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포먼스 개념은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다. 공연예술에서는 주로 무대 위에서 수행되는 배우들의 행위를 , 미술에서는 미술가의 의도를 육체적 행동에 의해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일체의 것을, 그리고 최근에는 사회의 각 영역에서 테크놀로지 매체들과 함께 창출해내는 실 ...
퍼포먼스 개념은 넓은 스펙트럼을 갖는다. 공연예술에서는 주로 무대 위에서 수행되는 배우들의 행위를 , 미술에서는 미술가의 의도를 육체적 행동에 의해 조형적으로 표현하는 일체의 것을, 그리고 최근에는 사회의 각 영역에서 테크놀로지 매체들과 함께 창출해내는 실천적 행위들을 총제적으로 지칭한다. 본 연구는 문학과 문화연구를 넘어 지속적으로 외연을 확장하는 퍼포먼스 연구(performance studies)에 대한 매체문화사(Medienkulturgeschichte)적인 성찰과 전망을 겨낭한다. 퍼포먼스 연구와 문화학 그리고 매체학의 결합은 기존의 해석학적 인문학이 지니는 정신과학으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유기적이며 역동적인 인간이해와 세계이해에 이르게 하며 이를 통하여 학제적이며 실천적인 인문학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퍼포먼스 연구는 실천적 인문학을 지향한다. 테크놀로지 시대의 문화를 추동하는 기술매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매체학은 문화적 행위에 깃들여진 의미를 해석하는것 대신에, 행위의 과정 중에서 비로서 의미가 생성된다는 입장을 내세운다. 의미는 예술을 창조 ...
퍼포먼스 연구는 실천적 인문학을 지향한다. 테크놀로지 시대의 문화를 추동하는 기술매체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매체학은 문화적 행위에 깃들여진 의미를 해석하는것 대신에, 행위의 과정 중에서 비로서 의미가 생성된다는 입장을 내세운다. 의미는 예술을 창조하는 것처럼 만들어질 수 있으며, 심지어는 조작까지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퍼포먼스 연구와 매체학의 결합은 의미의 생성과 관철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퍼포먼스 연구에서 매체문화사적인 연구는 디지털시대의 문화연구에 적합한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연극학, 예술미학, 문화학을 관통하는 퍼포먼스 연구를 위하여 일차년도의 주제는 '공연예술에서 퍼포먼스의 기능과 개념의 확장 - 포스트 드라마 연극을 중심으로', '미디어아트 퍼포먼스에서 참여 양상의 첨예화 - 백남준의 위성방송 삼부작을 중심으로' 그리고 '테크 ...
연극학, 예술미학, 문화학을 관통하는 퍼포먼스 연구를 위하여 일차년도의 주제는 '공연예술에서 퍼포먼스의 기능과 개념의 확장 - 포스트 드라마 연극을 중심으로', '미디어아트 퍼포먼스에서 참여 양상의 첨예화 - 백남준의 위성방송 삼부작을 중심으로' 그리고 '테크놀로지 시대의 퍼포먼스 - 퍼포먼스의 일상화 또는 일상 속의 퍼포먼스'를 연구한다. 기술이 진화시킨 연극, 사진과 영화가 만든 새로운 미학, 텔레비전과 인간 행위의 상호작용 그리고 새로운 매체를 기반으로 탄생하게 될 예술,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적 행위들에 관한 매체문화사적 조망, 매체의 물질적 기능과 효과에 대하여 성찰하고 문화의 세기에 일상화된 퍼포먼스를 전망하게 된다.
Candle-Light Protest,Friedrich Kittler,social action,performing art,performance studies,performance art,media performance,fluxus,doing culture,dada,cultural studies,avangarde,action painting,Wien Aktionismus,Vilem Flusser,Theaterwissenschaft,Sybille Kraemer,Postdramatisches Theater,Paul Virlio,Nam June Paik,Medienkulturgeschichte,Love Parade,Kulturwissenschaft,Hans-Thies Lehmann,Erika Fischer-Lichte,Christopher Street Da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일반적으로 지식 정보를 전하는 기술, 수단, 물질적인 모든 것을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삶의 지혜와 영감을 전하는 모든 것을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 오늘날 일상적 삶에서 인간의 사유와 행위를 지배하는 것은 무엇일까. 문화와 예술의 목적 ...
일반적으로 지식 정보를 전하는 기술, 수단, 물질적인 모든 것을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삶의 지혜와 영감을 전하는 모든 것을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 오늘날 일상적 삶에서 인간의 사유와 행위를 지배하는 것은 무엇일까. 문화와 예술의 목적은 인간의 일상적인 삶에 즐거움과 교훈을 전하는 것이다. 인간은 특별한 행위와 실천 때문에 다른 동물과 구별된다. 그리스시대 이래 연극이라는 퍼포먼스 예술은 인간과 동물을 구별짓는 제도로서 자신의 기능과 역할을 담당해왔다.예술의 궁극적인 목표지점은 바로 관객과 독자들의 몸을 움직이게 하거나 행동으로 실천하는 퍼포먼스를 통하여 삶의 지혜와 윤리적 선의 모범을 제시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 시대의 미디어는 그동안의 연극이나 예술이 수행해온 역할을 정교한 방식으로 보완하거나 대신한다.
영문
Im allgemeinen sind Techniken, Mitteln und Materialien, diejenige Wissen und Information vermitteln koennen, als Medien bestimmt. Doch in einem weiteren Sinne, alles wird als Medien definert, was die Weisheit und Inspiration des Lebens uebermitteln ...
Im allgemeinen sind Techniken, Mitteln und Materialien, diejenige Wissen und Information vermitteln koennen, als Medien bestimmt. Doch in einem weiteren Sinne, alles wird als Medien definert, was die Weisheit und Inspiration des Lebens uebermitteln kann. Was regiert heute das Denken und Verhalten des Menschens im Alltag. Der Zweck von Kunst und Kultur ist, die Lehren und Freude im täglichen menschlichen Leben zu verbreiten. Der Mensch ist von anderen Tieren wegen besonderer Handlungen und Praktiken aus. Seit hellenistischer Zeit gilt Performance als ein System, das den Menschen vom Tier unterscheidet, da das Theater verantwortlich für ihre Rollen und Funktionen hat. Der Zielpunkt der Kunst ist das Vorzeigen der Weitheit und etischen Linien des Lebens als ein Model, das die Leser durch die Aufführungspraxis in die Tat umsetzen kann. Die Medien sollten die Rolle der Kunst in der Zeit der Technologie auffuehren oder ergaenzen.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정보를 전하는 모든 것을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면, 삶의 지혜와 영감을 전하는 것을 더욱 강력한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일상적 인간의 사유와 행위를 지배하는 것은 무엇일까. 문화와 예술의 목적은 인간의 삶에 즐거움과 교훈을 전하며, 인간이 다 ...
정보를 전하는 모든 것을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다면, 삶의 지혜와 영감을 전하는 것을 더욱 강력한 미디어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일상적 인간의 사유와 행위를 지배하는 것은 무엇일까. 문화와 예술의 목적은 인간의 삶에 즐거움과 교훈을 전하며,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특별한 행위와 실천에 이르게 하는 것이 아닐까. 그리스시대 이래 연극이 오랫동안 제도적으로 그런 역할을 담당해왔다. 다양한 예술의 최종적인 목표지점이란 바로 관객과 독자들의 몸을 움직이게 하거나 행동으로 실천하도록 지혜와 윤리적 선의 모범을 제시하는 방법이다. 테크놀로지 시대의 미디어는 그동안의 연극이나 예술이 수행해온 역할을 정교한 방식으로 보완하거나 대신한다. 극장에서의 연극, 도서관에서 독서, 미술관에서의 관조, 음악 콘서트 장에서의 침잠하는 주체로 만드는 대신에 더욱 강력한 테크놀로지가 제공하는 가상과 환상의 세계 속으로 안내되어 주체를 망각하도록 유혹한다. 일상 속에서 인간의 사유와 행위를 유혹하고 지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현대적 의미의 미디어로 정의되어야 한다. 현대인들은 월드컵 경기장에서 축구를 관전할 뿐만 아니라, 대규모 정치와 종교 집회, 음악회와 환상적인 미디어 사건을 경험하도록 요청받게 된다. 십자가나 불상 앞에서 기도하고 명상하며 보내는 시간보다, 텔레비전과 컴퓨터 앞에 앉아서 삶에 유익한 지식과 정보를 서핑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 연극보다 영화의 환상이 더욱 매혹적이다. 박물관에 전시된 조형예술품보다는 커다른 건물과 거리를 정복한 미디어아트와 키네틱 아트 작품들로부터 더 강력한 매력을 느끼게 된다. 도서관에서 독서를 통하여 얻어낼 수 있는 고상한 지식보다, 여행을 하면서 삶의 현장을 누비며 체험하는 행위의 미학이 더욱 유익하다고 강조하게 된다. 마지막 논문은 "테크놀로지 시대의 퍼포먼스 - 일상화된 퍼포먼스 또는 퍼포먼스의 일상화"를 주제로 연구한다.호모 화버는 호포 미디어쿠스로 진화하게 되는 역사적 전환 지점을 조명하려는 것이다. 오늘날 사회적이며 집단적인 행위가 어떻게 생산되며, 어떤 공동체가 탄생되며, 이들은 어떤 연출이나 공연과 연관이 되는지, 어떤 퍼포먼스적 특성을 중심으로 접근하는 연구가 장점을 갖게 되는지 연구하게 될 것이다. 가만히 있으면 안된다. 손을 치켜들고 일어서서 발을 구르며 소리를 지르라는 요청을 받게 되면, 실제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런 실천을 주저해서는 안되며, 부끄러워 해서도 안된다.큰 소리로 대답하고, 자신있게 앞으로 달려나가며, 자신감 있게 고개와 어깨를 세우고, 늘 즐거워하고 행복하다는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교화 대상자로 분류되거나, 힐링 코스를 밟도록 안내된다. 침착하게 생각하며 고요하게 명상하는 행위는 병들었거나 소극적인 정신의 소유자로 판정을 받게 되거나 경쟁사회로의 진입이 유보된다. 사회가 조직한 집단의 구성원들은 서로서로 격려하며 낙오하는 경우가 없도록 부추기며 통일된 퍼포먼스에 참여하기를 권유받으며 살아가게 된다. 벤야민은 정치의 예술화에 대항하여 예술의 정치화로 맞설 것을 주문했다. 벤야민에 기대어 정치화된 퍼포먼스에 대항하여 퍼포먼스의 정치화를 강조할 수 있을까. 테크놀로지 시대의 일상화된 퍼포먼스와 퍼포먼스의 일상화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 선호되기 어려운 상황이며 상호작용의 속도와 밀도가 교차되어 양쪽 진영이 공존하면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행위와 수행성의 문제는 퍼포먼스 개념의 문제를 넘어서는 미디디어 윤리의 문제로 옮겨가게 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첫째로, 실천적 인문학 연구의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행위 개념은 문화학, 예술미학과 관련되는 학문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매체학적 퍼포먼스 연구는 행위의 과정 중에서 비로소 의미가 스스로 생성된다는 입장을 수용한다. 의미는 예술을 창조하는 ...
첫째로, 실천적 인문학 연구의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행위 개념은 문화학, 예술미학과 관련되는 학문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매체학적 퍼포먼스 연구는 행위의 과정 중에서 비로소 의미가 스스로 생성된다는 입장을 수용한다. 의미는 예술을 창조하는 것처럼 만들어질 수 있으며 심지어는 조작까지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퍼포먼스 연구와 매체학의 결합은 의미의 생성에 새로운 관점을 열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게 한다. 둘째로, 디지털시대의 문화연구에 적합한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극에서의 퍼포먼스, 미디어아트에서의 행위예술과 일상생활 속으로 파고든 제의와 의례를 가로지르는 연결된 끈을 테크놀로지의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현대적 사건과 현상들에 대한 문화사적인 맥락에서의 이해를 가능케 할 것이다.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간의 소통 능력은 신장되고, 디지털미디어의 보편화는 현실을 구축하는 시스템과 이에 얽매인 개인의 행동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이를 통하여 집단 지성을 연결하고 집단행동과 연결되는 디지털시대의 기술매체가 민주적 매체가 될 수 있는 조건들을 검토하는 연구 결과를 이끌어내게 될 것이다. 퍼포먼스 연구는 탈식민주의 이론이 펼쳐온 유럽중심주의 사고를 극복하고 전통적인 행위예술(춤, 굿거리, 마당극 등)과 같은 보편적인 행동 문화에 대한 문화사적 관점에서의 연구 가능성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새로운 인문학의 방법론으로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행위예술 연구’에서 ‘사회적 행위 연구’로의 확장은 연극학, 예술미학, 문화학, 영화학, 매체사회학의 영역에 방법론적인 활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미디어테크놀로지가 사회적 행위에 가하는 영향력과 권력의 디스포지티브 분석은 영화학, 매체학, 사회학에서 활용 가능하다고 본다. 이번의 연구 과제에서 유보되었지만, 컴퓨터와 결합된 매체 연합체가 만든 인간의 새로운 행동 유형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심리학, 기술사회학, 과학기술학 등 통합적 인문학이 추구해야 할 연구 과제를 새롭게 제시하게 될 것이다.
색인어
테크놀로지 시대, 퍼포먼스 연구, 매체문화사, 호모 미디어쿠스, 창조적 행위, 매체연극, 액션 페인팅, 수행성, 프리드리히 키틀러, 매체이론, 미디어 윤리, 레만, 피셔-리히테, 백남준, 폴록, 포스트드라마 연극, 행위음악, 쉐크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