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나 아렌트의 고독(solitude) 속의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기능에 대한 연구: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위한 인문치료를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27-A00223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5월 01일 ~ 2012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천명주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아렌트의 입장에서 본 정신건강의 의미를 토대로 하여 고독의 가치를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기능이 있음을 밝혀내는 작업을 실행함으로 인해 아렌트의 고독을 토대한 정신건강론, 즉 건강한 삶의 윤리학적 담론을 만들고자 한다. 나아가 건강한 삶을 향유할 수 있는 윤리적 방법으로 아렌트의 의미치료, 이야기치료를 정리함으로써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위한 인문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거시적 차원에서 아렌트의 고독에 대한 의미, 즉 도덕적·치유적· 정치적 기능을 정리함으로 인해 정신건강 이해의 토대로서 고독에 대한 위상을 정립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위한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인문치료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첫째, 아렌트의 고독개념 속에서 내재된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기능이 있음을 밝히는 연구는 고독의 의미를 학문적으로 정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한 고독에 대한 새로운 조명은 막연했던 정신건강에서 고독의 의미와 역할을 선명하게 정리함으로써 학계의 후속연구에 새로운 방향점을 제시해줄 것이다. 셋째, 인문치료 방법을 통해 현장교사들과 인문치료사들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청소년 발달단계의 새로운 이해모델을 제공해 준다. 다섯째, 연구에서 개발된 아렌트의 의미치료, 이야기치료는 일선 중고등학교 현장에서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교육에서 정신건강을 고양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직접 활용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최근의 국내 연구 현황을 볼 때, 소수의 선행연구에서, 특히 심리학과 인문학 연구들이 고독경험이 정신건강 도모에 기여하는 바가 있다는 것을 논의하고 있지만, 고독의 의미를 명확하게 정립한 연구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고독이 긍정적으로 해석될 때와 부정적으로 해석될 때 고독의 의미가 차이가 드러남을 통해서 고독의 개념과 의미를 명확하게 정립해야 할 필요성에 의해서 진행되었고, 아렌트의 고독 개념을 토대로 고독의 가치와 고독 능력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철학, 혹은 도덕교육에서 고독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고, 교육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아렌트의 고독 개념은 고립, 외로움과는 명확하게 구분된다. 아렌트에 의해서 정리된 고독, 고립, 외로움의 구분은 기존의 고독이 가지는 혼합적인 의미를 정리함으로 인해 고독의 가치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기준이 된다. 아렌트의 고립(isolation)은 세상의 객관적인 질서로부터, 즉 공적 영역에서 자신이 소외되어 있다는 데서 오는 홀로됨이고, 외로움(loneliness)은 타자들과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것이다. 아렌트의 고립과 외로움은 일반적인 사용되는 고독의 부정적인 의미와 연결된다.
    반면에 아렌트의 고독은 사유(thinking) 과정에서 정립되는 개념이다. 사유는 고독을 전제로 하기에, 아렌트의 사유는 고독한 사유이다. 고독한 사유는 개인이 사유의 파트너인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고, 또 다른 자아와의 소통을 통해 좋은 관계를 유지함으로써 시민을 악(evil)으로부터 구제해 준다. 따라서 아렌트의 고독은 개인이 자신의 또 다른 자아와 나누는 대화이다. 침묵의 대화인 고독은 한 개인이 자유로운 삶의 도덕적 주체가 되게 하고, 자기기만의 거짓을 탈을 벗고 긍정적인 자아를 도모하며, 건강한 예비시민이 되게 해준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아렌트의 고독은 도덕적, 치료적, 정치적 기능과 효과를 담고 있다. 이에 아렌트의 고독은 고독의 긍정적 의미를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아렌트의 고독 개념에 대한 분석은 정신건강의 방법론으로 고독의 의미와 위상을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고립,정신건강,외로움,사유,이야기 치료, 복수성,고독,한나 아렌트,자기인식,의미치료,도덕성,인문치료
  • 영문키워드
  • Hannah Arendt,solitude,plurality,thinking,humanities therapy,loneliness,isolation,mental health,morality,logotherapy,narrative therapy,self-awarenes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기존의 심리학과 인문치료 연구들은 고독이 사회적 상호작용의 부재상태를 일컫는 개념으로 보고, 고독 상태의 부정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정신건강 개념 속에서 고독의 의미가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문제점을 논의하면서, 고독의 긍정적 가치를 밝혀내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고독의 개념과 의미,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명확하게 정립하였고, 그 토대를 한나 아렌트의 고독개념을 통해서 밝혀내었다. 아렌트의 고독개념은 고립(isolation), 외로움(loneliness)과는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념이다. 그래서 아렌트가 말하는 고독은 기존의 고독이 가지는 혼합적인 의미를 정리함으로 인해 고독의 가치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개념과 기준이 된다. 말하자면, 아렌트의 고립은 세상의 객관적인 질서로부터 자신이 소외되어 있다는 데서 오는 홀로됨이고, 외로움은 타자들과의 관계에서 소외감을 느끼는 것이다. 반면에 고독은 개인이 자신의 또 다른 자아와 나누는 대화이다. 이 침묵의 대화는 한 개인이 도덕적 자아가 되고, 긍정적인 자아가 되며, 궁극적으로 건강한 시민이 되도록 하는 내적 성장의 과정이다. 이에 아렌트의 고독은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기능을 담보하고 있다. 나아가 아렌트의 고독 개념은 고독의 교육적 가치와 그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윤리적 방법론을 모색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 영문
  • So far, psychological and humanities therapy researches have focused on the negative aspects of solitude under an assumption that solitude indicates the absence of social interac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a current problem that solitude is just taken as negative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of mental health, ultimately proving the positive value of solitud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tried to clearly determine the concept, meaning and functions of solitude in accordance with Arendt's concept of solitude. For Arendt, solitude is clearly discriminated from isolation or loneliness. It is also a prototype that reveals the proper value of solitude by rearranging conventional complicated meanings of that emotion. According to Arendt, in other words, isolation indicates that you become alone as you are alienated from the objective order of the world and loneliness, you feel alienated as you make relations with others. Meanwhile, solitude is a dialogue that your self has with your another self. This silent dialogue is an inner growth process in which an individual becomes a moral self, then a positive self and ultimately a man of sound citizenship. Thus, solitude that Arendt conceptualized has moral, therapeutic and political functions secured in it. The concept also provides a basis on which the educational value of solitude is idenfied and an ethical method to realize that value can be foun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 의미 속의 고독에 대한 새로운 조명을 해야 할 필요성과 이유를 설명하는데 있다. 정신건강의 방법론으로서 고독은 정신건강을 위한 내면적 성찰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그 가치를 명백하게 정리하는데 있다. 그 정리 작업을 한나 아렌트의 사유개념 속에 드러나는 고독의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다시말해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고독 개념 속에 내재된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가치와 기능을 밝혀 내어, 건강한 청소년을 양성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본 연구는 고독의 교육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인문치료, 즉 의미치료와 이미기치료를 설명하고, 인문치료가 도덕교육에 적용가능함을 밝혀내는데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는 거시적 차원에서 아렌트의 고독에 대한 의미, 즉 도덕적·치유적· 정치적 기능을 정리함으로 인해 정신건강 이해의 토대로서 고독에 대한 위상을 정립하고, 미시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위한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인문치료전략을 수립하는데 있다. 아래의 기여도와 함께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고독의 의미에 대한 재조명은 정신건강에서 고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이며, 청소년의 정신건강 고양을 도모하는 도덕교육과 인문치료연구를 위한 준거점이 될 수 있다.
    (1)학문적·사회적 기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렌트의 철학을 정신건강 고양과 연계시켜 연구한 최초의 시도가 된다. 아렌트의 관점에서 본 정신건강 이해는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정신건강 방법론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연구의 타당성을 제공한다. 나아가 아렌트의 사상을 활용한 의미치료, 이야기치료는 다양한 인문치료의 이론적 기초와 방법론을 제공할 것이다.
    둘째, 아렌트의 고독개념 속에서 내재된 도덕적, 치유적, 정치적 기능이 있음을 밝혀내는 연구는 고독의 의미를 학문적으로 정립하는데 도움이 된다. 아렌트의 고독 속의 다양한 기능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자가 최초로 정리한 연구로, 아렌트 연구의 폭을 넓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한 고독에 대한 새로운 조명은 막연했던 정신건강에서 고독의 의미와 역할을 선명하게 정리함으로써 학계의 후속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말하자면, 고독에 대한 기능을 이해함으로써 고독이 긍정적인 의미와 교육적 효능을 가짐으로써 인문치료와 도덕교육의 함양에 기여할 것이다.
    넷째, 정신건강 돌봄에서 자기 돌봄의 중요성을 밝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정신건강 방법론으로 고독은 자기 돌봄의 한 방식이기에, 결과적으로 고독의 경험을 활용한 자기 돌봄의 가치가 가져오는 사회적 긍정적인 효과와 가치를 알게 해 준다.
    마지막, 본 연구의 방법론이 타당성있게 받아진다면, 본 연구결과의 활용범위가 이론적 차원에서 실천적 차원에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문학의 실용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2)인력양성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치료 방법을 통해 현장 교사들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유하기 교육과 이야기하기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는 교사들의 수업방법을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다양한 인문치료사들의 자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용점을 이끌어 낼 것이다. 고독에 대한 이해는 구체적인 정신건강 고양을 도모하는 치료사들의 치료 전략에 도움을 줄 것이다.
    (3)교육의 연계활동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렌트의 고독의 다양한 윤리적·심리적·정치적 함의를 정리·분석함으로써 실제 도덕교육 상황에서 필요한 요소들을 도출하고, 도덕교육 내용으로서의 관련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연구에서 개발된 아렌트의 의미치료, 이야기치료는 일선 중·고등학교 현장에서 모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도덕교육에서 정신건강을 고양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직접 활용할 수 있다.
    셋째, 청소년 정신건강 돌봄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청소년 정신건강 돌봄에서 고독의 중요성과 고독의 교육적 가치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방법의 필요성을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넷째, 청소년 발달단계의 새로운 이해 모델을 제공해 준다. 발단단계의 한 척도로서 고독의 의미와 위상을 설명하는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이해하는 새로운 기준이 된다.
  • 색인어
  • 한나 아렌트, 고독, 사유, 외로움, 복수성, 정신건강, 아돌프 아이히만, 의미치료, 이야기하기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