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과 벡-게른스하임의 2차 근대성과 개인화의 이론은 이미 서구에서는 널리 적용되고 있고 (Beck and Beck-Gernsheim, 2002),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의 개인화 과정에도 적용된 바 있다 (Han and Shim, 2010; Shim and Han, 2010; Chang and Song, 2010; Suzuki e ...
벡과 벡-게른스하임의 2차 근대성과 개인화의 이론은 이미 서구에서는 널리 적용되고 있고 (Beck and Beck-Gernsheim, 2002),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의 개인화 과정에도 적용된 바 있다 (Han and Shim, 2010; Shim and Han, 2010; Chang and Song, 2010; Suzuki et al., 2010; Yan, 2010). 이러한 이론적 관점하에서 아래 네가지 구체적인 연구들이 진행될 것이다. 노인기의 사회적 관계를 논의하는 첫 번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연구할 것이다. 한국의 여성노인의 특징에 대해서는 노인문제 전반 속에서 여성노인의 위치, 서구와 비교해서 유사점과 차이점을 연구하고 한국의 여성노인의 인간관계의 특징에 대해서는 여성노인의 가족관계, 친구관계, 종교활동의 특징을 살펴보고 여성노인의 정체성의 특징과 어떤 과정을 통해서 형성된느지를 살펴본다. (심층면접/초점집단면접) 여성노인의 인간관계의 특징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2차근대성과 개인화 이론의 맥락에서 개인화 쪽으로 밀어내는 요인, 구조적-객관적 요인 및 문화적 담론적 요인, 개인화 쪽으로 끌어당기는 요인, 구조적-객관적 요인 및 문화적 담론적 요인,을 살펴보고 이론적 관점에서 서구와 비교하여 분석한다. 노인기의 인지적 건강에 대한 두 번째 연구에서는 1) 신체적/인지적 기능: 앓고 있는 질병 유무(암, 당뇨, 고혈압; 심혈관계, 호흡기, 골관절, 위장관, 신경/정신 등), 기능 저하 혹은 장애(거동, 대소변, 근력, 시력/청력/미각 등), 기억력, 판단력을 살펴보고 2) 사회적 기능: 친구 혹은 친지와의 접촉, 사회적 활동·정기적 방문 여부, 가사일·육아·직업 활동 여부, 재정적 안정(연금, 수입, 생활비 보조, 용돈 등)을 연구한다. 이어서 3) 취미 및 여가활동: 흡연·음주, 성 생활, 정기적 활동(운동, 예능, 사교모임 등) 4) 주관적 판단: 건강(신체적, 기능장애 등), 심리/정신/인지, 사회(대인관계)-가족·친지·친구·기타, 재정·취미, 성공적 노화 여부 5) 개별 인터뷰: 은퇴, 배우자·자녀·가족, 늙음(aging), 여생에 대한 계획/포부/희망, 지난 생애에 대한 회한/반성/보람과 긍지 부분을 연구할 것이다. 노인기의 신체적 건강에 대한 세 번째 연구에서는 한국 노인기의 식습관 및 식생활 특징, 노인기의 경제적 능력, 노인기의 식사준비 의지, 노인기의 건강관리 의지, 편의식 인지도 및 요구도 등을 조사 연구 한다. 설문지 조사를 통해 참여자의 경제적 상황 및 능력, 생활환경, 식습관 태도, 식품에 관한 기호도 및 요구도, 건강관리 방법 및 건강관리 의지, 편의식에 관한 인지도 및 요구도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한다. 초점집단 면접법은 총 6회에 걸쳐 실시하며 설문지 조사 결과를 분석한 후 도출된 항목에 따른 세분화된 정보와 주관적인 정보를 인터뷰한다. 1회 인터뷰 시간은 대략 1시간-1시잔 30분 정도로 진행하며,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인터뷰 내용은 모두 녹음하고 필사하며, 1차 자료를 분석한 후에는 분석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분석한 내용을 확인하면서 자료가 포화되도록 진행한다. 노인기의 식생활양식 및 식습관의 변화와 가족성원의 변화, 경제적능력의 변화, 신체기능저하 등과의 성을 분석한다. 노인기의 문화적 특징에 대한 네 번째 연구에서는 2001년 이후 한국에서 발표된 미디어자료(영화/TV드라마)들에 재현된 노인들의 삶을 대상으로 하되 노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주체성이 확고하게 드러난 예들을 조지 베일런트의 <행복의 조건>에서 말하는 성공적 노화의 중요 개념들, “친밀감”, 직업적 안정”, “생산성”, “의미의 수호자”, “통합(죽음)”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들을 분석할 예정이다. 여기서 다루고자 하는 연구주제들은 2001년 이후 한국사회에서 노인 관련 사회문화적 담론은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는가? 그 중에서도 여성노인 관련 담론은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가? 노인영화제 또는 여성영화제에 출품된 단편영화들 중에서 “성공적 노화”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있는가? 있다면 그 특징은 어떠한 것인가? 이상과 같은 미디어 분석 결과 현재 한국 사회에서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관련한 주체적 정체성 형성과정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가와 같은 주제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