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 한일관계 자료의 수집, 발간,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인문사회분야)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413-B00007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12월 01일 ~ 2014년 11월 30일)
연구책임자 이원덕
연구수행기관 국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정병준(이화여자대학교)
김태기(호남대학교)
안소영(국민대학교)
현대송(국민대학교)
정용욱(서울대학교)
유지아(중앙대학교)
남기정(서울대학교)
박창건(국민대학교)
김영미(국민대학교)
박진희(국사편찬위원회)
이석우(인하대학교)
황선익(국민대학교)
이정환(국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소의 3단계 총괄 연구계획은 “한일회담 이전시기(1945-1951) 한일관계 자료의 수집, 발간, 연구”이다. 본 연구는 본 연구소의 1, 2단계의 사업성과를 계승하여 1)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 한일관계 관련 자료들을 조사, 수집하며, 2) 이를 한일회담 의제 및 한일관계 주요 이슈별로 분류, 정리하여 자료집을 발간하고, 3) 이에 기반하여 본격적인 학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45년부터 1951년까지의 시기는 일본 제국이 붕괴하면서 과거의 제국질서가 새로운 냉전 질서에 편입되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한국과 일본은 직접적인 교류를 통해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았지만 새로운 관계정립을 위해 양국은 과거 청산을 통해 전후 처리의 방향을 모색할 뿐 아니라 동아시아를 지배하던 냉전질서 속에서 자신의 위상을 새로이 정립해야만 했다. 이 과정에서 미국의 전후 구상은 한일관계의 새로운 정립을 위한 일차적인 규정력을 지닌 것이었다. 그러나 또한 과거사 청산의 주체로서 한국과 일본은 과거 청산에 대한 상호 인식의 차이를 드러내며 미국의 전후 구상에 대한 대응과정을 통해 미국의 전후구상을 변용시키는 주체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연구 시기는 한미일 관계라는 프리즘을 통해 한일관계의 현안들이 다양한 형태로 도출되는 특징을 지니며, 이후 전개되는 한일회담의 성격을 규정하는 배경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바로 이러한 한일회담의 성격을 규정하는 전사로서 한일회담 이전 시기에 주목하며, 구체적으로는 청구권, 재일한인, 어업, 영토문제 등 한일회담의 주요 현안들이 이 시기 어떠한 방식으로 도출되고 조정되어 가는지를 실증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현대 한일관계의 기원으로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지역안보체제의 구축과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하여 전후 한일관계사에 대한 국제정치적 구조를 기초자료에 기반하여 학술적으로 검토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다음의 세 가지로 집약된다.
    첫째, 미국의 전후 구상 및 점령정책과 한일회담의 현안문제들에 대한 연관성을 해명함으로써 전후 과거사 청산문제의 국제정치적 함의를 도출한다. 이러한 연구방식은 한일관계 인식의 보다 확대된 시야를 제공할 것이다.
    둘째, 과거사 청산문제와 관련하여 현재까지도 한일 간의 주요 쟁점이 되고 있는 현안문제들에 대한 기초사료들을 수집, 정리함으로써 한일관계 연구의 토대 확충에 기여할 것이다.
    셋째, 한일회담의 전사로서 1945-1951년의 시기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한일회담의 전후사를 완성함으로써 전후 한일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역사상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소는 1,2단계 사업을 통해 한일회담의 전개과정과 이후의 현안문제의 처리과정을 실증적으로 검토해왔다. 이제 한일회담의 전사(前史) 연구를 통해 전후 한일관계의 역사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전후 처리와 과거사 인식의 문제가 지닌 위치와 성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GHQ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 관련문서를 조사, 수집하여, 주제군별로 목록집, 해제집과 자료집을 발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차별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차 : 한일관계 기초자료의 조사 수집 및 쟁점별 목록집 작성
    본 연구의 1년차 목표는 GHQ 문서 중 한일관계 관련 문서를 조사,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쟁점별 목록집을 작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수집대상 자료 중 가장 핵심이 될 문서는 연합국 총사령부(GHQ/SCAP)의 문서이다. 이 자료는 1945년에서 1952년까지 점령정책 실행기관인 GHQ/SCAP에서 생산된 약 3천만 페이지에 달하는 문서로, 미국 국립문서관(NARA)의 레코드 그룹(RG) 331("Records of Allied Operational and Occupation Headquarters, World War Ⅱ")에 포함되어 있다.
    1차적으로 GHQ 문서를 비롯한 관련 1차 자료의 소재와 수집현황, 소장 자료의 범위를 국사편찬위원회를 비롯한 국내 유관기관을 망라하여 파악한 후에, 일본과 미국 등 해외의 공문서관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범위를 넓혀갈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한일회담의 전사(前史)로서의 한일관계 연구’의 목적에 따라 주제군별로 목록집을 작성, 발간할 계획이다.

    2) 2년차 : 주제별 자료집 및 해제집 발간
    본 연구의 2년차 목표는 1년차에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들을 대상으로 해제집 및 주요문서 자료집을 발간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초자료 확보를 통해 향후 다양한 연구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적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해제집은 1년차에 작성된 목록집에 수록된 문서들에 대한 형성경위와 작성기관, 문서의 성격 등을 포괄하는 총괄적 해설을 담을 것이다. 또한 수집된 문서들 가운데 핵심자료를 쟁점별로 편집하여 자료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자료집의 분류 기준이 되는 주제군은 1, 2단계의 한일회담 연구의 연속선상에서 설정된 3단계 연구주제에 따라 청구권 및 경제관계, 재일한인 관계, 어업 및 평화선 관계, 독도 및 영토관계, 문화재 관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관계, 안전보장 및 기타 관계로 총 7개의 주제군이 될 것이다.

    3) 3년차 : 실증연구 및 연구 가이드북 발간
    본 연구의 3년차 목표는 1, 2년차에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학술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 주제군은 크게는 한일회담의 주요 의제들에 대한 전사(前史) 연구, 현대 한일관계의 기원 연구가 될 것이며, 세부적으로는 재산청구권 문제, 재일한인의 귀환 및 법적지위 문제, 어업관계 및 평화선 문제, 독도문제 및 영토문제, 문화재 문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안전보장 및 기타 문제가 될 것이다. 한일관계 연구가 일국사적 관점을 넘어 동아시아 국제관계 속에서 조망되어지기 위해서는 당시 한일회담 및 한일관계 현안들에 대한 미국의 전후구상 및 점령정책과의 연관성을 해명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관련 자료들의 발굴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다수의 기존 연구가 1차 자료에 대한 충분한 검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하여 무엇보다도 1차 자료에 대한 정밀한 분석을 통한 새로운 사실발견 및 해석, 그리고 새로운 시각의 제시를 목표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한일관계의 원형으로서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를 재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차년도에는 1년차 목록집 발간, 2년차 해제집 및 자료집 발간에 이어 본 연구소의 자료 조사 및 수집 과정의 노하우를 담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발간할 계획이다. 본 연구가이드 북은 한일회담 이전 시기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이 이 시기에 대한 자료적 접근과 활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 관련 자료의 소장실태와 이용 현황, 이들에 대한 접근 방법 등 검색 매뉴얼을 첨부함으로써 연구자들의 자료 이용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경제협력,안전보장,한일회담,한일관계,한미관계,평화선,청구권,재일한인,연합국 총사령부,어업문제,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냉전,동아시아,문화재,미일관계,독도문제
  • 영문키워드
  • Cold War,East Asia,Japan-U.S. relations,Korea-Japan relations,Korean residents in Japan,claim rights,the peace line,security,fishery issue,economic cooperation,cultural assets,San Francisco Peace Treaty,Korea-U.S. relations,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GHQ,Dokdo islet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개요(초록)
    본 연구소의 3단계 총괄 연구계획은 “한일회담 이전시기(1945-1951) 한일관계 자료의 수집, 발간, 연구”이다. 본 연구는 본 연구소의 1, 2단계의 사업성과를 계승하여 1)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 한일관계 관련 자료들을 조사, 수집하며, 2) 이를 한일회담 의제 및 한일관계 주요 이슈별로 분류, 정리하여 자료집을 발간하고, 3) 이에 기반하여 본격적인 학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배상 및 청구권관계, 한일 경제관계, 재일한인 관계, 어업 및 평화선 관계, 독도 및 영토관계, 그리고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및 안보관계 쟁점들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추진하였다.
    이 연구과제의 연구목표에 따른 연차별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차 : 연합국 총사령부(GHQ/SCAP)의 문서를 중심으로 한 한일관계 기초자료의 조사 수집 및 쟁점별 목록집 작성
    2) 2년차 : 주제별 자료집 및 해제집 발간
    3) 3년차 : 실증연구 및 연구 가이드북 발간
    본 연구를 통해 발간된 목록집, 자료집 등은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학문적 발전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즉 한일관계 원형을 형성한 점령기 한일관계의 특징과 구조를 국제정치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한일회담 의제의 대두과정과 논의구조에 대한 일반적 이해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한일관계, 동아시아 국제관계 등의 전문가 및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년차 실증연구의 결과물인 연구 총서는 한일관계론, 한국 현대사, 국제관계론 등 대학의 관련학과 정규 과목의 교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연구 가이드북은 이 분야 연구자들에게 연구의 길잡이로 활용될 것이다.
  • 영문
  • 연구개요(초록) / 영문
    The agenda of our third research stage is “Collection, Database, and Research on Raw Materials of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before Korea-Japan Normalization Talks.” This work attempted 1) to collect raw materials related with the Korea-Japan relations from 1945 to 1951, 2) to categorize them into key issues and make mateiral books, and 3) to accomplish academic researches on them.
    Specifically, we made collections of significant materials in 6 categories: 1) claims and reparation, 2) economic relations, 3) 4) legal status and returns of Korean Japanese, 4) fisheries and peace line, 5) dokdo and territorial disputes, and 6) the San Francisco Treaty and security. In addition, we performed empirical researches on each issue.
    The research work in each year is as follow.
    1) the first year: collection and making lists of significant raw materials of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focusing on documents of GHQ/SCAP
    2) the second year: making material books and bibliographical introductory books in each category
    3) the third year: empirical researches and publication of guide book on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from 1945 to 1951
    The outcome of our institute will be utilized as foundations for future academic researches and foreign policy making process. Since our work can provide fundamental empirical datas and crucial perspectives on how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is made immediately after the Second World War, it can be very beneficial to experts and policy-makers of the Korean-Japanese relations and East Asian international relations. Also, our academic research books will be textbooks of the Korean-Japan relations, Korean histor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소의 3단계 총괄 연구계획은 “한일회담 이전시기(1945-1951) 한일관계 자료의 수집, 발간, 연구”이다. 본 연구는 본 연구소의 1, 2단계의 사업성과를 계승하여 1) 한일회담 이전 시기(1945-1951년) 한일관계 관련 자료들을 조사, 수집하며, 2) 이를 한일회담 의제 및 한일관계 주요 이슈별로 분류, 정리하여 자료집을 발간하고, 3) 이에 기반하여 본격적인 학술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 내용으로는 청구권, 재일한인, 어업, 영토문제 등 한일회담의 주요 현안들이 이 시기에 어떠한 방식으로 도출되고 조정되어 가는지를 실증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대 한일관계의 기원으로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지역안보체제의 구축과정에 대한 연구도 함께 수행하여 전후 한일관계사에 대한 국제정치적 구조를 기초자료에 기반하여 학술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연구목표에 따른 연차별 연구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년차 : 한일관계 기초자료의 조사 수집 및 쟁점별 목록집 작성
    본 연구의 수집대상 자료 중 가장 핵심이 될 문서는 연합국 총사령부(GHQ/SCAP)의 문서이다. 이 자료는 1945년에서 1952년까지 점령당국인 GHQ/SCAP에서 생산된 약 3천만 페이지에 달하는 문서로, 1차년도에는 GHQ 문서를 비롯한 1차 자료의 소재와 수집현황, 소장 자료의 범위를 국사편찬위원회를 비롯한 국내 유관기관을 망라하여 파악한 후에, 일본과 미국 등 해외의 공문서관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한일회담의 전사(前史)로서의 한일관계 연구’의 목적에 따라 주제군별로 목록집을 작성, 발간하였다.
    2) 2년차 : 주제별 자료집 및 해제집 발간
    2년차에는 1년차에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들을 대상으로 해제집 및 주요문서 자료집을 발간하였다. 해제집은 목록집에 수록된 문서의 작성기관, 문서의 성격 등을 포괄하는 총괄적 해설을 담을 것이다. 또한 수집된 문서들 가운데 핵심자료를 쟁점별로 편집하여 자료집을 발간하였다. 자료집은 한일회담 연구의 연속선상에서 설정된 연구주제에 따라 청구권 및 경제관계, 재일한인 관계, 어업 및 평화선 관계, 독도 및 영토관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관계, 안전보장 및 기타 관계로 분류하였다.
    3) 3년차 : 실증연구 및 연구 가이드북 발간
    3년차 연구의 목표는 1, 2년차에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연구 주제는 크게 한일회담의 주요 의제들에 대한 전사(前史) 연구, 현대 한일관계의 기원 연구가 될 것이며, 세부 주제는 위의 자료집의 주제 분류와 동일하다. 또한 3차년도에는 1년차 목록집 발간, 2년차 해제집 및 자료집 발간에 이어 본 연구소의 자료 조사 및 수집 과정의 노하우를 담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발간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가이드 북은 한일회담 관련 연구자들이 이 시기에 대한 자료적 접근과 활용,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본 연구소의 3단계 연구과제는 GHQ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 관련문서를 조사, 수집하여, 주제군별로 목록집, 해제집과 자료집을 발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 실증연구를 수행하는 것이었다. 연차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결과
    ▷ 1년차
    ①1년차에는 GHQ 문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 관련 자료를 조사,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쟁점별 목록집을 작성하였다. 목록 작성을 위한 주요 항목의 설정은 자료의 성격을 파악하고 연구자들이 자료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해당문서에 대한 상세정보를 담는 것으로 하였다. 이에 자료 목록집의 정리 항목은 수집 자료의 소장처별로 그 분류방식을 적용하여 항목을 구성하였다.
    ②수집된 마이크로피시 자료의 일부는 PDF파일로 전환하였다. CPC(민간재산관리국), ESS(경제과학국), GS(민정국), FSP(주일미대사관 정치고문부) 등의 문서군을 포함하는 총 421개의 마이크로피시 시트(낱장 문서 41,250여장)가 PDF파일로 전환되었다.
    ▷2년차
    : 2차년도에는 1차년도에 조사, 수집한 한일회담 이전시기(1945-1951년) 한일관계 관련 자료들을 한일회담 의제 및 한일관계 주요 이슈별로 분류·정리하여 해제논문을 붙인 "주제(Agenda)별 자료집”을 발간하였다. 각 자료집 및 해제논문의 권별 주제는 다음과 같다. 제1권 - 배상 및 청구권 관계, 제2권 - 한일 경제 관계, 제3권 - 재일한인 관계, 제4권 - 어업 및 평화선 관계, 제5권 - 독도 및 영토 관계, 제6권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및 안전보장 관계.
    ▷3년차
    :첫째, 1, 2년차에 체계적으로 수집, 정리, 분류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격적인 심화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물을 학술지에 게재 또는 투고하였다. 둘째, 3단계 1년차의 수집자료 목록집 발간, 2년차의 해제 및 자료집 발간을 통한 본 연구소의 자료 조사 및 수집 과정의 노하우를 담아 연구자를 위한 가이드북을 작성하였으며 검토와 수정작업을 거쳐 최종결과물로 발간될 예정이다.

    2)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수집 정리하여 발간되는 목록집, 해제집, 자료집 등은 학술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차세대 연구의 지적 기반으로 크게 활용될 것이다. 본 연구의 성과와 아울러 이러한 자료들로 후속 연구되는 성과물들은 한일관계연구사의 공백을 메우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며, 다양한 자료의 발굴을 통해 한일관계사 뿐 아니라 한국현대사, 외교 및 국제관계 연구 분야의 후속 연구자를 양성하는데 일조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 조사, 수집, 분류 정리의 일련의 과정에 연구자들과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면서 이들의 전문성 확대 및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며, 다양한 문서자료의 확보와 활용을 통해 외교사 연구에 필수적인 아키비스트의 소양을 갖춘 전문연구인력을 양성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본 연구 성과는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일관계 원형을 형성한 점령기 한일관계의 특징과 구조를 국제정치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한일회담 의제의 대두과정과 논의구조에 대한 일반적 이해기준을 제시함과 동시에 포스트 냉전기의 바람직한 동북아공동체 및 한일관계 형성을 위한 비전을 제시할 것이기 때문에 연구의 성과는 한일관계, 동아시아 국제관계 등의 전문가 및 실무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성과물인 해제집과 자료집, 연구 총서는 대학의 관련학과 정규 과목에서 기본 교재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한일관계론, 한국 현대사, 국제관계론 등 관련 분야에서 기초사료에 충실한 실증적인 교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한일회담, 청구권, 재일한인, 어업 및 평화선, 독도문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연합국 총사령부(GHQ/SCAP), 안전보장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