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지 의류제품의 이미지를 분류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의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 ...
본 연구는 한지 의류제품의 이미지를 분류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의 요인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분석하고,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한지 의류제품들에 대한 소비자의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한지 의류제품의 구매시 고려 사항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는‘고급스러운 이미지’,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의 네 가지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한지 의류제품 이미지를 연령대에 따라 분석한 결과, 연령별 차이는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연령이 20대에서 40대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용적 이미지, 웰빙 이미지, 전통적 이미지에서 직업별 차이가 있었으며, 전통적 이미지는 학생이, 실용적 이미지는 직장인이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지 의류제품 제품에 대한 소비자 행태(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를 비교한 결과,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제일 높은 제품은 셔츠, 스카프, 손수건, 실내복, 잠옷, 내의, 양말순으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제품 중에서 사용경험이 제일 많은 제품은 양말로 나타났다. 한지 의류 제품 중에서 구매 의사가 가장 높은 제품은 셔츠제품으로 나타났으며, 양말은 사용경험은 가장 많으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에 대한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와 구매의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외의류와 내의류의 관심도와 구매의사사이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든 제품에서 연령과 직업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는 증가하였으며, 직장인에 비해 학생인 경우에는 한지 의류제품에 대한 관심도, 사용경험, 구매의사가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