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노인식 개발 - 자색고구마 죽 개발 -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B00222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승민
연구수행기관 백석예술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고령화시대에 접어든 시점에서 노인의 복지문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노인의 식생활을 보다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 수 있도록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노인은 영양 취약집단이며 뇌심혈관 질환을 비롯한 여러 질병들의 위험률이 높다. 노인의 영양 상태는 노화로 인한 생리적 기능의 저하, 입맛의 변화, 치아의 손실, 활동량의 감소, 우울증, 소외감, 경제적 곤란, 흡연, 음주 등으로 인한 사회적 변화, 심리적 상태, 신체적, 환경적 요인 등으로 인해 영양불량 상태를 초래할 수 있고 노년기에 쉽게 발병하는 만성 질병 등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노인복지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고령화 사회의 진전은 노년기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노인에 관련된 전반적 내용과 노인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는 보다 실생활에 활용될 수 있는 단계에 와 있다. 이러한 문제에 관해서 일본,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노인들의 계절별 식단과 외식문화 그리고 노인의 기호도 및 다양한 식생활의 패턴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시 고령화 사회에 노인의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식생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 기대효과
  • 연구의 결과는 노인을 위한 식단의 방향 제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노화와 영양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노화와 관련된 퇴행성 질환은 식사 형태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노인 삶의 질을 좌우하는 만성퇴행성 질환의 대부분이 평상시 식생활 습관과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에 영양소 섭취량 뿐 아니라 올바른 식습관, 균형이 맞는 식사 섭취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지닌 자색고구마를 이용하여 노인들의 치아손상과 미각손상 등의 신체기능 저하에서 오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노인에게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기에 적합한 기호식품 및 건강식품으로서 자색고구마 죽을 개발하여 노인에게 건강한 식단을 제공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의학의 발달과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간의 평균 수명이 증가하게 되었다. 평균 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노인 인구는 증가되어 현재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다. 노인 인구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양적인 수명 연장 뿐 아니라 노후 생활의 질적 향상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에 따라 노인의 건강, 복지문제가 현실적으로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노인 인구의 계속적인 증가는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영양섭취나 식생활 등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노인의 건강은 노후 생활의 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식생활은 노인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인들에게 있어 식생활은 노인 건강과 연결되는 노인복지 문제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은 신체기관의 노쇠로 인하여 미각이 쇠퇴하고 씹는 능력 및 소화흡수 기능이 떨여져 신체적, 정신적 피로에 의해 식욕이 감퇴된다. 식품의 기호도는 식욕증진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인데, 기호가 높은 식품은 식사시 즐거움을 주어 소화율을 높이고 기호도가 낮은 식품은 식욕을 저하시키게 된다.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시점에서 노인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고령소비자를 위한 식단개발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노인의 기호에 맞으면서도 영양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한 노인을 위한 식단을 개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고령화속도,평균수명,자색고구마,죽,식생활,영양상태,생활의 질,노인복지,식단개발,고령화사회,노인
  • 영문키워드
  • Gruel,Dietary life,Diet menu,Nutritive conditions,Welfare for the aged,Elderly,Purple Sweet Potato,Aging Society,Elderly Die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의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성장 등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2019년에는 노령 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인의 건강과 식생활, 영양섭취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며, 노인을 위한 식단 개발도 필요하다.
    죽은 쌀을 소화하기 쉬울 만큼 호화시켰기 때문에 먹기에 부담이 없어 궁중에서도 아침 주식으로 흔히 죽을 이용했다고 한다. 죽은 간편식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열량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부재료의 첨가에 따라 탄수화물 이외에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죽은 물성이 부드럽고 소화가 용이할 뿐 아니라 노인의 죽의 이용빈도가 다른 연령에 비해 높게 나타나 노인식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하다.
    자색고구마는 식이섬유소 및 각종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anthocyanin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지만, 찐 고구마로 이용시 색소의 용출이 많아 기호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분말로 가공하여 천연의 식용색소원으로 가공식품에 널리 활용한다면 그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색고구마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자색고구마를 분말로 가공하여 죽에 2~8%의 범위로 첨가하여 자색고구마죽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죽의 pH는 낮아지고, 당도는 높아졌다. 색도에서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 L값은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색고구마죽의 점도는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증가하였다.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 색(color)은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 첨가군과 4% 첨가군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향(flavor)은 자색고구마 8%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향(flavor)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맛(taste)은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색고구마 첨가량에 따른 각 첨가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점도(viscosity)는 6%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8%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더 낮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는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8%> 4%> 2%> 0% 첨가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식에 활용하기 위해 자색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죽을 제조시 자색고구마를 6%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노인의 미각과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영문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The gruel was prepared with purple sweet potato powder, rice powder and salt. The gruel is made with various levels(0, 2, 4, 6, 8%) of purple sweet potato added. Increasing content of purple sweet potato decreased pH and viscosity of gruel, whereas sugar content and spreadability increased gradually. As the content of purple sweet potato increased, the lightness(L) decreased and redness(a) and yellowness(b) increased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 groups.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overall-acceptability were the highest scores at gruel containing 6% level of purple sweet potato. In conclu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gruel with 6% of purple sweet potato is the best. This study means as it enhanced the quality and acceptability of gruel by adding purple sweet potato powder.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의학기술의 발달과 경제성장 등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2019년에는 노령 사회로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노인 인구의 증가로 노인의 건강과 식생활, 영양섭취에 대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며, 노인을 위한 식단 개발도 필요하다.
    죽은 곡물을 물과 함께 오래 끓여 알갱이가 무르게 만든 것으로, 곡물 내 전분을 완전히 호화시켜 소화율이 높은 음식이다. 죽은 간편식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열량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부재료의 첨가에 따라 탄수화물 이외에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죽은 쌀을 소화하기 쉬울 만큼 호화시켰기 때문에 먹기에 부담이 없어 궁중에서도 아침 주식으로 흔히 죽을 이용했다고 한다. 죽은 간편식으로 수요가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열량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부재료의 첨가에 따라 탄수화물 이외에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죽은 물성이 부드럽고 소화가 용이할 뿐 아니라 노인의 죽의 이용빈도가 다른 연령에 비해 높게 나타나 노인식으로 개발하기에 적합하다.
    최근에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자색고구마는 재배가 용이하며 색소 함량이 다른 색소원에 비해 높고, anthocyanin는 안정된 형태의 색소이므로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되었다. 자색 고구마는 단백질과 지방, 식이섬유 및 칼륨, 인, 철 등 무기질이 골고루 들어 있고,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고구마 중의 비타민 C는 전분질로 둘러싸여 있어 가열해도 거의 손실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색고구마는 식이섬유소 및 각종 비타민, 무기질 뿐만 아니라 anthocyanin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천연 식용색소원으로 가공식품에 널리 활용한다면 영양성과 기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항산화물질을 함유하고 식이섬유소가 다량 함유된 자색고구마 분말을 이용하여 노인의 치아손상과 식욕, 미각 등 저하된 신체기능을 고려한 건강편이식품으로서 죽을 제조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자색고구마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자색고구마를 분말로 가공하여 죽에 2~8%의 범위로 첨가하여 자색고구마죽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죽의 pH는 낮아지고, 당도는 높아졌다. 색도에서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 L값은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이것은 자색고구마가 자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색고구마죽의 점도는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증가하였으며, 각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는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8%> 4%> 2%> 0% 첨가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식에 활용하기 위해 자색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죽을 제조시 자색고구마를 6%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노인의 미각과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죽은 먹기가 간편하고 소화가 잘되어 아침식, 노인식, 환자식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전통식품이다. 죽은 활용도가 높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죽이 완전조리식품으로 가공되어 판매되고 있다. 죽의 주재료인 곡물에 다른 식품소재를 첨가하여 기호성뿐만 아니라 기능성까지 높인 죽이 개발되고 있다. 자색고구마는 식이섬유소 및 각종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anthocyanin 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지만, 찐 고구마로 이용시 색소의 용출이 많아 기호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분말로 가공하여 천연의 식용색소원으로 가공식품에 널리 활용한다면 그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는 자색고구마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자색고구마를 분말로 가공하여 죽에 2~8%의 범위로 첨가하여 자색고구마죽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죽의 pH는 낮아지고, 당도는 높아졌다. 색도에서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 L값은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증가하였다. 이것은 자색고구마가 자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낮아지고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색고구마죽의 점도는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증가하였으며, 각 시료들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관능적 품질특성 결과 색(color)은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 첨가군과 4% 첨가군간에는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향(flavor)은 자색고구마 8%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색고구마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향(flavor)에 대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맛(taste)은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색고구마 첨가량에 따른 각 첨가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나타났다. 점도(viscosity)는 6%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8% 첨가군에서는 오히려 더 낮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는 자색고구마 6% 첨가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8%> 4%> 2%> 0% 첨가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식에 활용하기 위해 자색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죽을 제조시 자색고구마를 6% 정도의 수준에서 첨가하는 것이 노인의 미각과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노인식, 자색고구마, 죽, 당도, 색도, 전반적인 기호도, 관능평가, 퍼짐성, 점성, pH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