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거시적 차원에서 아렌트의 고독에 대한 의미, 즉 도덕적·치유적· 정치적 기능을 정리함으로 인해 정신건강 이해의 토대로서 고독에 대한 위상을 정립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위한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인문치료전략을 수립하는데 있 ...
본 연구는 거시적 차원에서 아렌트의 고독에 대한 의미, 즉 도덕적·치유적· 정치적 기능을 정리함으로 인해 정신건강 이해의 토대로서 고독에 대한 위상을 정립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위한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인문치료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아래의 기여도와 함께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고독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은 정신건강에서 고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도모하는 도덕교육과 인문치료연구를 위한 준거점이 될 수 있다.
(1)학문적·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렌트의 철학을 정신건강 고양과 연계시켜 연구한 최초의 시도가 된다. 아렌트의 관점에서 본 정신건강 이해는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정신건강 방법론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연구의 타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아렌트의 사상을 활용한 의미치료, 이야기치료는 다양한 인문치료의 이론적 기초와 방법론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아렌트의 고독개념 속에서 내재된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기능이 있음을 밝혀내는 연구는 고독의 의미를 학문적으로 정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렌트의 고독 속의 다양한 기능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자가 최초로 정리한 연구로, 아렌트 연구의 폭을 넓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한 고독에 대한 새로운 조명은 막연했던 정신건강에서 고독의 의미와 역할을 선명하게 정리함으로써 학계의 후속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말하자면, 고독에 대한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고독이 긍정적인 의미와 교육적 효능을 가짐으로써 인문치료와 도덕교육의 함양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 정신건강 돌봄에서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정신건강 방법론으로 고독은 자기 돌봄의 한 방식이기에, 결과적으로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자기 돌봄의 가치가 가져오는 사회적 긍정적인 효과와 가치를 알게 해 준다.
마지막, 본 연구의 방법론이 타당성있게 받아진다면, 본 연구결과의 활용범위가 이론적 차원에서 실천적 차원에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문학의 실용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2)인력양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 방법을 통해 현장 교사들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유하기 교육과 이야기하기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는 교사들의 수업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인문치료사들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용점을 이끌어 낼 것이다. 고독에 대한 이해는 구체적인 정신건강 고양을 도모하는 치료사들의 치료 전략에 도움을 줄 것이다.
(3)교육의 연계활동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렌트의 고독의 다양한 윤리적·심리적·정치적 함의를 정리·분석함으로써 실제 도덕교육 상황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도덕교육 내용으로서의 관련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에서 개발된 아렌트의 의미치료, 이야기치료는 일선 중·고등학교 현장에서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교육에서 정신건강을 고양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직접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 정신건강 돌봄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 정신건강 돌봄에서 고독의 중요성과 고독의 교육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의 필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청소년 발달단계의 새로운 이해 모델을 제공해 준다. 발단단계의 한 척도로서 고독의 의미와 위상을 설명하는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이해하는 새로운 기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