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태 분석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G00005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나미희
연구수행기관 충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한지(닥섬유)를 이용한 의류 제품을 내, 외의류로 분류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 지역 및 소득별 다양한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행태를 분류하고, 소비자 행태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
  • 기대효과
  • 1. 산업적 효과
    1) 닥나무 자원의 이용성 증대 및 기술 확립
    2) 지역 특화산업의 활성화 계기로 지역산업 발전
    3) 환경친화제품의 제작 및 평가 가능한 전문 인력 양성

    2. 문화적 효과
    1) 국내 전통산업인 한지산업의 활성화
    2) 국내 소비자 및 학생들의 국내 전통산업에 대한 이미지 제고
    3) 닥나무를 이용한 한지관련제품의 체험 프로그램 활성화로 전통문화 계승발전 토대 마련
  • 연구요약
  •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웰빙지향, 품위지향 등의 이미지 인식과 달리 시장에서의 수요는 한지 제품의 이미지에 미치지 못하므로 실제 한지 의류제품 사용시의 소비자 행태 분석이 필요함.
    본 연구는 기존의 한지섬유를 이용한 의류 제품을 내의류와 외의류로 분류하여 성별, 연령별, 직업 및 소득별 다양한 인구통계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에 대한 소비자들의 행태를 분석하고자 함. 이러한 분석은 소비자들의 국내 전통산업에 대한 인식 제고와 더불어 국내 전통산업의 보존 및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여겨짐.

  • 한글키워드
  • 한지,닥섬유,행태,의류제품,이미지
  • 영문키워드
  • product,Image,hanji,behavior,cloth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한지 의류제품의 이미지를 분류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의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한지 의류제품의 구매시 고려 사항에 대해 파악하므로써 한지 의류제품의 제품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한지 의류제품 개발의 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된다.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는‘고급스러운 이미지’,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의 네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를 연령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령별 차이는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직업별 차이가 있었으며, 전통적 이미지는 학생이, 실용적 이미지는 직장인이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제일 높은 제품은 셔츠, 스카프, 손수건, 실내복, 잠옷, 내의, 양말순으로 나타났으며, 한지 의류제품 중에서 사용경험이 제일 많은 제품은 양말로, 구매 의사가 가장 높은 제품은 셔츠제품으로 나타났으며, 양말은 사용경험은 가장 많으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전반적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의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는 증가하였으며, 직장인에 비해 학생인 경우에는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marketing stategy by understanding hanji clothing product image and consumers' concerns, experience, and buying decision for hanji clothing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1. Consumer image perceptions of hanji clothing produ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 'high-quality', 'practicality','wellbeing' and 'traditionality'.
    2. Differences of age groups and job groups were showed. Younger generations had lower 'practicality','wellbeing' and 'traditionality' image for hanji clothing products.
    3. Consumers had higher concerns and buying decision in shirts made of hanji.
    4. Correlation of consumer concerns and buying decision showed high relation.
    5. The analysis of a relationship among consumer concerns, experience, and buying decision showed that higher age groups had more consumer concerns, experience, and buying decision. students group showed lower consumer concerns, experience, and buying decis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지 의류제품의 이미지를 분류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의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한지 의류제품의 구매시 고려 사항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는‘고급스러운 이미지’,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의 네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를 연령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령별 차이는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연령이 20대에서 40대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직업별 차이가 있었으며, 전통적 이미지는 학생이, 실용적 이미지는 직장인이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지 의류제품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비교한 결과,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제일 높은 제품은 셔츠, 스카프, 손수건, 실내복, 잠옷, 내의, 양말순으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제품 중에서 사용경험이 제일 많은 제품은 양말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 제품 중에서 구매 의사가 가장 높은 제품은 셔츠제품으로 나타났으며, 양말은 사용경험은 가장 많으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의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외의류와 내의류의 관심도와 구매의사사이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제품에서 연령과 직업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는 증가하였으며, 직장인에 비해 학생인 경우에는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는‘고급스러운 이미지’,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의 네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를 연령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령별 차이는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연령이 20대에서 40대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직업별 차이가 있었으며, 전통적 이미지는 학생이, 실용적 이미지는 직장인이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지 의류제품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비교한 결과,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제일 높은 제품은 셔츠, 스카프, 손수건, 실내복, 잠옷, 내의, 양말순으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제품 중에서 사용경험이 제일 많은 제품은 양말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 제품 중에서 구매 의사가 가장 높은 제품은 셔츠제품으로 나타났으며, 양말은 사용경험은 가장 많으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의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외의류와 내의류의 관심도와 구매의사사이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제품에서 연령과 직업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는 증가하였으며, 직장인에 비해 학생인 경우에는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2) 활용방안
    - 원료 생산업체의 상품 제조 기업으로의 기술 도입 및 창업 유도
    - 다양한 한지 의류제품 개발
    - 실내 인테리어및 침구용품 개발
    - 노인 및 환자용품
    - 한지를 이용한 문화관광 상품 개발
  • 색인어
  • 한지, 의류제품, 소비자, 닥섬유, 이미지, 행태, 성별, 연령, 거주지, 직업,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