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구들을 보면 감성지능이 많은 영역에 걸쳐 조직 유효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차원인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활용, ...
최근 연구들을 보면 감성지능이 많은 영역에 걸쳐 조직 유효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차원인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활용, 자기감정조절, 자기감정인식 등이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상사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고 있을 때 상사가 이끄는 팀내의 부하직원들에 어떠한 영향을 주어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호텔 종사원이며 전수조사를 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가 있어 연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국내 특급호텔이 많이 산재해 있는 서울, 부산, 경주, 제주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각 지역별 호텔의 선정은 부산은 특1급호텔 6개 중 레지던스 호텔을 제외한 5개의 호텔을 선정하였으며, 서울과 제주지역은 객실이용요금과 호텔규모, 연간 이용객이 비슷한 호텔 중 5개의 특1급호텔을 선정하였다. 경주의 경우 5개의 특1급 호텔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 작성, 전문가 검토, 설문지 1차 수정, 예비조사, 설문지 2차 수정, 모의조사, 설문지 3차 수정, 본 조사, 그리고 조사분석의 순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설문의 오류를 방지하고 수정하기 위해 호텔 임직원, 대학교수 등 10명에게 기초 설문문항에 대해 감성지능, 창의성, 직무만족에 대한 1:1 면접방식으로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설문지 1차 수정을 한다.
예비조사는 1차 수정된 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경주지역의 특급호텔 종사원 25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실시하며, 예비조사에서 나온 응답지를 분석하여 설문지 2차 수정을 한다. 2차 수정된 설문지를 근거로하여 모의조사는 부산과 서울의 특급호텔 종사원 각 25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시하여 설문지 3차 수정작업을 한다. 이렇게 수정하여 작성된 설문지로 서울, 경주, 부산, 제주도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 각 호텔별 20명씩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총 400부의 설문을 배부, 수거하여 본 연구의 통계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통계분석의 측정은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한다.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며, 선행연구의 감성지능과 창의성, 직무만족의 차원을 확인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을 실시한다. 감성지능이 창의성,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