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1차적인 목표는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역사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의 유의미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15세기 말 교회슬라브어 최초의 수사완본 성경 ‘겐나지 성경’이 노브고로드에서 편찬된 이후,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편찬 역사가 시작된다. 이후 겐나 ...
본 연구의 1차적인 목표는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역사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의 유의미성을 조명하는 것이다. 15세기 말 교회슬라브어 최초의 수사완본 성경 ‘겐나지 성경’이 노브고로드에서 편찬된 이후, 교회슬라브어 완본 성경의 편찬 역사가 시작된다. 이후 겐나지 성경을 기반으로 하여, 슬라브어 성서의 정점으로 평가 받는 최초의 인쇄완본 성경인 ‘오스트로그 성경’이 우크라이나 오스트로그 에서 인쇄본으로 출판되었다 . 그리고 오스트로그 성경은 모스크바 루시의 ‘인쇄국’에서 1649년 황제 알렉세이의 초청으로 모스크바에 온 키예프의 학자이자 수도승인 에피파니 슬라비네츠키가 주도하는 교정작업을 통해 새롭게 재판되는데, 이 성경이 바로 본 연구에서 다룰 모스크바 성경이다. ‘첫 출판 성경’으로도 일컬어지는 본 성경은 니콘의 종교개혁 이후 처음으로 출간된 성경이자, 모스크바 루시 영토에서 출판된 최초의 성경이다. 이러한 유의미성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 성경은 연구자들의 냉대를 받아왔다. 이는 모스크바 성경의 편찬자들이 서문에 기록한 ‘결점에 대한 고백문’ 과 이후 선행연구자들의 혹평 의 영향으로 추정된다. 출판 이후 빛을 받지 못한 모스크바 성경이 편견 없이 연구되어지기 시작한 것은 최근에 이르러서이다.
에피파니 슬라비네츠키는 츄도프 수도원의 인쇄국의 교정자로 있으면서 그리스어로 된 교회서적들을 번역하였으며, 그리스 경향의 개화를 추진한 인물로 니콘개혁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 그는 모스크바 성경 편찬 시 남•서 루시의 서적과 멜레티 스모트리츠키의 저서 ‘모스크바 문법서(1648)’ 를 교정의 모델로 삼았다. 당시 그리스와의 지속적인 교류를 이어온 남•서 루시의 전통은 그리스 문화와 함께 모스크바에서 권위를 갖게 되었고, 그리스 문화 도입의 직접적 매개어로써 남•서 루시의 언어는 모스크바 루시의 언어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남•서 루시의 언어전통이 17세기 모스크바 루시에 미친 영향을 우스펜스키는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라 명명하였다. 이 명칭은 키릴•메포지의 언어 전통을 바탕으로 10세기말에서 11세기에 불가리아 프레스라프 지역의 교회 서적의 유입과 동시에 나타나고 수용되었던 언어적 특성을 일컫는 ‘제1차 남슬라브어 영향’ , 시기적으로 14세기 말에서 16세기에 거쳐 러시아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한 언어개혁으로 그 본질이 교회슬라브어의 “남슬라브적 복원”과 “비잔틴화”에 있는 보수적 언어 개혁 운동인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 과의 연관선상에서 이해된다. 앞선 제1차, 2차 남슬라브어 영향이 발칸 반도의 슬라브족 언어의 영향을 지칭한다면,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러시아의 남쪽과 서쪽에 위치한 현재의 우크라이나와 벨로루시의 영향, 즉 인종적 개념이 아닌 지리적 개념에서의 남슬라브인의 영향을 의미하는 조건적 용어이다. 하지만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역시나 슬라브 정교를 국가 종교로 하는 루시의 단일한 표준어를 형성하려는 시도로 발생되었으며, 그 본질도 앞선 제1차, 2차와 마찬가지로 그리스 문화의 지향이다. 이러한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17세기 중반 니콘 총대주교의 교회서적의 교정을 통한 종교개혁으로 나타난다. 제2차 남슬라브어 영향과 동일하게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은 서적교정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우스펜스키는 니콘이 단행한 종교서적의 대대적인 수정•보완 개혁 내용을 남•서 러시아어적 요소와 그리스어적 요소 2가지로 분류한다. 그가 제시하는 개혁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1. 남•서 러시아어적 요소, 1.1. 남•서 러시아어 액센트의 반영, 1.2. 남•서 러시아어 발음의 반영; 2. 그리스어적 요소, 2.1. 여격 대신 생격의 쓰임 확대, 2.2. 물주형용사 대신 명사 생격형 쓰임의 확대, 2.3. 여격에서 후치 대명사의 제거, 2.4. 관계대명사의 일치, 2.5. 대명사 свой 기능의 축소, 2.6. 전치사 о의 в로 대체, 2.7. 어휘적 그리스어 요소, 2.8. 그리스어 문법 모델에 입각한 의식적 특성.
그리하여 필자는 모스크바 성경의 사복음서를 언어 자료로 선정하여, 제3차 남슬라브어 영향 요소들의 수용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본 연구의 두번째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작업은 러시아의 완본 성경 출판 역사의 흐름 속에서 모스크바 성경 출판 이후의 성경들과의 비교연구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모스크바 성경의 언어학적 입지 및 의미를 규명하는 연구의 단초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