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일본문화의 공간연구 - 시가문학을 중심으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717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강미나
연구수행기관 동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공간’이라는 개념을 기축으로 일본인의 의식과 지향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본고에서는 문학 속에서도 더욱 공간에 대한 인식이 절대적인 시가문학세계를 중심으로 하여, 일본문화의 공간 유형을 분류해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본시가문학 중에서도 대표적인 문화코드인 와카(和歌)와 와카에서 전개된 다양한 형태의 시가문학의 형식성과 정신이 공간이라는 개념을 어떻게 형성하고 있으며 어떠한 공간을 통해서 어떻게 표출하고 향유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자는 문제의식에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은 사안을 목표로 한다.
    첫째로 일반적인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한 후, 공간유형을 분류한다. 시가문학 속에서의 공간이란 어떠한 것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 다각적으로 검토한 후, 시가문학에서의 공간개념에 대해서도 정의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의 공간이라 하면, 그 중, ‘노래가 불리워지고 만들어지는 장’으로서의 공간에서 만들어진 노래가 어떻게 형식화, 이론화해서 사회화되어 나아가는지, 라는 것에 대한 고찰이다.
    둘째로 ‘공간’의 형식화과정을 살펴본다. 음수율 형성과정과 형식은 어떻게 진행되며 그 속에 흐르는 정신은 어떤 것으로 어떻게 공간화해 가는 것인지, 그 과정과 영향관계를 살펴본다.
    셋째로 ‘공간’의 이론화과정을 살펴본다. 공간 인식에 따른 가인들 사고의 핵심가치는 어떠한 것으로 그것이 어떠한 장을 거쳐 어떻게 문학으로서 정착되어 가는지, 를 고찰한다.
    넷째로 ‘공간’의 사회화과정을 살펴본다. 구체화된 시가문학의 형식과 정신이 다양한 생활공간 속에서 어떻게 피로, 향유, 전개되어 가는지, 등이다.
    이처럼 일본시가에서의 ‘공간’에 대한 네 국면에서의 이해를 통해 협의로는 일본시가문학의 공간을 구체적으로 그려낼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광의의 일본문화의 총체적 이미지를 종합할 수 있는 시계를 확립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문화를 공간적 시각으로 바라보는 연구가 없는 관계로, 본 연구를 통해, 일본문화의 전반을 아우르는 핵심단어로써 ‘공간’이라는 용어가 부각될 것이다. 둘째, 일본의 ‘공간’ 개념을 통해서 각각 개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일본문화를 해석, 수용하는 데 통합적인 시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글로벌 시대에서 경쟁할 수 있는 능력과 인식을 갖추고 키우는 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가 기대하는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및 교육적 파급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인문 정신의 형성에 기여하는데 그 이론적 체계와 실천적 적용의 방법론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순수기초 학문분야와 문화 일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틀을 제시하고 긴밀한 학제간의 공동연구를 지향함으로써, 인접분야 학문들 상호간의 소통에 시너지효과를 얻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공간’을 다루는 이 연구가 구축하게 될 학제간 인문학적 모델은 인문학내에서의 문화담론을 활성화하는데 기폭제가 될 새로운 방법론적 패러다임으로서, 향후 기타 연구에 응용, 적용함으로써 일종의 ‘로드맵’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공간’에 관계한 관련 학문분야를 아우르는 연합세미나와 컨퍼런스 등을 통해 관련연구자와 전문가의 상호간의 학문적 교류를 유도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제간 연구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공동과제 개발을 추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다섯째, 이 연구는 문화를 바라보는 시각의 틀을 형성하고 코드화를 발판으로 여러 방면의 후학연구의 발판이 될 것이다. 여섯째, 이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성취를 『일본문화의 공간연구』라는 단행본으로 출간하여 대중화할 것이다. 이것으로 ‘공간’이라는 삶의 장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우주로 그 논의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인간은 존재하는 모든 현상들을 시간과 공간이라는 두 축에 의해 파악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인간이 사물이나 현상을 규정하고 인지하며 이를 언어화할 때 시간성과 공간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래서 이 두 축으로 인간의 모든 제 현상을 다시 정립해볼 필요가 있다. 일본문화를 바라봄에 있어서도 이 시각이 필요한데, 실상은 시간에 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있으나, 공간의 측면에서 일본문화를 보려는 논의는 지금 막 태동한 상황이다. 특히나 ‘지금’, ‘여기’를 중시하는 일본인들에게 있어, 공간에 대한 인식은 더욱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궁극적으로 일본문화의 전반을 ‘공간’이라는 축으로 해서 재구성해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곧, 본 연구의 주제는, 일본의 각종 부분에서의 현상을 공간이란 렌즈를 통해서 정립하고, 시대의 흐름에 따른 ‘공간(空間)’에 대한 변천과 의미 및 그 역할을 고찰하여 전체적으로 일본문화를 조망해보는 한 시계를 세우고자 ‘일본문화의 공간연구’라고 하였다. 다만, 방대한 테마를 한꺼번에 다룰 수는 없어 그 작업의 한 부분으로서 금번 연구에서는 ‘일본시가’문학에서 본 ‘공간’연구를 부주제로 하였다. 구체적 연구내용으로서는 ‘일본시가문학’을 토대로 그‘공간’에 대해 면밀히 검토, 분석, 고찰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원칙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현상학 쪽 공간접근 방법 가운데서도 실존적 장소론도 분석틀로 이용할 것이다.
    구체적, 연구내용으로서는,
    ① 공간유형분류- 공간에 대한 각 시대별 유형정리
    ② 상대시가(萬葉과 記紀歌謠)의 기원과 발생 및 공간을 통해, 공간의 형식화과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첫째로, 和歌의 기원과 발생 및 형성과정을 살펴보면서 그 유래와 향방을 전체적으로 조망하여 문제점을 종합․정리한다.
    둘째로, 和歌에 나타난 정신 및 주제와 그 전개를 살펴보면서 그것들이 읊어진 공간을 살펴보며 和歌가 기본틀로 형성되는 그 공간과 그 형성된 틀은 또 어떠한 공간 속에서 형성되고 피로되는지를 살펴본다.
    ③ 중고, 중세시가의 흐름과 공간(歌合에서 連歌로, 칙찬6대집)을 분석, 검토를 통해 공간의 이론화과정을 살펴보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시대의 공간에 따른 새로운 형식의 전개양상을 살펴본다. 정치적으로 섭관정치가 확립된 시기를 맞이함에 따라 궁중에서 이루어지는 행사에서 和歌가 부흥하게 되는데 이에 큰 역할을 한 ‘屏風歌’와 ‘歌合’를 집중 탐구하여 노래하는 주체와 그 對象, 그리고 양식과 이념 나아가 그 공간 및 배경을 분석, 고구한다.
    둘째로, 헤이안중기 이후에 가인들의 유희로서 많이 불려진 鎖連歌가 和歌의 ‘場’에서 어떻게 형성되며 어떻게 ‘座’로 전개되는지를 고찰한다. 이는 한, 두 사람의 작업이었던 和歌가 連歌의 형태로서 더욱 대중화, 사회화하기 때문이다.
    ④ 중세 和歌와 茶道의 공간(和歌와 連歌, 칙찬집과 그 외, 連歌集)의 공간과 정신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공간의 사회화과정을 구체화할 것으로,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和歌와 茶道에서 읊어지는 和歌의 공간(座)를 살펴보며 그 추구하는 정신과 공간의 공통점과 차이를 살펴본다.
    둘째로, 和歌의 여흥으로 탄생한 공동제작의 문학인 連歌를 집중적으로 살펴 어떤 이념과 공간이 만들어져서 어떻게 전개되는지, 그 배경과 공간을 대비해보고자 한다.
    셋째로, 근세이후의 시가문학의 공간에 대한 인식도 고구한다.
  • 한글키워드
  • 시가,座,茶道,記紀歌謠,連歌,일본문화,공간,和歌,萬葉集,歌合
  • 영문키워드
  • Za(guilds),space,poetry,renga(collaborative poetry),utaawase,poetic culture,Japanese culture,Manyoshu,waka,Japanese tea ceremon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일본문화가 공간과 어떻게 접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 시가문학의 공간과의 관계를 보려고 했다. 그를 위해서 처음에는 시가문학의 공간의 형식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상대시대의 시․공간이, 5․7․5․7․7이라는 형(型)으로서 형상화(形象化), 형식화(形式化)된 것이 기키가요(記紀歌謠)이며 만엽집(萬葉集) 노래였다.
    두 번 째는, 우타아와세(歌合)로부터 렌가(連歌)로 이어지는 중고시대(中古時代)는, 전 시대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던 시가 형의 시가공간의 이론화과정으로, 정치적으로는 평화적인 시기와 맞물려서 노래도 문화의 중심에 두어져 있었다. 왕족과 귀족의 개인적인 기호로부터 시작한 우타아와세는, 점점 공적인 지위를 획득하면서 공간의 이론화를 이루게 되었다.
    세 번째는, 공간의 사회화과정이다. 중세시대(中世時代)는, 중고의 우타아와세와 같이 그 장에서만이 아니라, 시가 자체 속에서도 사회화, 공간화가 행해지는 획기적인 시대이기도 했다. 그 도구였던 렌가는, 전대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집단 속에서의 웃음과 결속을 중시하며, 전란인 중세사회의 구심점적인 문예로서 위치하면서 다른 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네 번째로는, 중세시대의 산물인 집단성의 문예, 렌가의 장에서 가장 강조되고 있었던 것은, 상대에 대한 배려와 분위기를 살리는 마음가짐이었다. 이것이, 렌가론에서 강조된 정신으로, 이를테면, 공동체 속에서의 처세에 대한 매뉴얼화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일본문화의 매뉴얼화는 이 시기에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와카의 형에 맞춘 정련과정과, 렌가의 집단 속에서의 수신정신은, 오늘날까지 일본인의 생활양식이나 정신이 되어, 일본문화를 특징짓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일본시가문학은 그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일본문화이해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것이다.
  • 영문
  • In order to explore the space of Japanese culture, I tri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Japanese poetry and space.
    First, I tried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alization of the space of Japanese poetry. The time and space of the Ancient and Classical period(Asuka and Nara period) has been formalized into the type of 5.7.5.7.7. They are songs of Kiki(記紀) and Manyoshu(万葉集).
    The second, Heian period is the time to lead to Renga(連歌, collaborative poetry) from Utaawase(歌合, poetry contests or waka matches). During this period, poetic space that had been already formed in the era also has the process of theorizing. The other side to have a peaceful time, song as well, politically it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culture. Utaawase, which began a personal preference of royalty and nobility, was also made into theorization of space gradually gaining official status.
    The third,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of the space has been investigated. The Feudal Japan, was a revolutionary era. During this period, socialization and spatialization have been made among the poetry. Renga made ​​much of the humor and unity in the group while receiving the tradition of the previous generation. Being a position as a literary point of centripetal of the medieval war society, Renga influenced many other cultures.
    The fourth, Renga is a product of the Feudal Ages which is the literary group. Renga is prepared to take advantage of the most emphasized concern for the other person and the atmosphere. It can be called as a manual for Worldly in the community.
    As described above, in the spirit and ethics of collective Renga refining process and tailored to the type of poetry, it has become a lifestyle and a spirit of the Japanese until today. This is a factor that characterizes the Japanese culture. So, the Japanese poetry plays a role in it absolutely, I can say that it is best to identify the keyword for Japanese cultur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일본문화가 공간과 어떻게 접하고 있는지를 알기 위해서, 시가문학의 공간과의 관계를 보려고 했다. 그를 위해서 처음에는 시가문학의 공간의 형식화과정을 살펴보았다. 상대시대의 시․공간이, 5․7․5․7․7이라는 형(型)으로서 형상화(形象化), 형식화(形式化)된 것이 기키가요(記紀歌謠)이며 만엽집(萬葉集) 노래였다.
    두 번 째는, 우타아와세(歌合)로부터 렌가(連歌)로 이어지는 중고시대(中古時代)는, 전 시대에 이미 형성되어 있었던 시가 형의 시가공간의 이론화과정으로, 정치적으로는 평화적인 시기와 맞물려서 노래도 문화의 중심에 두어져 있었다. 왕족과 귀족의 개인적인 기호로부터 시작한 우타아와세는, 점점 공적인 지위를 획득하면서 공간의 이론화를 이루게 되었다.
    세 번째는, 공간의 사회화과정이다. 중세시대(中世時代)는, 중고의 우타아와세와 같이 그 장에서만이 아니라, 시가 자체 속에서도 사회화, 공간화가 행해지는 획기적인 시대이기도 했다. 그 도구였던 렌가는, 전대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집단 속에서의 웃음과 결속을 중시하며, 전란인 중세사회의 구심점적인 문예로서 위치하면서 다른 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네 번째로는, 중세시대의 산물인 집단성의 문예, 렌가의 장에서 가장 강조되고 있었던 것은, 상대에 대한 배려와 분위기를 살리는 마음가짐이었다. 이것이, 렌가론에서 강조된 정신으로, 이를테면, 공동체 속에서의 처세에 대한 매뉴얼화라고도 할 수 있으며, 일본문화의 매뉴얼화는 이 시기에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와카의 형에 맞춘 정련과정과, 렌가의 집단 속에서의 수신정신은, 오늘날까지 일본인의 생활양식이나 정신이 되어, 일본문화를 특징짓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일본시가문학은 그에 절대적인 역할을 한 일본문화이해의 가장 중요한 키워드인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공간’이라는 개념을 기축으로 일본인의 의식과 지향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 하에, 본고에서는 문학 속에서도 더욱 공간에 대한 인식이 절대적인 시가문학세계를 중심으로 하여, 일본문화의 공간 유형을 분류해보고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일본시가문학 중에서도 대표적인 문화코드인 와카(和歌)와 와카에서 전개된 다양한 형태의 시가문학의 형식성과 정신이 공간이라는 개념의 형성과정과 표출 및 향유되는 과정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로 일반적인 공간에 대한 개념을 정의한 본고에서 다루는 시가문학 속에서의 공간을 개념을 정의하여, 노래가 불리워지고 만들어지는 장’으로 규정하였다. 나아가 상대시대의 시가문학 속에서 노래의 형식화과정을 밝혀보았다.
    둘째로 ‘공간’의 이론화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정치적으로 안정을 이룬 중고시대 문화에 대한 의식이 싹트고, 공간 인식에 따른 가인들 사고의 핵심가치가 ‘우타아와세(歌合)’라는 중고시가문학형태를 만들어냈다는 것을 고구했다.
    세째로 ‘공간’의 사회화과정으로, 구체화된 시가문학의 형식과 정신이 다양한 생활공간 속에서 피로, 향유, 전개되어 가는 과정을 중세시대의 시가문학 형식인‘렌가(連歌)’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일본시가에서의 ‘공간’에 대한 3국면에서의 이해를 통해 협의로는 일본시가문학의 공간을 구체적으로 그리고 그 전개과정을 구체화하였고, 궁극적으로는 다른 문화의 형성의 기반에 일본시가문학의 정신과 태도가 그 초석으로 작용하였고, 현대에까지 이르는 일본인, 일본문화의 큰 틀을 형성하는 키워드였다는 것을 밝혔다.
    활용으로서는, 첫째, 이 연구는 인문 정신의 형성에 기여하는데 그 이론적 체계와 실천적 적용의 방법론을 정립하고, 둘째, 이 연구는 순수기초 학문분야와 문화 일반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틀을 제시하고 긴밀한 학제간의 공동연구를 지향하며, 셋째, ‘공간’을 다루는 이 연구가 구축하게 될 학제간 인문학적 모델은 인문학내에서의 문화담론을 활성화시킨다.
  • 색인어
  • 시가, 일본문화, 공간, 和歌, 萬葉集, 記紀歌謠, 歌合, 連歌, 茶道, 座, 사회화, 상대시대, 중고시대, 중세시대,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