요 도시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다문화 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서 지방정부의 역할에 주목하고 이것이 다문화 갈등의 조정 모델이 될 가능성을 검토했다. 3단계에서는 지난 2년의 연구 성과에 기초하여 동아시아 지역 내에서 이주-개발-다문화공존의 연계를 저해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정책 틀의 형성을 위해 필요한 조정의 원칙을 탐구하고자 했다. 이와 관련하여 시민권 이론과 글로벌 정의 논의는 다문화 상황이 초래할 수 있는 갈등을 다루는데 주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다.
    1단계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의 이주의 특성 및 요인 분석을 하였다. 먼저 동아시아 국제이주와 관련된 데이터를 국가별로 조사하였고, 이를 가) 한국, 일본, 나) 중국, 대만, 홍콩, 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라)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마) 캄보디아, 라오스, 버마 등으로 나누었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국가별 특성을 고려하여 좀 더 세분화하였다. 세부사항에 있어서는 이주노동, 결혼이주, 난민, 송금에 관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국제이주의 패턴과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동아시아 이주경향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주유발요인들을 거시적·미시적·중범위적 요인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다. 노동이주와 관련해서는 이주연줄망이론과 이주체계이론을 적용하였다. 특히 이주체계이론은 이주를 구조적 수준·관계적 수준·개인적 수준에서 살펴보는데 구조적 수준에서는 정치·경제·문화적 구조를, 관계적 수준에서는 공식적 제도 형성을, 개인적 수준에서는 이주자의 자유를 다룬다. 거시구조는 정치적·제도적 요인을, 미시구조는 네트워크, 이주자의 실행 가치를, 중범위 구조는 공식적 통로, 충원업체, 브로커, 계약자, 국가관료, 인신매매 등의 중간 기제를 포함한다. 동아시아의 결혼이주에 대해서도 거시적·미시적·중범위적 차원에서의 요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거시적 차원에서는 인구학·경제·정치·문화적 요인을, 미시적 차원에서는 개인의 경제적 상황과 문화적 성향을, 중범위적 차원에서는 지방정부, 결혼중개업체 그리고 사회적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2단계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와 도시들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동아시아 이주 관련 양상을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서 노동이주 현장 사례 연구와 베트남-한국의 결혼이주사례에 대한 심화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일본지방정부의 다문화 정책과 중국 상하이의 다문화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본의 다문화 정책은 지방정부주도로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의 지방정부가 어떻게 이주자들을 관리하는 구조를 만들어 가는지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국제도시 상하이 사례연구는 상하이 외국인 거주자들이 거주지 사회와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소속감을 갖게 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아시아 국가들의 이주 및 다문화정책이 사회구성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2002년과 2007년 Pew Global Attitude Project Data를 중심으로 한국, 일본, 중국의 이주 및 이주자에 대한 인식적 태도를 비교분석했다. 이 연구는 주로 ‘위협인식가설’을 바탕으로 이뤄졌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의 경우 세계화 변수가 이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 그리고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일본 사례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3단계 연구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차원에서 논의되고 적용될 수 있는 공통의 규범을 탐구하기 위해 역사적, 이론적 분석을 수행했다. 근대 민족국가의 근간을 이루는 시민권 제도에 관한 논의와 최근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정의론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논의가 동아시아 내 이주와 다문화 현상을 다루는 데 줄 수 있는 함의를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특성을 논하면서 이것이 지속가능한 다문화 공존의 모형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세계화와 민족국가의 변모라는 거시적 변화 속에서 동아시아 내 초국적 이주의 증대는 보편적 시민권 제도의 형성‧재형성의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또한 국가들 간 불평등을 매개로 전개되는 이주의 양상은 젠더의 렌즈로 분석했을 때 더욱 명확히 드러나는데, 글로벌 정의론의 관점에서 검토한 동아시아 내 이주의 여성화 현상은 빈곤과 불평등의 심화라는 구조적 불의를 반영한다. 연구 결과 동아시아 내 다문화 공존의 모델을 만드는 데 있어 글로벌 정의론은 보편적인 규범적 원리의 단초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정의와 책임의 관점이 동아시아 공통의 규범 및 국가적 규범의 조정 그리고 지역 정체성 형성의 매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다문화주의가 동아시아 다문화 공존의 대안적 모형이 되기 위해서는 현 정책의 이론적 토대를 더 심도 깊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다문화주의의 근간을 형성한다면 정부와 시민사회의 거버넌스를 통해 구축된 한국의 다문화 정책이 역내 모범적인 다문화 공존의 모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Community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East Asia paying attention to the rapidly growing migration and comparing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regional, national and local level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three years through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of the research has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migration trends and network in East Asia and exploration of the factors resulting in growing migration in this area.
    The second stage of the research is related to the analysis of comparing multicultural policies of the East Asian countries and cities. To do this, the data concerning multicultural policies has been gathered and the criterion of evaluation has been established. The comparison of multicultural policies of the chief cities has offered the alternative models of multicultural conflict-solving approaches on the local level.
    The third stage of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outcomes of the past two years’ study. The causes that hinder migration-development nexus and multicultural coexistence in East Asia have been analysed. Based on this work, the principles of regulation in order to arrange the policy framework for East Asian community have been inquired. Relating to this kind of work, it has been confirmed that citizenship theory and global justice theory can offer the useful insights for dealing with multicultural conflicts resulting from increasing migration.
    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attempt to handle the wide range of issues from international migration in the region of East Asia in cooperative manners. There is a serious gap of cultural values, economic developments, and political institutions among East Asian countries. In addition, It is a trend of distrust and territorial disputes originated from historical experiences that threaten the regional cooperation and integration. The resurrection of exclusive ethnic nationalism in the region of East Asia is also the risk factor. In this situation, growing migration can become both the basis for cooperative development and the primary risk causing violent disputes. Therefore, migration as well as security and economy should be treated seriously for the trust building in East Asia.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social conflicts in multicultural context owing to national hostility toward immigrants. A far-reaching mutual cooperation and extensive deliberation are necessary to relieve this sort of animosity stemming from international migration.
    This study is to fulfil historical and theoretical analysis searching for a common norm which can be deliberated in and applied to the region of East Asia. In this rega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n citizenship and global justice theory. Moreover, discussing the specific character of multicultural policy initiated by Korean government, this study is to examine a sustainable policy model for multicultural coexistenc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이주 증가 및 다문화 현실의 대두에 주목하고 다문화 공존 정책의 수립을 위한 다층적 수준에서의 비교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 및 공동체 형성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들 간 정치·경제·사회‧문화 교류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역내 이주의 증가는 협력과 통합의 계기로 작용할 수도 있지만, 국내 사회 문제와 갈등, 더 나아가 국가 간 갈등의 요소로 부상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한국,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이주 및 다문화 공존 정책을 다층적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포괄적인 다문화 정책 수립 방안과 이에 필요한 보편적인 심의원칙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연차별 주제를 가지고 3단계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1단계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내 이주의 관계망과 이주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했다. 동아시아 국제이주와 관련된 데이터를 국가별로 조사하였고, 이를 가) 한국, 일본, 나) 중국, 대만, 홍콩, 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 라) 필리핀, 베트남, 인도네시아, 마) 캄보디아, 라오스, 버마 등으로 나누었다. 동남아시아의 경우, 국가별 특성을 고려하여 좀 더 세분화하였다. 세부사항에 있어서는 이주노동, 결혼이주, 난민, 송금에 관한 데이터를 취합하고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국제이주의 패턴과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또한 동아시아 각 국의 이주현황과 경향성, 즉 국가별 유입이민, 유출이민 상황과 이주의 특성을 분석했다. 이주유발요인들은 거시적‧중범위적‧미시적 차원 수준으로 나누어 그 영향을 준별했다. 거시구조는 정치적·제도적 요인을, 미시구조는 네트워크, 이주자의 실행 가치를, 중범위 구조는 공식적 통로, 충원업체, 브로커, 계약자, 국가관료, 인신매매 등의 중간 기제를 포함한다.
    2단계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내 국가와 도시들의 다문화 정책을 비교 분석했다. 이를 위해 먼저 동아시아 이주 관련 양상을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서 노동이주 현장 사례 연구와 베트남-한국의 결혼이주사례에 대한 심화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일본지방정부의 다문화 정책과 중국 상하이의 다문화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본의 다문화 정책은 지방정부주도로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의 지방정부가 어떻게 이주자들을 관리하는 구조를 만들어 가는지를 연구하였다. 중국의 국제도시 상하이 사례연구는 상하이 외국인 거주자들이 거주지 사회와 복잡한 관계를 맺으며, 소속감을 갖게 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주 및 이주자에 대한 인식적 태도에 대한 한·중·일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중국의 경우 세계화 변수가 이주에 대한 긍정적 태도, 그리고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일본 사례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3단계에서는 동아시아 지역 차원에서 논의되고 적용될 수 있는 공통의 규범을 탐구하기 위해 역사적, 이론적 분석을 수행했다. 근대 민족국가의 근간을 이루는 시민권 제도에 관한 논의와 최근 부상하고 있는 글로벌 정의론을 살펴봄으로써 이러한 논의가 동아시아 내 이주와 다문화 현상을 다루는 데 줄 수 있는 함의를 분석하고자 했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주의의 특성을 논하면서 이것이 지속가능한 다문화 공존의 모형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국제이주라는 초국적 현상과 다문화적 국내 상황에 주목함으로, 현실 문제에 기반한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의 계기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동아시아 이주의 요인들을 다층적으로 분석하였고, 각 국가들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정체성 형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향들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이주와 다문화와 같은 변화하는 현실 상황에 기반한 동아시아 정체성 연구이다. 이주와 다문화 현상은 각 국가들의 국가·민족 정체성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민족 정체성의 변화, 동아시아라는 지역 정체성의 변화 그리고 이 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며, 지역정체성 형성의 구체적인 계기와 요인의 분석과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다.
    둘째, 지역공동체의 수립과 지역 내 국가 간·민족 간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원칙과 이론적 틀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주 및 다문화 정책과 관련해서 보편적 인권, 민족주의, 글로벌 정의 규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주는 단순히 이민문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범죄·빈곤·환경·민족갈등·질병·기후 등 다양한 영역의 초국가적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런 복잡한 문제들의 등장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필요로 한다. 규범에 관한 본 연구는 다양한 초국적 문제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적 기반 탐색에 대한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다.
    셋째, 동아시아 국가들에 체계적인 비교연구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다문화 정책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함으로, 태국, 베트남, 대만,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필리핀의 다문화 현상과 정책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각 국가들의 정치·경제·문화적 상황의 변화까지 입체적인 이해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 국가들의 다민족·다문화적 상황과 민주화와 같은 정치적 변화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 연구를 진행하고, 각 국가의 고유하고, 적절한 다문화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한국사회과학의 발전과 한국적 현실에 기초한 독자적인 이론 탐구를 모색한다. 본 연구는 동아시아의 다문화주의 및 다문화 정책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서, 다문화 정책에 관한 한국적 상황의 특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이는 한국적 현실에 기반한 이론 탐구의 기반이 될 수 있다. 지구적 차원의 보편적 논의의 기초를 놓치지 않으면서, 이주와 다문화로 인한 한국적 현실을 담아낼 수 있는 이론에 대한 연구를 심화화고 발전시킨다.
    본 연구는 다양한 해외공동연구원들이 참여했으며, 일본, 캐나다, 미국, 싱가포르의 대학 및 연구기관들과의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동아시아 연구 이해의 폭을 넓히고, 연구자들의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 연구 협력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형성된 동아시아 연구 교류체계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간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총 26회의 라운드테이블을 진행함으로 연구자에게는 연구를 심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고, 대학원생 및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새로운 연구 성과를 접하는 기회로 삼았다. 이는 공동연구원들의 연구를 심화시키는데도 도움이 되었고, 대학원생들은 이주와 다문화정책 그리고 동아시아 문제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대학원생들의 동아시아 공동체와 다문화 공존 관련 논문저술로 실질적인 결과를 산출하고자 한다.
  • 색인어
  • 다문화주의, 세계화, 이주, 이주자, 동아시아, 지역공동체, 인권, 다양성, 소수자, 노동이주, 결혼이주, 보편성, 동남아시아, 민족주의, 정체성, 심의민주주의, 초국가주의, 세계시민주의, 유럽연합, 민족국가, 초국가성, 재분배, 배제, 포용, 공론장, 사회통합, 다문화 정책, 다문화 공존, 지역협력, 인정, 국제기구, 젠더, 지구정의, 시민권, 역차별, 지방, 도시, 패러다임, 인종, 문화, 시민단체, 공리주의, 선진국, 개도국, 국제결혼, 외국인, 디아스포라, 민족의식, 거버넌스, 개발, 도시, 상호의존, 규범, 지방자치단체, 아시아적 가치, 비지배, 공화주의, 연대, 이주노동자, 다자협력, 동화, 난민, 고용, 참정권, 사회적 자본, 문명, 지역주의, 주권, 네트워크, 복지국가, 공동체주의, 사회적 불평등, 보수주의, 자율성, 정당성, 탈근대주의, 해방, 비서구, 가부장제, 노동시장, 전통, 다민족국가, 시장경제, 자유무역, 온정주의, 집단화, 차별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