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여성화장품 이름의 사회문화적 의미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35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은하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광고는 인간이 사회적인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낸 소통 행위이므로 그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 표현 행위 또한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낸 중요한 사회 활동이 된다. 이때 사용되는 광고 언어는 실질적으로 언중이 사회적, 문화적 표현의 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 현실이다. 광고에 나타나는 상품의 이름은 그 상품을 대변하기도 하지만 다양한 사회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으므로 상품의 이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류해서 조사해 보면서 그 속에 담고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도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수많은 광고 속에서 살고 있고 과거에도 앞으로도 무수한 광고와 더불어 살아왔고 살아갈 것이다. 과거의 광고에서 상품의 이름과 현재의 광고에서의 상품의 이름을 분류해서 비교하고 그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해 본다면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이나 과거 광고의 수집상의 어려움과 방대한 광고 수량으로 인해 짧은 시기에 이뤄내기는 힘들다. 그래서 이 연구는 최근 3년간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나는 여성화장품 이름을 조사하여 어떻게 이름이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회문화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한다.
    즉 본고는 최근 3년간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나는 여성화장품 이름을 조사하여 어떻게 이름이 이루어져 있으며 그 사회문화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광고는 인간이 사회적인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낸 소통 행위이므로 그 광고에 사용되는 언어 표현 행위 또한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낸 중요한 사회 활동이 된다. 이때 사용되는 광고 언어는 실질적으로 언중이 사회적, 문화적 표현의 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 현실이므로 상품의 이름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분류해서 조사해 본다면 그 사회문화적 의미와 여성문화의 흐름도 알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기대효과
  • 여성화장품 이름 분류에서 판매실적과 결부한다면 앞으로 만들 화장품 이름에 구성방식, 판매전략, 가격을 고려해서 정할 수 있다. 이름 분류는 판매자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면 사회문화적 의미는 사회속의 사람들의 현상을 반영한 것이므로 사용자(소비자)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상품명은 판매자보다는 소비자 위주가 될 것이며 단순한 팔기 위해 주의를 끄는 이름보다는 사회 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보다 넓은 의미의 이름이 되어야 할 것이다. 텔레비전 광고에 나오는 여성화장품 이름 중 어느 유형에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외국어 사용이 많은지도 살펴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여성 대상으로 어느 대중매체를 선호하는지를 설문조사해본다면 여성화장품 광고를 어느 매체에 더 많이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더 쉬울 것이다.
    화장품 유형과 사용 세대도 조사해 본다면 세대별로 선호하는 언어 사용과 결부하여 고유어로 된 화장품 이름이나 외국어로 된 화장품 이름 등을 지을 때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성화장품 이름 분류에서 판매실적과 결부한다면 앞으로 만들 화장품 이름에 구성방식, 판매전략, 가격을 고려해서 정할 수 있다. 이름 분류는 판매자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면 사회문화적 의미는 사회속의 사람들의 현상을 반영한 것이므로 사용자(소비자)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상품명은 판매자보다는 소비자 위주가 될 것이며 단순한 팔기 위해 주의를 끄는 이름보다는 사회 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보다 넓은 의미의 이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연구요약
  • 2009년부터 2011녀까지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나는 여성화장품 이름의 자료를 수집한다. 십 여 초의 광고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방송국별로 텔레비전을 하루 종일 시청하는 것은 막대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텔레비전 광고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 매체, 품목(화장품), 연도(날짜)를 선택하여 광고 자료를 수집한다.
    자료 수집이 끝나면 먼저 남성용, 여성용, 유아용 등으로 화장품 사용 대상을 성별로 분류하고 광고에 나타나는 여성화장품 이름을 회사명, 상품명 등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량화한다. 광고, 화장품, 상품명 등과 관련된 논문과 저서 등을 조사하여 그 연구내용을 검토한다.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상품명 분석 방법을 기준으로 여성화장품 이름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할 만한 이 연구에 맞는 연구방법을 구상한다.
    연구내용으로, 텔레비전 광고에서 나타나는 여성화장품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를 먼저 살펴본다. 그리고 여성화장품 유형 중 기초, 색조, 기능성, 세안 등 어느 유형이 더 많은지와 화장품 이름 사용 중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외국어 사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그 현황 또한 살펴본다.
    다음으로 여성화장품 이름을 본격적으로 검토하는데 이름을 분류하고 그 이름의 사회문화적 의미도 알아본다. 여성화장품 이름을 분류함에 있어서 구성방식, 가격차이, 판매 전략으로 나눈다. 여성화장품 이름을 분류한 후 그 사회문화적 의미도 분석해서 다섯 가지 정도로 정리해 본다. 여성화장품 이름 분류와 사회문화적 의미는 화장품 이름의 사례 분석과 함께 통계 분석을 함께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다룰 분석 방법과 자료 해석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화장품 이름 분류를 어떻게 나누어 분석할 것인가?
    선행연구를 대상으로 상품명 분류에 대한 내용을 조사한다. 광고 자료 수집하고 분석한 것을 토대로 화장품 이름을 분류해서 특징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선행연구 조사와 자료 분석한 결과, 여성화장품 이름은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둘째, 여성화장품 이름의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인가?
    선행연구 조사와 위의 여성화장품 이름 분류 결과를 검토한 후 현재 우리 사회에서의 사람들이 관심가지거나 유행하는 현상을 고찰해 본다. 그 결과 사회문화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정도로 나누어 본다.
    위의 분석 방법과 자료 해석 방향으로 여성화장품 이름의 분류는 세 가지로, 사회문화적 의미는 다섯 가지로 나누어 봤다. 좀 더 자세히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여성화장품 이름의 분류에서 먼저, 구성방식은 회사명, 상품명, 화장품명으로 구분해 보고 그 구성에 따른 분류를 할 것이다. 가격 차이는 고가와 저가로 나누어 고가의 여성화장품 이름과 저가의 여성화장품 이름 짓기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판매 전략은 최근 상품명에서 드러나듯 외래어와 외국어 사용이 많은바 외래와 외국어 사용의 화장품 이름과 숫자나 바로 이해하기 힘든 화장품 이름을 조사해 검토하는 것이다.
    여성화장품 이름의 사회문화적 의미는 여성들은 고가의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자신도 고급 이미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는 심리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을 신분 상승 또는 과시 열망이라고 하여 첫 번째로 검토해 본다. 두 번째로 웰빙이라는 말이 유행하면서 사람들이 자신의 건강을 챙기려고 하는 마음에서 예전처럼 화학성분이 든 화장품이 아닌 바로 먹을 수 있는 식품으로 화장품을 만들어지고 있다. 세 번째는 식품에서 더 건강을 보완할 수 있는 즉 우리가 몸이 허약할 때 한약재로 그 기운을 보완하듯 화장품에도 한약재가 들어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건강과 고급을 강조하다보면 실제로 효과가 있을 거라는 현실감보다는 이상 안으로 여겨지거나 식품이나 한약재가 든 화장품은 가격대가 비싸므로 쉽게 구매하기를 꺼릴 것을 염려해 실용성을 강조한 화장품도 나왔다. 화장품 하나로 여러 화장품의 기능을 하는 것, 적은 양으로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 등 실용성을 강조하는 것이 네 번째이다. 마지막인 다섯 번째는 화장품 재료가 화학적인 것인 아닌 생물(식물)을 사용함을 강조하면서 회사 이미지도 환경오염이나 유해 물질을 만든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자연과 친숙함을 나타내는 이미지까지 나타낼 수 있는 자연 혹은 자연주의 이미지를 표방하는 것이다.
  • 한글키워드
  • 텔레비전 광고,여성 화장품,화장품명,사회문화적 의미,상품명
  • 영문키워드
  • Socio-Cultural Meaning,Cosmetic Name,Brand Name,Television Advertisements,Women's Cosmetic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광고는 인간이 사회적인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낸 소통 행위이므로 그 광고에 사용된 언어 표현 행위 또한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낸 중요한 사회 활동이 된다. 이때 사용된 광고 언어는 실질적으로 언중이 사회적․문화적 표현의 한 형태로 사용하고 있는 언어 현실인 것이다. 광고에 나타나는 상품의 이름은 그 상품의 특성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다양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이름을 분석해 본다면 그 속에 담고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최근 5년간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여성화장품 이름을 조사하여 그 특징을 분류해 보고 이름에 내재된 사회문화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한다. 광고 언어는 크게 언어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으로 살펴볼 수 있으므로 화장품 이름에 외연적으로 나타나는 언어적 특성을 살펴보고 내면적으로는 그 이름에 어떤 사회문화적 의미가 담겨 있는지 엿보고자 한다.
    최근 5년간 텔레비전에 나온 여성화장품 광고 편수는 총 493편으로, 짧고 간단하게 나타내는 형태에서 최근에는 길고 복잡하게 다양한 형태의 이름으로 구성되어 표현함을 살펴봤다. 또한 고유어와 한자어로 된 이름도 있었으나 영어와 외국어로 된 이름들이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성화장품 이름의 구성 방식에서 ‘상표명’ 단독 혹은 두 가지의 결합어인 ‘상표명+제품명’이 많았으나 ‘상표명/회사명+제품명+화장품유형명’이 점차 늘고 있었다. 다양한 화장품이 만들어짐에 따라 이름을 짓을 때 상표명만을 나타내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으므로 화장품의 특징, 기능, 유행 등을 모두 표현할 수 있게끔 여러 개의 결합이 필요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 외국어, 고유어, 한자어로 나누어 여성화장품 이름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화장품은 서구 문물이며 선진국의 상품 선호도로 인하여 영어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프랑스어가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는데, 프랑스가 예술, 패션, 화장품 등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화장품 이름의 사회문화적 관점으로 살펴보도록 하는데 여성화장품 이름의 상표명 및 회사명에 담겨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해 봄으로써 현대 한국 사람의 사회적 정서와 문화의 한 단면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텔레비전 광고에 나온 여성화장품의 이름 표현을 분석해 본 결과, 크게 네 가지 현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한약재/식품, 과학/의학. 자연/환경, 기타의 순이었다. 그리고 2011년을 보면, 두 가지 현상(한방/식품, 과학/의학)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2008년과 2009년 모두 한방/식품 현상이 높은 데 반해, 2008년에 과학/의학 현상이 눈에 띄게 적음을 알 수 있다. 2012년 상반기는 2011년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과학/의학과 한약재/식품)가 상승세임을 알 수 있다.
    네 가지를 모아서 정리해 보면, 현대 한국 사람들은 자연적이고 친화적 환경에서 몸과 건강을 챙기기 위해 한약재와 유기농 재료를 섭취하고 피부과학과 의학이 관리해 주는 체계적인 생활 속에서 자신이 선망하는 대상을 닮아가고자 하는 희망을 안고 살아가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다.
    본고는 최근 텔레비전 광고에 나오는 여성화장품 이름의 표현 양상을 알 수 있었는데, 그들을 대상으로 언어적 및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언어적 특성과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상 및 사람들의 의식을 나타내는 문화적 의미를 고찰해 본 것에 의의가 있다.
  • 영문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perspective and sociocultural meanings of women's cosmetics' names.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names of women's cosmetics in TV advertisements from January 2008 to May 2012.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s the compounding structure of women's cosmetics' names on the basis of four determinants company name, brand name, product name, and the type of cosmetics. It also classifies brand names of women's cosmetics as Korean, Sino-Korean, English, and foreign language. Results show that brand names and compound words with brand name & product name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2008-2009, while multi-syllable names such as brand name/company name+product name+types of cosmetics were used more frequently in 2010-2012. Moreover, there is a strong preference for English and foreign language (French) names in women's cosmetics. Four aspects can be found in the sociocultural meanings of women's cosmetics' names. In order of frequency of occurrence, "use of medicinal herbs or food", ranks the highest, followed by "combination of science and medicine" and "emphasis on a nature-friendly environment" as the second and third most frequent in sociocultural meanings. Finally, "identification of object of envy" reflects that Korean women wish to be promoted to a higher status and to be seen as beautiful and assertive. In this study, attempts are made to generaliz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s cosmetics' names in television advertisements over the past five years from linguist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s. The results may contribute to guiding principles related to women's cosmetics' names and provide an insight into future researc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광고에 나타나는 상품의 이름은 그 상품의 특성을 언어로 표현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문화적 기능을 대변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이름을 분석해 본다면 이름의 언어적 양상을 알 수 있고 그 속에 담고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최근 5년간 텔레비전 광고에 나오는 여성화장품의 이름을 조사하여 언어적 관점 및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언어적 관점에서, 먼저 화장품 이름의 구성 방식을 회사명, 상표명, 범주명, (화장품)유형명의 선택적 조합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상표명’ 단독 혹은 두 가지의 결합어인 ‘상표명+범주명’이 많았으나 점차 ‘상표명/회사명+범주명+화장품유형명’처럼 긴 이름이 늘고 있었다. 화장품 이름의 유형을 영어, 외국어, 고유어, 한자어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화장품은 서구문물인 만큼 영어가 대다수였으며 프랑스어가 그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다.
    화장품 이름에 담겨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분석하였는데,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가 ‘한약재 및 식품 사용’이고, 두 번째가 ‘자연 및 친환경 강조, 세 번째가 ‘의학 및 과학의 결합’, 마지막이 ‘선망의 대상과 동일화’였다. 기타의 의미로는 감탄사, 책 또는 통․번역 회사의 이름, 우주, 청명함을 강조하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었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의미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주요 광고 소재와 사람들의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웰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화장품에서 아름다움은 당연하며 웰빙, 과학 등 다양한 면을 추구하고자 함을 엿볼 수 있다.
    본고는 최근 텔레비전 광고에 나온 여성화장품 이름을 대상으로 언어적 및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언어적 표현 양상과 시대를 반영하는 사회상 및 사람들의 의식을 나타내는 문화적 의미를 살펴보는 계기를 가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 결과로, 여성화장품 이름의 구성 방식에서 ‘상표명’ 단독 혹은 두 가지의 결합어인 ‘상표명+제품명’이 많았으나 ‘상표명/회사명+제품명+화장품유형명’이 점차 늘고 있었다. 다양한 화장품이 만들어짐에 따라 이름을 짓을 때 상표명만을 나타내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으므로 화장품의 특징, 기능, 유행 등을 모두 표현할 수 있게끔 여러 개의 결합이 필요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어, 외국어, 고유어, 한자어로 나누어 여성화장품 이름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화장품은 서구 문물이며 선진국의 상품 선호도로 인하여 영어가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프랑스어가 다음 순위를 차지하였는데, 프랑스가 예술, 패션, 화장품 등이 발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여성화장품 이름에 담겨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였는데, 네 가지로 나눌 수가 있었다. 첫 번째가 ‘한약재 및 식품 사용’이고, 두 번째가 ‘의학 및 과학의 결합’, 세 번째가 ‘자연 및 친환경 강조, 마지막이 ‘선망의 대상과 동일화’였다. 기타로는 감탄사, 책 또는 통․번역 회사의 이름, 우주, 청명함 등이 있었다. 화장품 이름에 현대 한국 사람들의 사회문화적 이미지가 투영되어 있으리라고 보고 이 네 가지를 모아서 정리해 보면, 현대 한국 사람들은 자연적이고 친화적 환경에서 몸과 건강을 챙기기 위해 한약재와 유기농 재료를 섭취하고 피부과학과 의학이 관리해 주는 체계적인 생활 속에서 자신이 선망하는 대상을 닮아가고자 하는 희망을 안고 살아가고자 하는 염원이 담겨 있다.
    텔레비전 광고에서 여성화장품 광고가 얼마나 차지하는지를 알 수 있으며 여성화장품 중 어느 유형에서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외국어 사용이 많은지도 살펴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여성 대상으로 어느 대중매체를 선호하는지를 설문조사해본다면 여성화장품 광고를 어느 매체에 더 많이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더 쉬울 것이다. 화장품 유형과 사용 세대도 조사해 본다면 세대별로 선호하는 언어 사용과 결부하여 고유어로 된 화장품 이름이나 외국어로 된 화장품 이름 등을 지을 때 도움이 될 것이다.
    여성화장품 이름 분류에서 판매실적과 결부한다면 앞으로 만들 화장품 이름에 구성방식, 판매전략, 가격을 고려해서 정할 수 있다. 이름 분류는 판매자가 관여하는 비율이 높다면 사회문화적 의미는 사회속의 사람들의 현상을 반영한 것이므로 사용자(소비자)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상품명은 판매자보다는 소비자 위주가 될 것이며 단순한 팔기 위해 주의를 끄는 이름보다는 사회 문화적 현상을 반영하는 보다 넓은 의미의 이름이 되어야 할 것이다.
  • 색인어
  • 텔레비전 광고, 여성화장품, 상품명, 언어적 관점, 사회문화적 의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