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상사의 감성지능이 호텔종사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B00522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윤영일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호텔산업에서는 종사원에 의한 서비스 제공 행위가 호텔산업의 경영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핵심역량을 가진 창의적인 호텔종사원은 매우 중요하다. 호텔종사원의 창의성은 자신이 속해있는 조직의 환경의 범위를 벗어나 발휘되기 보다는 조직이 가진 환경특성의 범위 내에서 발현될 가능성이 높다. 구성원들이 창의적으로 일을 할 때, 조직은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Oldham & Cumming, 1996) 많은 연구자들은 어떤 요인들이 조직 내 개인의 창의성을 촉진시키는지에 대해 많은 연구를 해왔다. 특히 오늘날과 같은 무한 경쟁상황에서 개인의 창의성이야말로 기업이 생존하고 경쟁우위를 지속할 수 있는 기업혁신의 밑거름이므로 호텔기업들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분야 중 최근 들어 감성지능이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Fineman, 2000). 최근 연구주제 중 떠오르는 분야 중 하나는 감성지능의 부분들이 조직 구성원의 성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것이다(Caruso & Salovey, 2004). 이러한 관련성에 대해서는 어떤 조직의 구성원들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처럼 그동안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관심은 조직 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과업수행과 문제해결을 위해 단순히 기술적 역량만을 강조해왔지만 최근에는 기술적 역량만이 아니라 대인관계적인 역량을 많이 요구하는 추세이다. 특히 오늘날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고객접점을 가지는 산업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고, 또 인적산업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 창의성 등의 대인관계적인 역량의 발휘가 한층 더 강조되고 있는 점도 조직구성원의 감성적인 능력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켜 온 중요한 배경이라 할 것이다(Abraham, 1999).
    이와 같이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주제를 다룬 연구는 몇몇 있지만 상사의 감성지능과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상사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고 있을 때, 그 리더가 이끄는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즉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의 연구분야에서도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감성지능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팀 수준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Druskat & Wolf, 2001). 하지만 최근에는 감성지능이 팀 수준뿐 아니라 개인수준에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감성지능이 개인의 효율성 증진이나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되기 시작되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감성지능이 종업원의 몰입과 건강, 이직성향, 조직시민행동, 혁신성, 생산성, 효율성, 직무만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Druskat & Wolff, 2001; Wong & Law, 2002). 그러나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직무만족이나 창의성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조직의 유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부하직원들보다는 상상의 감성지능이 더욱 중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Cooper, 1997). Goldman(1998)은 유능한 상사가 되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갖추어야 하며,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상사의 감성지능은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활용, 자기감정조절, 자기감정인식 등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4가지 감성지능의 하위차원들이 개인의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단순한 영향관계에 그치지 않고 4가지 하위차원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개인의 창의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는 상사의 감성지능을 알 수 있다면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최근 연구들을 보면 감성지능이 많은 영역에 걸쳐 조직 유효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감성지능의 4가지 하위차원인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활용, 자기감정조절, 자기감정인식 등이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며,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즉 상사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고 있을 때 상사가 이끄는 팀내의 부하직원들에 어떠한 영향을 주어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호텔 종사원이며 전수조사를 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가 있어 연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국내 특급호텔이 많이 산재해 있는 서울, 부산, 경주, 제주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각 지역별 호텔의 선정은 부산은 특1급호텔 6개 중 레지던스 호텔을 제외한 5개의 호텔을 선정하였으며, 서울과 제주지역은 객실이용요금과 호텔규모, 연간 이용객이 비슷한 호텔 중 5개의 특1급호텔을 선정하였다. 경주의 경우 5개의 특1급 호텔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 작성, 전문가 검토, 설문지 1차 수정, 예비조사, 설문지 2차 수정, 모의조사, 설문지 3차 수정, 본 조사, 그리고 조사분석의 순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설문의 오류를 방지하고 수정하기 위해 호텔 임직원, 대학교수 등 10명에게 기초 설문문항에 대해 감성지능, 창의성, 직무만족에 대한 1:1 면접방식으로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설문지 1차 수정을 한다.
    예비조사는 1차 수정된 설문지를 근거로 하여 경주지역의 특급호텔 종사원 25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실시하며, 예비조사에서 나온 응답지를 분석하여 설문지 2차 수정을 한다. 2차 수정된 설문지를 근거로하여 모의조사는 부산과 서울의 특급호텔 종사원 각 25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시하여 설문지 3차 수정작업을 한다. 이렇게 수정하여 작성된 설문지로 서울, 경주, 부산, 제주도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 각 호텔별 20명씩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총 400부의 설문을 배부, 수거하여 본 연구의 통계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통계분석의 측정은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한다.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며, 선행연구의 감성지능과 창의성, 직무만족의 차원을 확인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을 실시한다. 감성지능이 창의성,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다.
  • 한글키워드
  • 감성지능,자기감정활용,자기감정인식,직무만족,창의성,자기감정조절,타인감정인식
  • 영문키워드
  • Use Of Emotion(UOE) Regulation Of Emotion(ROE),Creativity,job satisfaction,Emotional Intelligence(EI),Others' Emotion Appraisal(OEA),Self-Emotion Appraisal(SEA)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오늘날과 같은 무한 경쟁상황에서 개인의 창의성이야말로 기업이 생존하고 경쟁우위를 지속할 수 있는 기업혁신의 밑거름이므로 기업들의 대외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차원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분야 중 최근 들어 감성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이 학자들 사이에서 많은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최근 연구주제 중 떠오르는 분야 중 하나는 감성지능의 요인들과 조직 구성원의 성과와의 관련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성지능이 개인의 효율성 증진이나 개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되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상사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고 있을 때, 그 리더가 이끄는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즉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구조화된 설문지로 서울, 경주, 부산, 제주도의 총 20개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 각 호텔별 25명씩에게 설문을 배포하여 총 500부의 설문을 배부하여 487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답변을 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420부를 본 연구의 통계자료로 활용하였다. 통계분석의 측정은 SPSS 15.0을 이용하였다.
    감성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자기감정인식,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조절, 자기감정활용을 동시에 투입하는 입력방법에 의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감성지능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창의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영문
  • In today's infinite competitions, individual creativity becomes the foundation for corporate innovation to determine the company's survival and maintain its competitive advantage, which raise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on creativity on the individual dimension to help corporations increase their competitive edge.
    One of the fields influencing creativity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which scholars have started to show much interest in recent years. One of the recently emerging research topics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achievement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particular,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figure out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higher individual efficiency and performance.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ervisor'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of his or her subordinates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supervisor with high emotional intelligence on his or her organization, namely, on the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of his or her subordinate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 employees at each of total 20 deluxe hotels in Seoul, Gyeongju, Busan, and Jeju Island. Of total 5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487 were collected. After excluding the ones with insincere answers, total 420 were used as statistical data in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15.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eativity. Such independent variables as perception of one's emotion, perception of others' emotion, regulation of one's emotion, and utilization of one's emotion were entered in regression analysis, which 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arried out to test relation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also 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to test relations between creativity and job satisfaction also 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오늘날 서비스산업의 비중이 날로 증가하고 고객접점을 가지는 산업이 갈수록 확대되고 있고, 또 인적산업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 창의성 등의 대인관계적인 역량의 발휘가 한층 더 강조되고 있는 점도 조직구성원의 감성적인 능력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켜 온 중요한 배경이라 할 것이다(Abraham, 1999). 그러나 감성지능에 대한 많은 관심과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직무만족이나 창의성과 어떻게 연관이 되는지에 대한 부분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이와 같이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주제를 다룬 연구는 몇몇 있지만 상사의 감성지능과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그간 감성지능과 개인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가 미흡했던 점을 착안하여, 연구의 목적으로 상사의 감성지능이 부하직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상사가 높은 감성지능을 가지고 있을 때, 그 리더가 이끄는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즉 부하직원의 창의성,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국내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호텔 종사원이며 전수조사를 하기에는 시간과 비용의 한계가 있어 연구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국내 특급호텔이 많이 산재해 있는 서울, 부산, 경주, 제주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호텔종사원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각 지역별 호텔의 선정은 부산은 특1급호텔 6개 중 레지던스 호텔을 제외한 5개의 호텔을 선정하였으며, 서울과 제주지역은 객실이용요금과 호텔규모, 연간 이용객이 비슷한 호텔 중 5개의 특1급호텔을 선정하였다. 경주의 경우 5개의 특1급 호텔을 선정하였다.
    통계분석의 측정은 SPSS 15.0을 이용하였다.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며, 선행연구의 감성지능과 창의성, 직무만족의 차원을 확인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지능이 창의성,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감성지능과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인 자기감정인식,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조절, 자기감정활용을 동시에 투입하는 입력방법에 의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감성지능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창의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호텔 종사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감성지능이 종사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통한 조직의 효과성 증진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전문가들과의 면담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여 호텔 조직의 효과성과 마케팅 전략에 장애가 되는 요소를 제거하는 역할도 기대된다. 또한 제3의 고객인 종사원들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창출방안을 제시하여 호텔 마케팅 전략의 영역과 범위를 더욱 확대시키고 호텔산업의 고부가가치화 및 경쟁력 강화를 유도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상사의 감성지능이 호텔종사원의 창의성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통한 조직의 효과성창출 방안은 호텔 기업의 이윤 확대와 경쟁력 강화를 이끌어 내어 지역 가치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육성하여 관광산업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새로운 모델로 자리할 것이다.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상사의 감성지능과 종사원의 창의성과의 관계가 파악되어 호텔 기업의 수요촉진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둘째, 제3의 고객인 종사원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 기존의 마케팅 전략을 수정 보완함은 물론 새로운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통해 경쟁력 강화와 이윤 추구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셋째, 종사원들의 창의성 증진과 직무만족을 위한 사내 협의체 구성, 전략적 제휴 등 협력방안의 기본적인 모델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상사와 종사원간의 다양한 내부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 호텔 마케팅의 새로운 전략 모델 수립하여 호텔 이윤 극대화의 대표 콘텐츠로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감성지능, 자기감정인식, 타인감정인식, 자기감정조절, 자기감정활용, 창의성, 직무만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