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B00625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5월 01일)
연구책임자 김대희
연구수행기관 원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중단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언어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계승어 교육의 본질을 찾고 국내 계승의 교육의 실태와 현황을 토대로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는 한국 사회에서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계승어(heritage language)는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식적인 언어와는 다른, 특정 개인이나 가족, 공동체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이는 제2언어(second language)나 외국어(foreign language)와는 다른 개념으로 계승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태생적으로 공유하는 언어 의식이 존재한다. 즉, ‘계승어’란 다문화 사회에서 국가의 공용어 이외에 이주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며, 국적이나 언어 접촉, 구사능력과는 상관없이 가족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언어를 말한다.
    모든 언어 교육이 그러하겠지만, 특히 계승어 교육에서는 언어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이데올로기란 신념이나 행동 양식 또는 가치관의 확장된 체계를 의미하는데, 이러한 정의에 기반하여 언어 이데올로기를 정의하면, 언어적 행동과 태도에 관한 신념이나 행동 양식, 가치관이라고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래 ‘언어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은 사회과학 내에서 이미 대중화된 개념인 ‘이데올로기’를 언어인류학 내에서 재검토하여 사회 이론과 언어 현상을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어 왔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의 변화를 초래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데, 흔히 언어정책에 반영된 언어 이데올로기의 경우 언어 변화의 방향을 정당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언어 정책의 이데올로기적 차원은 표준화 등의 언어정책을 일종의 ‘담론’으로서 바라보는 접근을 통해 고찰해 볼 수 있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또한 계승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이데올로기는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은 계승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필수 과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다문화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계승어 교육의 도입과 실시는 단순히 언어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행위가 아닌 국가적․민족적 정체성이 다차원적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용인하는 성격을 지닌다. 또한 소통과 이해를 촉진시킴으로써 한국 사회에 공존하는 문화 간의 갈등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도모할 수 있으며, 계승어 교육의 결과로 교육을 받은 학생들에 의한 국가적 협력을 기대할 수 있다.
    다원주의 국가의 경험이 거의 없는 한국 사회에서 주류 인구집단이 아닌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소수자들은 뿌리 깊은 한국의 혈통주의에 입각한 단일민족의 신화로 일상생활에서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소수자들의 문제는 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 사회가 해결해야 할 공공의 문제가 되었다. 국민 생활의 변화는 의식의 변화, 문화의 변화를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필요성을 지닌다.
    첫째, 언어적 관점에서 한 사회 내 통용되는 언어의 다양한 성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에 대한 심층적 고찰과 언어 철학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다문화주의를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사회 구조와 계승어 교육과 관련하여 언어 이데올로기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학문적으로 그 양태를 살펴볼 가치가 있다.
    둘째, 사회적 관점에서 문화상호주의에 대한 우세 언어 사용 집단의 배려와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단일 민족 단일 언어 환경에 놓인 한반도에서 다른 문화와 언어에 대한 수용은 사회적으로 쉽게 용인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재외동포들에 대한 한국어 교육의 정당성과 합리성을 주창하는 논리는 한국 사회 살아가는 다문화 가정 구성원에게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 언어에 대한 문화상호주의를 한국 사회에 설파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교육적 관점에서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논의는 다각적 시각을 지닐 필요가 있다. 한국 사회에 동화시키기 위해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만 지나치게 강조되고 있는 언어 국수주의적 관점에서 벗어나야 한다. 국내 언어 교육에 대한 다원주의적 입장이 나아가야 할 바를 고민해 봄으로써 언어 교육 영역의 확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적 관점에서 다문화 가정 자녀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국가 경쟁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인적 자원이다. 이들을 대상으로 한 계승어 교육에 대한 논의는 다문화 가정 자녀가 지닌 잠재력을 신장시켜 장래에 한국과 그들의 뿌리가 되는 나라와의 긍정적 가교 역할을 견인할 수 있는 창구가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한 사회에서 통용되는 언어는 사회적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우세한 언어가 있는 반면, 특정 개인이나 가족, 공동체 내 구성원만이 사용하는 소수 언어도 있다. 같은 언어라고 할지라도 그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가 어떠한 배경을 지니고 있으며,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사용하는 언어의 성격이 달라진다. 한국어의 경우, 한국에서 나고 자란 화자에게는 모국어가 되지만, 여러 가지 목적으로 한국에 유입되어 살아가는 외국인에게는 제2언어가 되고, 한국어가 공용어가 아닌 다른 나라에서 개인적인 관심이나 교육과정에 따라 배우는 화자에게는 외국어이며, 민족 교육의 차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재외동포들에게는 계승어의 성격을 지닌다. 이렇듯 언어에 부여되는 다양한 성격에 따라 그 교육의 목표와 방향도 달라지게 마련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언어의 성격 중 계승어에 초점을 두고, 다문화 사회를 지향하는 다른 나라에서는 어떻게 계승어 교육이 실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계승어 교육 정책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는 ‘언어 이데올로기의 작용태’라는 언어 철학적 배경을 기초로 한다.
    모든 국가의 언어 교육은 기저를 이루는 언어 이데올로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언어 이데올로기가 사회 구조와 언어 사용 사이의 구심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언어 이데올로기의 개념에 대해 Silverstein(1979:193)에서는 “인지된 언어 구조와 사용에 대해 합리성과 정당성을 부여하는 언어에 대한 화자의 분명한 신념”이라고 하였으며, Rumsey(1990:346)는 “언어의 본질에 대해 화자들이 공유하는 있는 상식적 가치관”이라고 하였다. 그렇지만, 이러한 정의들이 공통적으로 내포하는 관념은 언어 이데올로기가 언어 태도와 언어 행동을 수반하거나 변화시키는 힘을 지닌다는 것이다. 곧 언어 이데올로기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의 계승어 교육 사이에 인식론적 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국내의 다문화 언어 교육이 대부분 한국어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은 우리나라가 원론적으로 다문화주의가 아닌 동화주의를 고수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한국 사회에 적응하여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한국어를 가르치는 것이 우선시되어야 함은 자명한 사실이나 다문화 가정의 언어적 배경까지 배려하고 포용하는 시도 또한 언어 교육을 연구하는 학자와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교육을 책임져야 하는 사회의 몫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다문화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언어 교육이 한국어 교육에 집중되어 있는 상황에서 언어 이데올로기의 복합성에 기초하여 다양한 변인에 따라 계승어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도적․교육적 차원에서 계승어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연구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다. 본 연구의 배경이 되는 기본 철학은 언어 이데올로기이다. 모든 국가와 민족의 언어 현상을 지배하는 언어 이데올로기가 어떠한 본질을 지니고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 기본 배경이 된다. 언어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성격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인식론적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필요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이다.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에 대해서는 국내외 발표된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언어에 대한 철학적 접근을 시도한 연구들과 미국, 캐나다, 호주 등에서 실시되는 계승어 교육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서 이 둘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국내 계승어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분석한 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과 교육적 실천 방안들을 탐구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계승어 교육을 위한 국가 차원의 교육과정이 수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가정과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계승어 교육이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계승어 교육이 국가 교육 정책에 어떻게 반영되어야 하는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한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 연구 내용에 대해 도입할 연구 방법은 면접법과 설문을 중심으로 한 질적 연구이다. 거주 지역별, 국가별, 연령별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구조화하여 변인에 따라 어떠한 양상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국가적 차원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과 교육적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국내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면접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이중언어,모국어,이중언어교육,제2언어,민족어,결혼 이민자,외국어,언어 철학,언어 이데올로기,언어 교육,계승어,계승어 교육,다문화,다문화 사회,다문화 교육,언어 교육 정책,교육 정책,국어 교육,한국어 교육,공동체 언어,가정 언어,소수 언어,정체성
  • 영문키워드
  • language education,language ideology,community language,heritage language education,foreign language,mother language,identity,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foreign language,multiculture,multicultural society,philosophy of language,bilingual education,multicultural education,policy for language education,education policy,Korean language education,marriage-immigrant,ethnic language,second language,bilingualism,heritage language,minority language,home languag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계승어 교육이 어떠한 양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철학적 관점에서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계승어(heritage language)는 지역에서 통용되는 공식적인 언어와는 다른, 특정 개인이나 가족, 공동체를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를 말한다. 이는 제2언어(second language)나 외국어(foreign language)와는 다른 개념으로 계승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는 태생적으로 공유하는 언어 의식이 존재한다. 즉, ‘계승어’란 다문화 사회에서 국가의 공용어 이외에 이주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며, 국적이나 언어 접촉, 구사능력과는 상관없이 가족의 뿌리를 알 수 있는 언어를 말한다.
    모든 언어 교육이 그러하겠지만, 특히 계승어 교육에서는 언어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작용한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의 구현 양상에 있어서 변화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흔히 언어 행위에 반영된 언어 이데올로기의 경우 언어 변화의 방향을 정당화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어떻게 조정하는지, 또한 계승어 교육에 있어서 언어 이데올로기는 어떠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는 작업은 계승어 교육의 성격과 목표, 내용을 설정함에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필수 과정이다.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 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계승어에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긍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전수하려는 친계승어 이데올로기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승어를 공용어 습득의 간섭 요인으로 간주하여 주류 사회로의 빠른 적응과 흡수를 위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반계승어 이데올로기이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사회와의 능동적 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수 언어 습득 및 사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족 내 소통을 위한 ‘가족 언어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습득을 위한 가족 내 역할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족 외부에서의 계승어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s of heritage language in multicultural society by exploring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ideology and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 society should embrace the values and briefs of minority group to attain the positive social integration. Especially, in language usage the mainstream society need to take note the language ideologies. Because the language ideology controls the linguistic attitude and behavior about heritage language.
    Language ideologies operating in heritage language education can be gauged on a continuum of pro-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one end and anti-heritage language ideology on the other. The former promotes the use of heritage language by authorizing the meaningful valuation individually and socially.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pposes the heritage language education because it interferes in early adaptation to mainstream society.
    The directions for heritage language education are as below: 1) the spread of positive awareness about the acquisition and use of minority language, 2) the establishment of family language policy, 3) the setting up family role structure, and 4) the expansion of communication opportunity through heritage langu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 사회가 사회 통합을 능동적인 형태로 지향하기 위해서는 소수 집단이 지닌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가치관을 인정하는 것이 출발점이다. 특히 언어 문제에 있어서는 소수 집단이 지닌 언어 이데올로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적 태도와 행동을 조정하기 때문이다.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 이데올로기는 두 가지 양상으로 나타난다. 하나는 계승어에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긍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전수하려는 친계승어 이데올로기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승어를 공용어 습득의 간섭 요인으로 간주하여 주류 사회로의 빠른 적응과 흡수를 위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반계승어 이데올로기이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사회와의 능동적 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소수 언어 습득 및 사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족 내 소통을 위한 ‘가족 언어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습득을 위한 가족 내 역할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족 외부에서의 계승어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주의의 본질에 대한 탐색을 기반으로 언어 이데올로기와 계승어 교육의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두었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단순히 현상학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를 지배하는 이념의 변화를 수반한다. 단일 문화만이 존속하던 사회에서 부정적으로 치부되었던 민족 간, 문화 간 상이성과 다양성의 가치를 재조명하고 그것을 극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회 통합까지 고려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진 것이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수 민족에 대한 사회적․제도적 차별을 철폐하고, 상생의 관계를 형성하여 긍정적인 형태의 사회통합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펼쳐진 것이다. 이렇게 다문화를 사회적으로 적극 인정하려는 일련의 움직임을 다문화주의라고 한다.
    다문화 사회가 지향하는 사회 통합을 능동적인 형태로 지향하기 위해서는 소수 집단이 지닌 언어와 문화에 대한 가치관을 인정하고, 장려해야 한다. 특히 언어 문제에 있어서는 소수 집단이 지닌 언어 이데올로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언어 이데올로기는 언어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 방향을 정당화하는 경향을 지니기 때문이다. 즉, 언어 이데올로기는 계승어에 대해 언어 태도와 행동을 조정하는 기제가 된다.
    다문화 가족에게 있어서 결혼 이민자의 모국어는 인식하는 관점에 따라서 자산이 될 수도 있고, 장애가 될 수도 있다. 계승어 교육과 관련한 언어 이데올로기도 이 두 쟁점을 반영한다. 하나는 계승어에 개인적 또는 사회적으로 긍정적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언어의 사용을 장려하고 전수하려는 친계승어 이데올로기이며, 또 다른 하나는 계승어를 공용어 습득의 간섭 요인으로 간주하여 주류 사회로의 빠른 적응과 흡수를 위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반계승어 이데올로기이다.
    어떤 언어에 대한 가치관이며 신념인 언어 이데올로기는 옳고 그름의 문제도 아니며, 평가의 문제도 아니다. 다문화 가족과의 통합을 지향하는 국가 또는 사회 공동체가 해야 할 일은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인정하거나 상황에 따라 필요한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교육적 시도는 한국 사회와의 능동적 통합을 구현할 수 있는 긍정적인 가치를 지닌다. 다문화 가족의 자녀를 글로벌 인재로 육성하고, 계승어의 세대 간 전수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계승어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첫째, 소수 언어 습득 및 사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시켜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족 내 소통을 위한 ‘가족 언어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셋째, 언어 습득을 위한 가족 내 역할 구조를 설정하여야 한다. 넷째, 다문화 가족 외부에서의 계승어 소통 기회를 확대하고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계승어 교육에 대한 논의는 단순히 언어와 언어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배경에만 초점을 둔 것이 아닌 민족적․문화적 정체성, 언어에 대한 가치관과 신념의 구현, 동화와 통합의 경계에서의 갈등과 고민 등 다차원적 관점에서 해석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계승어 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한 변인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든지 개인적 이상과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 색인어
  • 계승어, 계승어 교육, 언어 이데올로기, 이중언어 교육, 다문화, 다문화주의, 다문화 사회, 다문화 가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