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모스크바 성경(1663)의 사복음서 연구: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963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12월 15일 ~ 2012년 12월 14일)
연구책임자 한지형
연구수행기관 부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1차적인 목표는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역사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의 유의미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첫 출판 성경’으로도 일컬어지는 본 성경은 니콘의 종교개혁 이후 처음으로 출간된 성경이자, 모스크바 루시 영토에서 출판된 최초의 성경이다. 이러한 유의미성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 성경은 연구자들의 냉대를 받아왔다. 이는 모스크바 성경의 편찬자들이 서문에 기록한 ‘결점에 대한 고백문’ 과 이후 선행연구자들의 혹평 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출판 이후 빛을 받지 못한 모스크바 성경이 편견 없이 연구되어지기 시작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이다. 모스크바 성경의 사복음서를 언어 자료로 선정하여,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요소들의 수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두번째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작업은 러시아의 완본 성경 출판 역사의 흐름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 출판 이후의 성경들과의 비교연구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모스크바 성경의 언어학적 입지 및 의미를 규명하는 연구의 단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 “모스크바 성경(1663)의 사복음서 연구: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을 중심으로”가 러시아어를 공부하는 석사와 박사 과정 학생뿐만 아니라, 연구자들이 러시아의 완본 성경 출판 역사의 흐름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 출판의 의미를 되짚어보고, 이를 통해 17세기 동슬라브의 교회슬라브어 언어상황을 밀도 있게 고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구의 결과가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은 고대슬라브어 성경 출판의 역사를 소개함으로써 성서연구의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도 유익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러시아어 역사 강의 뿐만 아니라, 번역문학으로써 성서에 대한 강의를 위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의 1차적인 목표는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역사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의 유의미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15세기 말 교회슬라브어 최초의 수사완본 성경 ‘겐나지 성경’이 노브고로드에서 편찬된 이후,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편찬 역사가 시작된다. 이후 겐나지 성경을 기반으로 하여, 슬라브어 성서의 정점으로 평가 받는 최초의 인쇄완본 성경인 ‘오스트로그 성경’이 우크라이나 오스트로그 에서 인쇄본으로 출판되었다 . 그리고 오스트로그 성경은 모스크바 루시의 ‘인쇄국’에서 1649년 황제 알렉세이의 초청으로 모스크바에 온 키예프의 학자이자 수도승인 에피파니 슬라비네츠키가 주도하는 교정작업을 통해 새롭게 재판되는데, 이 성경이 바로 본 연구에서 다룰 모스크바 성경이다. ‘첫 출판 성경’으로도 일컬어지는 본 성경은 니콘의 종교개혁 이후 처음으로 출간된 성경이자, 모스크바 루시 영토에서 출판된 최초의 성경이다. 이러한 유의미성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 성경은 연구자들의 냉대를 받아왔다. 이는 모스크바 성경의 편찬자들이 서문에 기록한 ‘결점에 대한 고백문’ 과 이후 선행연구자들의 혹평 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출판 이후 빛을 받지 못한 모스크바 성경이 편견 없이 연구되어지기 시작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이다.
    에피파니 슬라비네츠키는 츄도프 수도원의 인쇄국의 교정자로 있으면서 그리스어로 된 교회서적들을 번역하였으며, 그리스 경향의 개화를 추진한 인물로 니콘개혁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 그는 모스크바 성경 편찬 시 남•서 루시의 서적과 멜레티 스모트리츠키의 저서 ‘모스크바 문법서(1648)’ 를 교정의 모델로 삼았다. 당시 그리스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남•서 루시의 전통은 그리스 문화와 함께 모스크바에서 권위를 갖게 되었고, 그리스 문화 도입의 직접적 매개어로써 남•서 루시의 언어는 모스크바 루시의 언어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남•서 루시의 언어전통이 17세기 모스크바 루시에 미친 영향을 우스펜스키는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라 명명하였다. 이 명칭은 키릴•메포지의 언어 전통을 바탕으로 10세기말에서 11세기에 불가리아 프레스라프 지역의 교회 서적의 유입과 동시에 나타나고 수용되었던 언어적 특성을 일컫는 ‘제1차 남슬라브어 영향’ , 시기적으로 14세기 말에서 16세기에 거쳐 러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언어개혁으로 그 본질이 교회슬라브어의 “남슬라브적 복원”과 “비잔틴화”에 있는 보수적 언어 개혁 운동인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 과의 연관선상에서 이해된다. 앞선 제1차, 2차 남슬라브어 영향이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 언어의 영향을 지칭한다면,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러시아의 남쪽과 서쪽에 위치한 현재의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의 영향, 즉 인종적 개념이 아닌 지리적 개념에서의 남슬라브인의 영향을 의미하는 조건적 용어이다. 하지만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역시나 슬라브 정교를 국가 종교로 하는 루시의 단일한 표준어를 형성하려는 시도로 발생되었으며, 그 본질도 앞선 제1차, 2차와 마찬가지로 그리스 문화의 지향이다. 이러한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17세기 중반 니콘 총대주교의 교회서적의 교정을 통한 종교개혁으로 나타난다.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과 동일하게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서적교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우스펜스키는 니콘이 단행한 종교서적의 대대적인 수정•보완 개혁 내용을 남•서 러시아어적 요소와 그리스어적 요소 2가지로 분류한다. 그가 제시하는 개혁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남•서 러시아어적 요소, 1.1. 남•서 러시아어 액센트의 반영, 1.2. 남•서 러시아어 발음의 반영; 2. 그리스어적 요소, 2.1. 여격 대신 생격의 쓰임 확대, 2.2. 물주형용사 대신 명사 생격형 쓰임의 확대, 2.3. 여격에서 후치 대명사의 제거, 2.4. 관계대명사의 일치, 2.5. 대명사 свой 기능의 축소, 2.6. 전치사 о의 в로 대체, 2.7. 어휘적 그리스어 요소, 2.8. 그리스어 문법 모델에 입각한 의식적 특성.
    그리하여 필자는 모스크바 성경의 사복음서를 언어 자료로 선정하여,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요소들의 수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두번째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작업은 러시아의 완본 성경 출판 역사의 흐름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 출판 이후의 성경들과의 비교연구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모스크바 성경의 언어학적 입지 및 의미를 규명하는 연구의 단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한글키워드
  • 모스크바 성경(1663),니콘의 종교개혁,모스크바 문법서(1648),오스트로그 성경(1581),교회슬라브어
  • 영문키워드
  • Church Slavonic language,Moscow Grammar(1648),Ostrog-Bible,the reforms of Patriarch Nikon,Moscow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 교회슬라브어 완역 성경의 역사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1663)"에 반영된 17세기 동슬라브 교회슬라브어를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관점에서 고찰한다.
    모스크바 성경은 러시아 문화-역사에서뿐만 아니라 러시아 언어학사에서 흥미로운 자료이다. "첫 출판 성경(Первопечатная Библия)"으로도 일컬어지는 본 성경은 니콘의 종교개혁 이후 처음으로 출간된 성경이자, 모스크바 루시 영토에서 출판된 최초의 성경이다. 이와 동시에 모스크바 성경은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라 명명되는 남•서 루시의 언어전통이 17세기 모스크바 루시에 영향을 미친 시기에 출판된 문헌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의미성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 성경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한 동슬라브 교회슬라브어 문헌이다. 필자는 모스크바 성경 문헌을 17세기 동슬라브의 교회슬라브어 언어상황을 밀도 있게 고찰할 수 있는 자료로 선정하여, 제3차 남슬라브어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완본 성경 출판의 역사 흐름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 출판의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니콘의 종교개혁과 관련한 성서의 교정이 정치•사회•종교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던 기존의 방향과 달리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언어 자료로서 모스크바 성경의 언어학적 가치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영문
  • This study is aimed at research for East Slavic Church Slavonic Language in 17th century based on “Moscow-Bible(1663)” in the history of complete translation within Church Slavonic Language in the light of “the Third South Slavic Influence”.
    Moscow Bible is an interesting data not only for Russian culture-history but also for Russian language history. Original Bible called “Firstly Published Bible(Первопечатная Библия)” is a firstly published book after the Reforms of Patriarch Nikon and in the area of Moscow-Rus’. At the same time, Moscow Bible was published when language tradition of Southern and Western Rus’ called “the Third South Slavic Influence” had an effect on Moscow-Rus’ in 17th century.
    In spite of the meaning, Moscow Bible has not been paid attention by researchers as literature on East Slavic Church Slavonic Language. The researcher selected data to analyze Bible literature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East Slavic Church Slavonic language in 17th century and investigated that in the light of the Third South Slavic Influence. It is supposed to indicate the meaning of Moscow Bible publication within the history of complete printed edition of the Bible. Furthermore, the revision of the Bible involved with the Reformation of Nikon will be considered as a valuable language literature in the light of lingu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one before, which presents an opportunity to shed new light on linguistic value of Moscow Bibl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 교회슬라브어 완역 성경의 역사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1663)’에 반영된 17세기 동슬라브 교회슬라브어를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관점에서 고찰한다.
    모스크바 성경은 러시아 문화-역사에서뿐만 아니라 러시아 언어학사에서 흥미로운 자료이다. 15세기 말 ‘겐나디 성경(1499)’이 노브고로드에서 교회슬라브어 수사완본 성경으로 최초로 편찬된 이후 슬라브 민족의 성경 편찬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겐나디 성경을 기반으로 최초의 인쇄완본 성경인 ‘오스트로그 성경(1581)’이 우크라이나 오스트로그에서 출판되어 슬라브인들의 언어 규범 및 문법서로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Сперанский, 1914: 86–88; Евсеев, 1916: 101–137; Голенищев-Кутузов, 1973: 183; Жуковская, 1985: 103; Алексеев, 1999: 215), 본 성경을 기반으로 하여 로모노소프 이전의 동슬라브어 문법서 중 가장 중요한 저서로 평가 받는 멜레티 스모트리츠키(Мелетий Смотрицкий)의 문법서 ‘슬라브어 문법의 정분류’가 1619년 리투아니아 비에비스(Вевис)에서 출판되었다. 이후 스모트리츠키 문법서는 서적교정 지휘자인 미하일 로고프(Михаил Рогов)와 이반 나쇼트카(Иван Насёдка)에 의해 모스크바 루시의 ‘인쇄국(печатный двор)’에서 1648년 ‘모스크바 문법서’로 새롭게 재판되어 18세기의 언어 개혁까지 러시아 교회슬라브어 규범의 모델이 되었다(Кузьминова, Ремнёва, 2000: 3–5; Boeck, et al. 1974: 104–108). 이어 1649년 황제 알렉세이의 초청으로 모스크바에 온 키예프의 학자이자 수도승인 예피파니 슬라비네츠키(Епифаний Славинецкий)의 주도하에 오스트로그 성경은 남•서 루시의 서적과 ‘스모트리츠키의 모스크바 문법서(1648)’에 기반한 교정을 통해 1663년에 거듭 출판된다. 이 성경이 ‘첫 출판 성경(Первопечатная Библия)’으로도 일컬어지며 니콘(Никон)의 종교개혁 이후 처음으로 출간된 성경이자, 모스크바 루시 영토에서 출판된 최초의 성경인 ‘모스크바 성경(1663)’ 이다. 이와 동시에 모스크바 성경은 남•서 루시의 언어전통이 17세기 모스크바 루시에 미친 영향으로 우스펜스키(Успенский Б.А.)에 의해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라 명명된(Успенский 2002: 411) 시기에 출판된 문헌이기도 하다.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이라는 명칭은 키릴•메포디의 언어 전통을 바탕으로 10세기말에서 11세기에 불가리아 프레스라프 지역의 교회 서적의 유입과 동시에 나타나고 수용되었던 언어적 특성을 일컫는 ‘제1차 남슬라브어 영향’, 시기적으로 14세기 말에서 16세기에 거쳐 러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언어개혁으로 그 본질이 교회슬라브어의 “남슬라브적 복원”과 “비잔틴화”에 있는 보수적 언어 개혁 운동인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과의 연관선상에서 이해된다. 앞선 제1차, 2차 남슬라브어 영향이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 언어의 영향을 지칭한다면,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러시아의 남쪽과 서쪽에 위치한 현재의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의 영향, 즉 인종적 개념이 아닌 지리적 개념에서의 남슬라브인의 영향을 의미하는 조건적 용어이다. 하지만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역시나 슬라브 정교를 국가 종교로 하는 루시의 단일한 표준어를 형성하려는 시도로 발생되었으며, 그 본질도 앞선 제1차, 2차와 마찬가지로 그리스 문화의 지향이다(Успенский 2002: 411–415, 김원회 1996: 9–10). 이러한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17세기 중반 니콘 총대주교의 교회서적의 교정을 통한 종교개혁으로 나타나며,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과 동일하게 ‘서적교정(книжная справа)’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모스크바 성경은 러시아사와 러시아 문화사, 더 나아가 언어학적으로도 유의미한 출판물임에도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지 못한 동슬라브 교회슬라브어 문헌이다. 연구자는 모스크바 성경 문헌을 17세기 동슬라브의 교회슬라브어 언어상황을 밀도 있게 고찰할 수 있는 자료로 선정하여, 제3차 남슬라브어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완본 성경 출판의 역사 흐름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 출판의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니콘의 종교개혁과 관련한 성서의 교정이 정치•사회•종교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던 기존의 방향과 달리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언어 자료로서 모스크바 성경의 언어학적 가치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우스펜스키는 니콘이 단행한 종교서적의 대대적인 수정•보완 개혁 내용을 남•서 러시아어적 요소와 그리스어적 요소 2가지로 분류하고 그가 제시하는 개혁 내용은 다음과 같다(Успенский 2002: 433–467):
    1. 남•서 러시아어적 요소
    1.1. 남•서 러시아어 역점의 반영
    1.2. 남•서 러시아어 발음의 반영
    2. 그리스어적 요소
    2.1. 여격 대신 생격의 쓰임 확대
    2.2. 물주형용사 대신 명사 생격형 쓰임의 확대
    2.3. 여격에서 후치 대명사의 제거
    2.4. 관계대명사의 일치
    2.5. 대명사 свой 기능의 축소
    2.6. 전치사 о의 в로 대체
    2.7. 어휘적 그리스어 요소
    2.8. 그리스어 문법 모델에 입각한 의식적 특성
    이에 따라 본 언어 개혁 내용이 모스크바 성경 사복음서에 나타난 양상은 다음과 같다(제시된 예문은 첨부파일 참조).
    모스크바 성경 사복음서 문헌에 반영된 남•서 러시아어적 역점과 발음의 영향으로 인한 변화가 반영되었다.
    모스크바 성경에 반영된 그리스어적 요소 중 가장 많은 빈도수로 집계된 요소는 여격 대신 생격이 대체됨을 통한 생격의 확대였고, 그외 대명사 свой 기능이 축소, 그리스어의 어휘적 요소와 그리스어 문법 모델에 입각한 의식적 특성이 각각 반영되어 있다.
    이렇게 나타난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에 대한 언어학적 분석은 모스크바 성경과 동시대 즈음의 고대그리스어 성경본과의 실제적인 대조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대해 앞서 언급했듯이 현재 자문을 통해 진행하고 있는 상태이다.
    선행 성경 문서인 오스트로그 성경과의 연대기적 상관관계에 기반한 모스크바 성경에 반영된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연구의 의미를 크게 2가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러시아의 완본 성경 출판 역사를 아우르면서 교회슬라브어의 역사언어학 연구뿐만 아니라 교회슬라브어 문헌학에 대한 총체적인 시각을 제공하는 연구이다.
    둘째, 니콘의 종교개혁과 관련한 성서의 교정이 정치•사회•종교적 관점에서 연구되었던 기존의 방향과 달리 언어학적 관점에서 고찰할 수 있는 가치 있는 언어 자료로서 모스크바 성경의 언어학적 가치를 재조명해 볼 수 있는 수 있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주제는 단순히 교회슬라브어 성서의 편찬 연구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다 일반화된 영역으로서의 문헌학과 문화 및 역사 분야를 아우른다. 이는 슬라브 세계의 언어와 역사, 그리고 문화 연구를 아우르는 분야이기에 학제간 연구의 생산적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연수의 결과가 국내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은 교회슬라브어 성경 출판의 역사를 소개함으로써 슬라브어 전공자들뿐만 아니라, 성서연구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도 유익한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수의 성취물은 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차적으로 러시아 문학사를 소개하는 수업에서 번역문학으로서 성서 장르에 대한 강의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으며, 러시아 역사와 문화사 수업에서 니콘의 종교개혁에 대해 정치, 사회, 종교 현상의 관점뿐만 아니라 언어적 관점에서의 고찰을 가능케 함으로써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러시아어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를 요하는 석사와 박사 과정의 강의현장에서 17세기 동슬라브의 교회슬라브어 언어규범에 대한 밀도 있는 강의 콘텐츠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본 연수의 결과물은 학술 세미나와 학회 등에서 발표될 것이고, 이를 통해 러시아 언어학계의 지적 자극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데이터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워드 문서로 작성된 본 성경 문헌들은 연구 자료와 성경 문헌으로서 출판되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교회슬라브어, 모스크바 성경(1663), 오스트로그 성경(1581), 겐나디 성경(1499), 모스크바 문법서(1648), 제3차 남슬라브어의 영향, 니콘의 종교개혁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