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콘텐츠에 따른 이미지의 감성 선호도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1-32A-G00024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3 년 (2011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하동환
연구수행기관 중앙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신수진(연세대학교)
박형주(중앙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에서는 제조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객관적 화질 요소와 콘텐츠 소비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주관적 선호도 측정 방법을 통합한 새로운 감성화질측정 방법을 연구하여 콘텐츠에 따른 감성화질의 선호도를 연구.
    • 감상자의 화질에 대한 인상 평가는 연구자의 실험 설계, 방법, 환경, 피실험자의 성별, 문화, 나이 등에 의해 평가 결과가 달라지므로 다양한 실험 자극(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이 필요함.
    • ISO 국제표준규격을 준수하는 국내자체 감성화질의 선호도 연구 확보를 기대.
    • 이를 위하여 인문, 사회, 예술, 디자인, 애니메이션, 미술, 영화, 게임, 캐릭터 상품, 사진, 건축, 의상, TV, 2D/3D, 가상현실, 교육, 영상 등의 다양한 지식 배경을 가진 연구원들로 팀을 구성하였음.
    • 또한 그간 구축해 두었던 제안기관들과의 유기적인 업무협조 관계는 본 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임.
    • 본 연구팀과 관련 학계 및 산업기관 측은 보다 진보된 국제 표준기반 준수의 국내 자체 감성화질측정연구를 통해 세계강국으로의 도약을 꿈꾸는 우리나라의 장래를 위해 도움이 되는 영상관련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같이 하고 서로의 장점을 융합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협동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해 보고자 함.
  • 기대효과
  • 가. 국제 표준에 준하는 국내 자체표준 개발
    ▶ 국제 표준을 준수하였으므로 국내 연구의 국제 표준화의 가능성 제시
    ▶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연구내용 및 결과들은 학문적 가치 뿐 아니라 연구의 결과가 관련 시장 및 제조사에 바로 적용되어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음

    나. 객관적 감성화질측정 모형 구축
    ▶ 현재 콘텐츠 소비 시장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재현이 가능한 감성 경쟁으로 그 방향이 전향
    ▶ 단순히 콘텐츠를 재현할 수 있는 성능 구현보다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수한 콘텐츠 이미지의 재현이 필요한 시기
    ▶ 제조사는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화질을 위해 그들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감성화질측정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음
    ▶ 기존의 주관적 화질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주관적 감상이나 대비, 색상, 선예도와 같은 외적 특성을 형용사로 평가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짐.
    ▶ 객관적인 방법으로 콘텐츠의 화질을 평가하기에 부족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성들이 화질의 선호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기 어렵다는 단점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콘텐츠 사용자와 제조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여 콘텐츠 소비자가 활용하기 쉬운 객관적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제안

    다. 감성화질측정 원천연구 확보 및 선호도 연구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 가능
    ▶ 일반 사용자들이 지각한 변화를 언어로 표현하게 하는 설문을 진행. 그 결과 공통으로 도출된 어휘들은 감상화질측정의 문항으로 활용
    ▶ 객관적 화질을 재현하는 물리적 성능과 감상자의 주관적 선호도를 연관시켜 화질을 평가
    ▶ 최종 감상자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콘텐츠의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화질과 객관적 항목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도출
    ▶ 상관관계를 분석 및 가중치 평가의 결과로 인해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해 분석할 수 있으며 화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파악
    ▶ 이와 같은 결과는 제조사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을 지향하는 성능 개발로 이어질 가능성 제시
    ▶ 객관적 화질 평가와 주관적 선호도의 결과를 반영한 하나의 통합형 감성화질측정 모형 구축의 가능성을 제시

    라. 고가의 수입 프로그램 대체 효과
    ▶ 본 연구는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제안하고 현재 고가의 객관적 화질 평가 프로그램(IE Analyzer, Ima Test 등)을 대체할 수 있게 함
    ▶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감성화질평가 프로그램으로 대안

    마. 화질평가 관련 전문우수인력 양성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감성화질측정 모형은 객관적 화질 평가와 주관적 선호도 평가가 동시에 측정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전문가로 하여금 효과적으로 분석을 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
    ▶ 인문, 사회, 예술, 디자인, 애니메이션, 미술, 영화, 게임, 캐릭터 상품, 사진, 건축, 의상, TV, 2D/3D, 가상현실, 교육, 영상 등의 관련 학문의 기초 연구 자료로도 활용 가능
    ▶ 다양한 콘텐츠에 관한 감성화질측정 연구는 제조사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콘텐츠에 따른 감성화질의 선호도 측정 관련 전문우수인력을 확충하는 역할 담당
  • 연구요약
  • 연구내용 #1. 감성 선호도 관련 언어의 연구
    주관적 선호도 조사를 위해 예비실험를 통한 객관적 화질과 주관적 선호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 새로운 주관적 감성화질측정 연구의 필요성 도출 → 객관적 화질 요소를 기반으로 한 감성화질 측정용 형용사 도출 설문조사 실행 → 일반인들이 화질에 대해 인지하는 언어 도출

    연구내용 #2. 감성 선호도 측정의 연구
    감성 선호도를 측정하기 위해 언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감성화질 선호도 측정 모형 구축 → 구축된 모형을 분석할 통계적 방법 구축 → 패스파인더의 지식 구조화 맵을 활용한 분석 방법 연구 → 통합형 감성화질측정 모형 구축 → 화질에 따른 선호도 측정 실행

    연구내용 #3. 콘텐츠에 따른 감성 선호도의 연구
    적용할 콘텐츠 장면의 유형화 및 DB화 → 콘텐츠에 따른 이미지의 감성 선호도 측정 실행 → 감성화질측정 모형의 세부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감성 선호도 측정의 콘텐츠에 따른 세분화 및 정교화 → 통합적 화질 분석의 맵 제시
  • 한글키워드
  • 감성,화질,콘텐츠,디자인,사진,선호도,이미지
  • 영문키워드
  • Contents,Preference,Sensitivity,Photography,Design,Image,Image Qual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재 콘텐츠 소비 시장은 소비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재현이 가능한 감성 경쟁으로 그 방향이 전향되고 있으며, 단순히 콘텐츠를 재현할 수 있는 성능 구현보다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우수한 콘텐츠 이미지의 재현이 필요한 시기이다. 제조사는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화질을 위해 그들의 선호도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감성화질측정 도구를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주관적 화질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콘텐츠의 내용에 따른 주관적 감상이나 대비, 색상, 선예도와 같은 외적 특성을 형용사로 평가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졌다. 또한 객관적인 방법으로 콘텐츠의 화질을 평가하기에 부족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성들이 화질의 선호도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일반 콘텐츠 사용자와 제조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여 콘텐츠 소비자가 활용하기 쉬운 객관적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객관적 화질 측정을 위한 각 요소들의 수치와 주관적 선호도 평가에서 나타난 순위 간 관계를 분석 후, 이를 바탕으로 객관적 화질 요소를 기반으로 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사용자들이 지각한 변화를 언어로 표현하게 하는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공통으로 도출된 어휘들은 감상화질측정의 문항으로 활용하였다. 객관적 화질을 재현하는 물리적 성능과 감상자의 주관적 선호도를 연관시켜 화질을 평가하여 최종 감상자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콘텐츠의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화질과 객관적 항목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해 분석할 수 있으며 화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제조사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고객 만족을 지향하는 성능 개발로 이어질 수 있으며 객관적 화질 평가와 주관적 선호도의 결과를 반영한 하나의 통합형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 영문
  • Resent contents consuming market has a tendency of inclining to emotional competition which is represented by consumers' preferred image quality. Not performance achievement based on simple contents representation, but it is time to excellent contents image representation. Manufacturers are needed to use a new emotional image quality assessment tool for applying consumers' preference. Previous subjective image quality researches are limited to adjective evaluation which is based on subjective feelings, contrast, color, sharpness and etc. according to contents. Also, those are not sufficient to evaluate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so that we cannot analyze which factors are affected to image quality preference. In this research, we propose a new objective emotional image quality assessment which is easy to be applied by contents consumers and to be understood both manufacturers and users because of using easily understandable language.
    By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orders of subjective preference results and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factors numbers, we construct the subjective image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We survey language of image quality perception by the general and those result words are used to question of emotional image quality survey. By linking both physical performance for objective image quality and subjective preference, we evaluate the final appreciator's image quality; therefore, we can analyze the most preferred image quality and objective image quality factors correlation specifically. With the results, we can analyze the appreciators' preferred image quality parameters and image quality enhancement factors. Our research can provide the best image quality information of contents consumers to manufacturers so that it can affect the consumer satisfaction-oriented performance development. Also we establish the total emotional image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subjective preference and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화질 요소를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새로운 감성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객관적 화질 요소들(다이내믹 레인지, 해상도, 노이즈, 색재현력)을 자극으로 피실험자들의 인지반응을 묻는 설문조사를 수행(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하였다. 위의 과정에서 도출된 언어를 바탕으로 화질의 선호도에 관련된 언어를 연구하여 감성화질을 측정 가능하게 하였으며, 제조사가 이해하기 쉬운 객관적 화질 요소와 감상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감성 선호도 측정을 위한 통합형 새로운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감성화질 측정으로 피실험자들이 인지하는 화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가 다양한 콘텐츠에 따라 최종적인 콘텐츠의 감성 선호도에 어떠한 관계를 갖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와 가중치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콘텐츠의 화질에 따른 선호도를 평가하기위한 ISO 국제표준규격을 준수하는 객관적인 방법의 감성 선호도 연구 확보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감상자의 화질에 대한 인상 평가는 연구자의 실험 설계, 방법, 환경, 피실험자의 성별, 문화, 나이 등에 의해 평가 결과가 달라지므로 다양한 실험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화질평가에 사용되는 콘텐츠, 장면과 화질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다양한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및 오락 산업, 디자인, 건축, 의상, TV, 2D/3D, 인터넷, 가상현실, 교육, 사진, 영상 등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감성 선호도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 도출되는 연구내용 및 결과들은 국제 표준을 준수하였으므로 학문적 가치 뿐 아니라 연구의 결과가 관련 시장 및 제조사에 바로 적용되어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국내 연구의 국제 표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감성화질측정 원천연구 확보 및 선호도 연구 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제안하고 고가의 수입 프로그램을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감성화질평가 프로그램으로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인문, 사회, 예술, 디자인, 애니메이션, 미술, 영화, 게임, 캐릭터 상품, 사진, 건축, 의상, TV, 2D/3D, 가상현실, 교육, 영상 등의 관련 학문의 기초 연구 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 색인어
  • 감성, 화질, 주관적 화질평가, 표준화, 선호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