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화질 요소를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새로운 감성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객관적 화질 요소들(다이내믹 레인지, 해상도, 노이즈, 색재현력)을 자극으로 피실험자들의 인지반응을 묻는 설문조사를 수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화질 요소를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새로운 감성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객관적 화질 요소들(다이내믹 레인지, 해상도, 노이즈, 색재현력)을 자극으로 피실험자들의 인지반응을 묻는 설문조사를 수행(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하였다. 위의 과정에서 도출된 언어를 바탕으로 화질의 선호도에 관련된 언어를 연구하여 감성화질을 측정 가능하게 하였으며, 제조사가 이해하기 쉬운 객관적 화질 요소와 감상자가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구성된 감성 선호도 측정을 위한 통합형 새로운 감성화질측정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감성화질 측정으로 피실험자들이 인지하는 화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가 다양한 콘텐츠에 따라 최종적인 콘텐츠의 감성 선호도에 어떠한 관계를 갖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와 가중치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콘텐츠의 화질에 따른 선호도를 평가하기위한 ISO 국제표준규격을 준수하는 객관적인 방법의 감성 선호도 연구 확보를 기대할 수 있으며 감상자의 화질에 대한 인상 평가는 연구자의 실험 설계, 방법, 환경, 피실험자의 성별, 문화, 나이 등에 의해 평가 결과가 달라지므로 다양한 실험 콘텐츠의 데이터베이스화 과정이 필요하였다. 또한 화질평가에 사용되는 콘텐츠, 장면과 화질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실험을 통해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다양한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및 오락 산업, 디자인, 건축, 의상, TV, 2D/3D, 인터넷, 가상현실, 교육, 사진, 영상 등의 콘텐츠를 활용하여 감성 선호도의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