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청소년의 감성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개발방안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1-32A-G00013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2 년 (2011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황연숙
연구수행기관 한양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주연(숭실대학교)
정현원(김포대학)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21세기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이성에서 감성으로의 변환이다. ‘감성’이라는 개념은 본능적이고 일차적인 ‘감정’과는 구별되는 특징으로 감정이 신체적, 행동적으로 표출된 것에 비해 감성은 외부로 잘 표출되지 않는 내면에서 발생되는 ‘정신적 반응, 인상 , 또는 ‘인지적이고 복합적인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체험과 가치관의 변화로 감성은 인간성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시대적으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기능 위주 기술 개발에서 탈피하여 풍요로움이 있는 감성 중시형의 표현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청소년은 우리 사회 미래의 주역으로서 아동시절부터 자기 자존의 가능성을 스스로 찾는 성인기로 접어드는 과도기의 세대이다. 다른 발달단계와 구별되는 독립된 발달단계이며, 이들에 대한 올바른 보호·육성은 국가의 장래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특별히 세심한 관심과 이해, 지원이 필요한 시기이다. 특히 청소년이 이용하는 시설은 그들의 문화활동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정서적 안정과 사회 적응력 신장, 건전한 신체적 성장을 유도하는 등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시설이 미비하다면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실제 청소년 측면에서 기존의 커뮤니티시설들은 획일된 교육의 관점으로 계획된 경향이 있다. 따라서 긍정적인 청소년 발달을 위한 자신들만의 연령 특성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커뮤티니시설이 필요하다. 공간은 한번 지어지면 변경과 추가 공간 확보가 어렵기 때문에 커뮤니티시설 계획단계 초기에서부터 청소년들의 여가를 활성화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최근 모바일 컴퓨터나 디지털 미디어의 발달로 인하여 인간과 공간이 함께 상호작용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이 중점적으로 공간의 변화에 흡수되고 있다. 공간의 기능적인 개발과 변화보다는 인간 중심적으로 감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나 생리신호를 실험하여 공간디자인에 접목하고 있다. 감성 관련 연구는 특정 대상들의 정서나 심리를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데이터화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지만,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감성디자인의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실제적으로 청소년이 사용하는 공간디자인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이용자인 청소년의 감성을 과학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을 공간디자인 개발에 적용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학문적 기여도: 첫째, 예민하고 불안정한 시기의 청소년 감성에 대한 특성을 중심으로 공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계획지침 및 디자인 활용방안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다. 둘째, 청소년의 감성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학, 청소년학, 사회복지학과 같은 인문사회학적 기초 학문과 주거학, 건축학, 디자인학, 감성디자인과 같은 응용학문이 서로 융합된 새로운 학제 간 통합연구를 위한 연구 및 교육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 셋째, 발달시기에 있는 청소년기에 학업을 더욱 증진시키고 성장기의 다양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여가문화 및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청소년학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2) 사회적 기여도: 첫째, 영상 및 온라인 매체에 과도하게 노출된 청소년에게 감성특성을 적용한 주거환경의 제공은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게 된다. 즉, 청소년기에 행해지는 다양한 여가활동을 통해 아동기나 유아기의 놀이형태와 달리 자아상을 표출하는 활동을 지원하고 자아존중과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켜 자아정체감이나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이는 결국 지역의 공동체의식과 애착심을 고조시켜, 지역적 아이덴티티를 고취시킬 수 있는 지역적 커뮤니티시설로 활성화시킬 수 있다. 둘째, 청소년의 다양한 감성을 체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 계획은 청소년들의 커뮤니티활동을 증진시키고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적응력을 길러줌으로써 청소년기의 활동에 도움을 줄 뿐만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입주민들간의 소통하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청소년의 감성특성 이해를 통해 청소년 문화컨텐츠 산업과 청소년 관련 산업디자인 등의 연계를 통해 청소년의 감성을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여 융합적인 서비스 모델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관련 산업이나 마케팅 전략을 이용하여 디자인 개발과 유통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인력양상 및 교육연계 활동: 첫째, 다양한 세대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에서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여 공동주택 주거환경 및 커뮤니티시설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적용시킬 만한 디자인 개발 틀을 제시하고, 청소년 외 다양한 세대와의 융합을 유도하여 바람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계획 및 실내디자인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둘째, 청소년의 다양한 학습 및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도서관, 청소년수련관 등 다양한 청소년 복지시설에 관한 종합적인 안목과 프로세스를 기획할 수 있는 청소년학, 주거학, 건축학, 사회복지학, 공간디자인학적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발달특성, 감성적 특성을 기반으로 건축적 계획기준과 실내디자인 계획기준을 구성함으로써, 공공시설의 표준화된 기준을 마련하여 다양한 청소년 관련 공간의 계획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청소년 대상 학생들에게 본 연구의 결과를 강의 및 토의함으로써 그들의 감성적 특성을 스스로 이해시키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자기개발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청소년 시설에 대해 접해봄으로써 지역사회 및 주거환경의 다양한 시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공간환경은 의식적 또는 무의식으로 인간의 인성과 태도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된다. 특히 청소년기는 주어진 환경에 따라 신체적 조건, 능력, 인성, 태도와 가치관 등이 결정되는 점을 감안 할 때, 환경의 영향력은 매우 중요하다. 청소년의 다양한 감성을 체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 계획은 청소년들의 커뮤니티활동을 증진시키고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적응력을 길러줌으로써 청소년 발달에 도움을 줄 뿐 만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현황 조사와 감성 요인에 따른 이미지 개발을 통해 청소년의 심리적 측면을 고려한 감성 중심의 커뮤니티시설의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본 연구의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관련 문헌을 종합하여 청소년의 발달 특성과 감성구조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커뮤니티시설의 이론적 특성을 조사한다. 둘째,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현황 및 사례조사를 실시한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경기권에 위치한 공동주택으로 2008년 이후 준공된 도급순위 5위 이내 건설사의 분양아파트로 제한하였으며, 이 중 협조가 가능한 단지 10군데를 선정한다. 조사대상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사례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간의 기능적 구성 및 가구배치, 마감재 등을 조사하며, 디지털카메라와 색채 휘도계 CS-100기기로 각 사례들의 공간 색차이, 색도, 휘도 등의 측정을 통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산출한다. 셋째,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조사대상 공동주택 단지 내 거주하고 있는 50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청소년 커뮤니티시설 현황에 관한 만족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청소년 커뮤니티시설 관련 감성어휘를 조사한다. 넷째, 추출된 감성어휘를 바탕으로 감성어휘 요인에 따른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공간디자인 이미지를 개발한다. 다섯째, 이미지 자극물에 따른 감성어휘 비교를 위해 감성생리실험과 감성어휘에 따른 심층조사를 실시한다. 이를 위해 5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층설문조사 및 생리신호측정을 실시한다. 이는 기존의 감성어휘 설문조사의 주관적 평가 방법보다는 뇌파, 심전도, 근전도, 심박변화율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과학적 실험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평가방법으로 정량적인 데이터를 가지고 청소년을 위한 공간디자인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위의 연구 결과들을 종합하여 도출된 감성 측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청소년의 감성 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개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실내 커뮤니티시설,감성어휘평가,감성생리측정,감성디자인,청소년 감성특성,청소년 발달특성,청소년,뇌파실험,실외 커뮤니티시설,사용자 중심의 디자인,커뮤니티시설 디자인,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실내디자인,거주자
  • 영문키워드
  • Evaluation of Sensibility Vocabularies,Community Facility,Apartment,EEG Experiment,Measurement of Emotion Physiology,Emotional Design,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Emotional Characteristics,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ce,Adolescence,User Oriented Design,Resident,Community Space,Interior Design,Hous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청소년들은 신체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가 매우 강하므로 그들의 연령 특성에 맞는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의 감성적 특성을 고려하여 커뮤니티시설을 계획한다면 긍정적인 청소년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지역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커뮤니티시설의 현황과 청소년의 커뮤니티시설 이용실태,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청소년의 주관적 만족도와 감성적 반응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청소년 감성 중심의 커뮤니티시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청소년 발달특성 및 청소년 감성관련 자료조사와 커뮤니티시설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둘째, 기존의 커뮤니티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제반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감성어휘를 분석하고 이를 IRI 형용사이미지에 포지셔닝하여 대표어휘를 색채배색 한다. 넷째, 색채배색을 기본으로 각 시설의 이미지를 개발한다. 다섯째, 대표이미지에 대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뇌파실험한다. 여섯째, 설문조사와 뇌파실험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감성특성에 적합한 커뮤니티시설을 제안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조사, 설문조사 그리고 뇌파실험을 병행하였다. 사례조사의 조사대상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 사이 한경주거문화대상, 대한민국 대표아파트 대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매일경제 살기 좋은 아파트 상에서 수상한 공동주택 가운데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하며 단지규모 500세대 이상인 공동주택으로 제한하였으며, 이 중 조사협조가 가능한 공동주택 12군데를 선정하였다. 그곳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3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69명의 청소년에게 감성평가를 위한 감성어휘조사와 뇌파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단지 내의 커뮤니티시설은 거주자의 여가 및 취미활동 등을 위하여 설치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성인 및 아동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나 시설등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맞춘 프로그램이나 시설등은 거의 운영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커뮤니티시설 이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성별과 학령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시설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성별 및 학령에 따라 필요로 하는 커뮤니티시설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커뮤니티시설을 보다 다양하게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커뮤니티시설은 학습시설, 문화시설, 운동시설로 나타났으며 이들에 대한 선호이미지는 ‘고상한’, ‘온화한’, ‘경쾌한’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감성어휘를 통한 실내이미지 선호도에 대해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뇌파실험을 통한 결과와는 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들은 커뮤니티시설의 이미지에 대하여 그들이 생각하는 이미지와 생리신호측정을 통해 실제로 각 시설의 이미지에서 느끼는 감성측정결과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학습시설에 대한 선호이미지에 대해 청소년들은 밝은 배색의 경쾌한 이미지 시설에 대해 뇌가 활발하게 반응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고상한 이미지의 학습시설에 대해 집중력과 판단 기능이 활성화 되었다. 따라서 학습시설의 규모가 클 경우 남학생과 여학생의 실을 구분하여 계획하여 여학생 시설은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남학생 시설은 차분하고 명도가 낮은 색채계획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모가 작을 경우 영역을 나누어 색채계획을 하여 원하는 공간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여섯째, 문화시설 선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감성어휘를 통한 이미지 선호 설문조사 결과와 뇌파실험을 통한 선호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청소년들은 온화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시설의 실내이미지 계획시에는 밝고 차분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파스텔 톤의 색채 및 마감재를 이용하여 실내이미지를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곱째, 운동시설 선호 이미지는 감성어휘를 통한 이미지 선호 설문조사 결과와 뇌파실험을 통한 선호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어휘를 통한 이미지 선호 설문조사결과에서는 온화한 이미지를 선호하였으나 뇌파실험에서는 온화한 이미지에 대해 불안해 하고 경쾌한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시설 계획시에는 어두운 색을 배제하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전체적으로 경쾌하고 활발한 실내이미지를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은 그들의 경험과 학습에 의해 각 기능별 시설에 대한 고정적인 이미지가 정립되어 있었으며 이는 실제로 느끼는 청소년의 생리반응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공동주택 내 커뮤니티시설이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 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청소년의 감성 특성을 실제 공간의 기능과 연결시켜 계획하는 방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 영문
  • Adolescents have strong desires; therefore it’s necessary to build different types of community facilities for apartment complexes that suit the needs of adolescents. If you plan to build a community facility that considers the needs of adolescents, you will contribute much to thei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and look at how adolescents use these facilities. Moreover, the study also aims to analyze the subjective satisfaction levels of adolescents, their emotional respons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better understand the needs of adolescents and to develop a model of community facilities that is focused on satisfying adolescents’ needs. To achieve the aims of the research, current community facilit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current problems. The problems were ascertained by conducting surveys on 371 adolescents in twelve apartment complexes, which included emotional vocabulary tests and a brainwave test on 69 of these adolescents.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valuating the perceptions of teenagers towards learning, cultural, and exercise facilities. A surve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reference for each facility using multiple adjectives. 179 words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These adjectives were positioned on the IRI adjective images to obtain representative words such as “noble”, “gentle”, and “cheerful” for the purpose of analysis. Furthermore, each representative word was assigned a color and then made into a simulation for the EEG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o begin with, a large proportion of the residential space was utilized for leisure and recreational activities and yet, the area was generally devoted to programs targeting adults and children, and rarely targeted teenagers. Second, the survey for facility usage by teenagers indicated that a high percentage of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demanded a variety of community facilities and, in many cases, the need wasn’t met. Furthermore, due to significant dependency in the educational level and gender of the teenagers in choosing a community facility, it is important to arrange a variety of facilit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such teenagers. Third, the results from the survey that asked to describe the preference of a facility were different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e actual measurement of the physiological signals when the candidates were viewing the images of the facilities. Fourt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EEGs indicated that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had higher EEG signals and the signals were especially activated when viewing the “cheerful” images. Fifth, the EEG signals of the teenagers in different educational levels indicated that EEG signal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more activated compared to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both groups responded to the “cheerful” images with high EEG signal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fixed perception about the function of each facility in the mind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the youth has established static images of each functionally different facility through their experience and learning. This finding indicates that 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youth could be different from their EEG.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plan community facilities in an apartment complex in a way to connect the space function with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in order to support and encourage energetic activities and learning of the community youth.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의 현황과 청소년의 커뮤니티시설 이용실태,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청소년의 주관적 만족도와 감성적 반응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청소년의 요구를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의 감성 중심의 커뮤니티시설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즉, 기술문제의 해결에만 치우쳐 비인간화, 인간성 상실 등의 문제를 야기한 현대사회의 주거환경에서 물리적 환경과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지각, 인식 등의 감성지능요소의 상관성 파악을 통해 현대 획일화된 청소년의 여가 및 주거환경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청소년 커뮤니티시설의 제반 특성을 분석하고, 청소년 감성어휘조사 및 선호이미지를 개발하여 청소년 감성특성에 적합한 커뮤니티시설을 계획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례조사, 설문조사, 뇌파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주택단지 내의 커뮤니티시설은 거주자의 여가 및 취미활동 등을 위하여 설치되고 있지만 대부분이 성인 및 아동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나 시설 등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청소년들에게 맞춘 프로그램이나 시설 등은 거의 운영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청소년의 커뮤니티시설 이용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청소년의 성별과 학령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커뮤니티시설을 요구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높았다. 성별 및 학령에 따라 필요로 하는 커뮤니티시설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커뮤니티시설을 보다 다양하게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감성어휘를 통한 실내이미지 선호도는 설문조사 결과는 청소년의 생리신호측정을 통해 실제로 그들이 각 시설의 이미지에서 느끼는 감성평가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시설에 대한 선호이미지에 대해 청소년들은 밝은 배색의 경쾌한 이미지 시설에 대해 뇌가 활발하게 반응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여학생에 비해 고상한 이미지의 학습시설에 대해 집중력과 판단 기능이 활성화 되었다. 따라서 학습시설의 규모가 클 경우 남학생과 여학생의 실을 구분하여 계획하여 여학생 시설은 밝고 경쾌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남학생 시설은 차분하고 명도가 낮은 색채계획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모가 작을 경우 영역을 나누어 색채계획을 하여 원하는 공간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학습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섯째, 문화시설 선호 이미지에 대해서는 감성어휘를 통한 이미지 선호 설문조사 결과와 뇌파실험을 통한 선호 이미지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청소년들은 온화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시설의 실내이미지 계획시에는 밝고 차분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도록 파스텔 톤의 색채 및 마감재를 이용하여 실내이미지를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운동시설 선호 이미지는 감성어휘를 통한 이미지 선호 설문조사 결과와 뇌파실험을 통한 선호 이미지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어휘를 통한 이미지 선호 설문조사결과에서는 온화한 이미지를 선호하였으나 뇌파실험에서는 온화한 이미지에 대해 불안해 하고 경쾌한 이미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시설 계획시에는 어두운 색을 배제하고 밝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전체적으로 경쾌하고 활발한 실내이미지를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들은 그들의 경험과 학습에 의해 각 기능별 시설에 대한 고정적인 이미지가 정립되어 있었으며 이는 실제로 느끼는 청소년의 생리반응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공동주택 내 커뮤니티시설이 청소년의 여가활동과 학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활성화 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청소년의 감성 특성을 실제 공간의 기능과 연결시켜 계획하는 방안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감성평가를 위해 감성에 따른 배색이미지를 적용하여 시각영역에서 그 차이를 분석하였으나, 공간의 형태나 가구 및 마감재질 등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감각영역에 의한 감성을 측정한다면 청소년의 공간에 대한 감성특성을 보다 체계적으로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학문적 기여도
    (1) 청소년 감성을 적용한 새로운 공간디자인 방법론 활용
    예민하고 불안정한 시기의 청소년 감성을 이해하고 현황 및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계획지침 및 디자인 활용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감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감성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개발에 발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2) 청소년의 여가 및 학습환경을 위한 표준화된 자료로 활용
    발달시기에 있는 청소년의 다양한 신체적·정신적·사회적 발달을 촉진시키고 청소년의 여가 및 학습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디자인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청소년시설의 표준화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 학제 간 통합연구를 위한 연구기반 조성
    청소년의 감성특성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학, 청소년학, 사회복지학과 같은 인문사회학적 기초 학문과 주거학, 건축학, 디자인학, 감성디자인과 같은 응용학문이 서로 융합된 새로운 학제 간 통합연구를 위한 연구기반을 조성할 수 있다.

    2. 사회적 기여도
    (1) 건전한 청소년 문화의 활성화
    영상 및 온라인 매체에 과도하게 노출된 청소년에게 그들의 감성특성을 적용한 커뮤니티시설의 제공은 청소년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됨으로써 건전한 청소년 문화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2) 청소년의 감성을 지원함으로써 주거환경에 대한 아이텐티티 고취
    청소년의 다양한 감성을 체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은 청소년들에게 사회적 적응력을 길러줌으로써 청소년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시키어 주거환경에 대한 애착과 아이덴티티를 고취시킬 수 있다.

    (3) 참여디자인적 방법을 통한 마케팅 전략
    청소년을 특정대상으로 참여시킴으로서 청소년의 감성을 마케팅 전략에 활용하여 융합적인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고 청소년 관련 산업이나 마케팅 전략을 이용하여 디자인 개발과 유통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인력양상 및 교육연계 활동
    (1) 청소년 커뮤니티시설 설계 및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
    다양한 세대가 거주하는 공동주택에서 청소년의 특성을 이해하여 공동주택 주거환경 및 커뮤니티시설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적용시킬 만한 디자인 개발 틀을 제시하고, 청소년과 다양한 세대의 융합을 유도하여 바람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건축계획 및 실내디자인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2) 청소년을 위한 학습 및 여가 활용시설 디자인분야의 전문인력 양성
    청소년의 다양한 학습 및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도서관, 청소년수련관 등 다양한 청소년 복지시설에 관한 종합적인 안목과 프로세스를 기획할 수 있는 청소년학, 주거학, 건축학, 사회복지학, 공간디자인학적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
  • 색인어
  • 청소년, 감성,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여가활동, 학습시설, 문화시설, 운동시설, 배치계획, 선호도, 감성평가, 감성어휘, 감성색채배색, 뇌파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