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 방안 연구 -이공계 학부생을 대상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356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11월 01일 ~ 2012년 10월 31일)
연구책임자 심지연
연구수행기관 고려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하여 이공계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소위 ‘교양 국어’ 또는 ‘대학 국어’ 과목으로 불리는 과목의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에 대한 효과적인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기대효과
  • 인간의 신체적 경험을 바탕으로 접근하는 인지언어학적 방법, 특히 개념 은유의 방법을 통해 전공 수업에 비해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하고 있는 이공계 학부생들에게 효과적인 말하기와 글쓰기 학습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인지언어학의 하나인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하여 이공계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을 좀 더 효과적으로 진행하는 방안을 찾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2학기 동안 진행될 예정인데, 우선 매 학기마다 실험군 분반과 대조군 분반을 정하여 실험군 분반에는 개념 은유의 방법을 이용한 쓰기와 말하기 수업을 진행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한 대조군 반과 학기말 결과물을 가지고 그 학습 효과에 대해 비교해 본다.
    현재 이 개념 은유를 적용한 교육 방법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일부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교양 국어 수업에서 진행되고 있는데, 그 결과를 보았을 때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유의미한 요소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한글키워드
  • 교양 국어,말하기,글쓰기,인지언어학,이공계,수업 방안,학부생,은유
  • 영문키워드
  • conceptual metaphor theory,cognitive linguistics,enginerring college,college of science,writing,speak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이공계 학과에 재학중인 대학 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는 교양 국어 수업에서 Lakoff와 Johnson이 본격화 하여 연구한 '개념 은유 이론'의 방법을 이용한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 방안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실제 이공계 학생들과 진행했던 수업 내용을 제시한 뒤,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그 효과까지 알아보는 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이공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글쓰기·말하기 수업과 관련된 인식 조사를 먼저 실시하여 이들이 갖고 있는 생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조사 학생의 79.3%가 '글쓰기와 말하기에 자신이 없다'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대학에서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도 94.8%로 나타나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충분히 되어 있는 상태였다.
    그러므로 이공계 학생들에게는 ‘과학 글쓰기·말하기’ 교육이 필요하고, 그 방법 중 하나로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통한 글쓰기·말하기 방법이라는 점을 'A(비유하려는 대상)은 B(비유)이다'라는 ‘개념 은유 이론’의 기본 개념과 함께 그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이어 실제 두 학기 동안 진행된 교양 국어 수업 시간에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글쓰기·말하기 수업 내용을 소개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설명문 글쓰기 및 설명 원고 등의 결과물과 강의 평가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위에 소개한 것과 같이, 전문적인 개념 은유 용어의 설명이 없이도 충분히 자신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서 개념 은유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고한 뒤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의 실습 결과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의 평가에서 나타난 결과에서도 '개념 은유 이론'의 방법을 이용한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을 진행한 실험군 분반이 강의 평점에서도 0.6과 0.2점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주관식 강의 소감에서도 교재만으로 수업을 진행한 대조군 분반보다 만족도가 높았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대상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던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에서도 학생의 계열별, 학과별 특성에 따라 수업 방법이 다양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제기를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인문, 사회계 학부생들과는 달리 주로 과학 원리에 대한 설명문이나 실험 보고서 등의 실용문을 많이 쓰거나 발표해야하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 방안은 적합한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 교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eaching writing and speaking method that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theory at the general Korean class in University. Especially, this study is for college of science students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because they dislike or are afraid of writing and speaking the general Korean class in University. So, first I surveyed 116 students about writing and speaking class. And I analyzed the result of the survey, then I taught to the students writing and speaking method that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theory at the general Korean class in University. Lastly, I showed the products of students in the class, and also showed course evaluations for alayzing effect that writing and speaking method that based on conceptual metaphor theory at the general Korean class in Univers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이공계 학부 1학년 학생들이 수강하는 교양 국어 수업에서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 방안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실제 이공계 학생들과 진행했던 수업 내용을 제시한 뒤,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 그 효과까지 알아보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선, 이공계 학생 116명을 대상으로 글쓰기·말하기 수업과 관련된 인식 조사를 먼저 실시하여 이들이 갖고 있는 생각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 결과, 79.3%가 '글쓰기와 말하기에 자신이 없다'라고 대답했다. 하지만 대학에서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도 94.8%로 나타나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충분히 되어 있는 상태였다.
    그러므로 이공계 학생들에게는 ‘과학 글쓰기·말하기’ 교육이 필요하고, 그 방법 중 하나로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교육 방법을 통한 글쓰기·말하기 방법이라는 점을 ‘개념 은유 이론’의 기본 개념과 함께 그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이어 실제 두 학기 동안 진행된 교양 국어 수업 시간에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글쓰기·말하기 수업 내용을 소개하고, 학생들의 반응을 설명문 글쓰기 및 설명 원고 등의 결과물과 강의 평가에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전문적인 개념 은유 용어의 설명이 없이도 충분히 자신이 설명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서 개념 은유의 방법을 사용하여 사고한 뒤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의 실습 결과물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강의 평가에서 나타난 결과에서도 '개념 은유 이론'의 방법을 이용한 글쓰기와 말하기 수업을 진행한 실험군 분반이 강의 평점이나 주관식 강의 소감 등에서 교재만으로 수업을 진행한 대조군 분반보다 만족도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대상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이루어지던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에서도 학생의 계열별, 학과별 특성에 따라 수업 방법이 다양화되어야 한다는 문제제기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인문, 사회계 학부생들과는 달리 주로 과학 원리에 대한 설명문이나 실험 보고서 등의 실용문을 많이 쓰거나 발표해야하는 이공계 학생들에게 '개념 은유 이론'을 이용한 글쓰기 및 말하기 수업 방안은 적합한 교양 글쓰기 및 말하기 교수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글쓰기, 말하기, 개념 은유 이론, 이공계 학부생, 대학 교양 국어 수업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