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이의 해석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 ...
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이의 해석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첫째,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알아보고, 둘째,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대효과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통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참가인구의 증가 및 관심의 증가 추세인 야외스포츠이자 항공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에 대해 바르게 인지하며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 ...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통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참가인구의 증가 및 관심의 증가 추세인 야외스포츠이자 항공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에 대해 바르게 인지하며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독적 성향의 참가자를 이해하는데 있어 기존 참가자 중심이었던 시각을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주변인, 그 가운데에서도 배우자를 중심으로 바라보고자 시도한 것은, 그동안 간과되었던 부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에 대한 총체적, 심층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가자 중심의 기존 연구는 참가자만을 파악하는데 그쳤으나,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 그 주변인에 관한 연구는 참가자뿐만 아니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전체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하나에 치우치거나, 편중되거나 또는 간과된 이해가 아닌 통합적, 총체적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당 활동 참가자와 주변인 상호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파악으로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주변인(가족간, 부부간)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갈등, 무시, 포기의 악순환에 대한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점을 제시하여 상충의 조절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주변인 특히 배우자를 통해 본, 본 연구는 중독적 운동참가자로 인한 가족 간의 갈등의 문제점이 가족관계의 회복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계속적으로 전문화되어가고 진지화되어가는 현재의 여가스포츠 현장에서 보여 질 수 있는 중독적 성향에 대한 바람직한 여가스포츠 장 마련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가이드라인의 설정으로 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 여가교육을 통하여 중독적 성향에서 올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요약
스포츠로의 중독은 자신뿐 아니라 주변에 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무엇보다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고 경험하고 있는 가족구성원은 해당 스포츠를 지지할 수도 또한 커다란 장애로 인식할 수 있다. 가족은 사회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자 가족 구성원의 정서적 ...
스포츠로의 중독은 자신뿐 아니라 주변에 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며, 무엇보다 가장 가까이에서 접하고 경험하고 있는 가족구성원은 해당 스포츠를 지지할 수도 또한 커다란 장애로 인식할 수 있다. 가족은 사회생활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이자 가족 구성원의 정서적 결속력 중심지로 그 중에서도 부부는 결혼을 통해 가족을 형성하고 오랫동안 함께 적응하며 살아온 사람들로 특히 부부의 한쪽에서 본 상대편 즉, 남편에 대한 아내, 아내에 대한 남편인 배우자는 가족 구성원의 기초로서 인격적·정서적·성적으로 관계를 맺음과 동시에 서로 보살피면서 경제생활, 사회생활을 하는 가운데 협력하는 친밀하고도 가장 밀접한 관계로 가족의 핵을 이루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 긴밀성 때문에 부부는 일체라 하며 다른 인간관계와는 달리 취급받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배우자가 부정적 경험할 때 가장 밀접한 관계인 배우자가 크게 영향을 받으며 함께 위기를 경험하게 된다(한영인, 2004). 즉, 배우자의 건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사건이 발생했을 때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장춘미, 2009). 그러므로 배우자의 목소리로, 그 자신의 시각에서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는 것은 패러글라이딩에 빠져있는 가장의 삶의 과정 속에서 드러내는 배우자와 가족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패러글라이딩은 모험스포츠 중에서도 가장 모험스포츠의 매력을 발산하는 매력감이 강한 몰입과 중독적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자연을 벗 삼은, 그리고 스릴과 짜릿함의 묘미는 참여의 극대화를 꾀해 현재 급속한 대중화를 이끌어내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패러글라이딩의 긍정적 평가와 이를 바탕으로 한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으며, 여가시대의 도래와 맞물려 이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제안 등이 이루어짐을 감안할 때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의 삶에 대한 이해는 우리가 진지하게 살펴봐야 할 현상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이의 해석을 통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 5명을 대상으로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해 나갈 것이다. 이는 중독적 참가자의 개별적 여가생활 관리 및 교육뿐 아니라 가족을 중심으로 한 여가활동의 활성화를 통해 부정적 여가 행태를 건전하게 인도하고, 가정 내의 여러 병적 문제들로부터 가족 공동체의 의미를 찾도록 하는 일(최길례, 2002)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한글키워드
삶,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배우자
영문키워드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nts,life,spous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
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주제묶음을 한 결과, 21개의 규명된 주제와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패러글라이딩 속으로 ‘뛰어들기’, 온전히 ‘빠져들기’, ‘이해하기’, 패러글라이딩 밖으로 ‘벗어나기’로 도출된 본질적 주제를 통해 ‘운명을 사랑하여 내려놓은 삶’으로 해석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가 배우자에게, 자녀에게 그리고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주목하면서 이에 맞서고 때로는 순응하면서 궁극적으로 내려놓는 가운데 다시금 새로운 희망으로 가정을 꾸려나가고 자아를 찾아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실제적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 여가교육을 통하여 중독적 성향에서 올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천방법을 제언하였다.
영문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life as a spouse of an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nt after making a close observation on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nts in the spouse's point of view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pplying study methods of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life as a spouse of an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nt after making a close observation on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nts in the spouse's point of view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applying study method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categorizing into 4 subjects after conducting a dept interview with 5 spouses of paragliding participants, 21 proved subjects and 4 fundamental subjects were deduced. Hermeneutical writing of 'Life that is set down due to the love for destiny' was conducted through fundamental subjects deduced from 'jumping into paragliding', 'completely indulging in paragliding', 'understanding', and 'getting out of paraglidi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how the process of making a livelihood and recovering self-esteem with a new hope while setting down eventually by standing against or sometimes adopting as they paid attention to negative effects of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tion on their spouses, children and familie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methods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caused by addictive attitudes through a professional leisure education that allows to accept and apply in a correct way as providing practical knowledge on experiences as the spouses of addictive paragliding participant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
본 연구는 배우자의 시각을 통한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모습을 바라보고,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하였으며,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주제묶음을 한 결과, 21개의 규명된 주제와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패러글라이딩 속으로 ‘뛰어들기’, 온전히 ‘빠져들기’, ‘이해하기’, 패러글라이딩 밖으로 ‘벗어나기’로 도출된 본질적 주제를 통해 ‘운명을 사랑하여 내려놓은 삶’으로 해석학적 글쓰기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가 배우자에게, 자녀에게 그리고 가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주목하면서 이에 맞서고 때로는 순응하면서 궁극적으로 내려놓는 가운데 다시금 새로운 희망으로 가정을 꾸려나가고 자아를 찾아나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경험에 대한 실제적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 여가교육을 통하여 중독적 성향에서 올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천방법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통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참가인구의 증가 및 관심의 증가 추세인 야외스포츠이자 항공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에 대해 바르게 인지하며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배우자로서의 삶을 통한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참가인구의 증가 및 관심의 증가 추세인 야외스포츠이자 항공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에 대해 바르게 인지하며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중독적 성향의 참가자를 이해하는데 있어 기존 참가자 중심이었던 시각을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주변인, 그 가운데에서도 배우자를 중심으로 바라보고자 시도한 것은, 그동안 간과되었던 부분을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에 대한 총체적, 심층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가자 중심의 기존 연구는 참가자만을 파악하는데 그쳤으나, 참가자를 중심으로 한 그 주변인에 관한 연구는 참가자뿐만 아니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전체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하나에 치우치거나, 편중되거나 또는 간과된 이해가 아닌 통합적, 총체적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당 활동 참가자와 주변인 상호간에서 발생되는 문제점 파악으로 근본적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중독적 패러글라이딩 참가자의 주변인(가족간, 부부간)과의 상호작용에 있어 갈등, 무시, 포기의 악순환에 대한 근본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점을 제시하여 상충의 조절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주변인 특히 배우자를 통해 본, 본 연구는 중독적 운동참가자로 인한 가족 간의 갈등의 문제점이 가족관계의 회복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계속적으로 전문화되어가고 진지화되어가는 현재의 여가스포츠 현장에서 보여 질 수 있는 중독적 성향에 대한 바람직한 여가스포츠 장 마련의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가이드라인의 설정으로 바르게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전문적 여가교육을 통하여 중독적 성향에서 올 수 있는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