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주역(周易)으로 본 사회통합의 지혜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201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재홍
연구수행기관 충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연구목표

    1) 연구주제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는 소통과 상생의 주역적 방법론 모색

    2) 연구목적

    ❍현대사회의 대립과 갈등에 대한 인문·사회학적 탐구

    ❍ '주역'의 창으로 본 소통과 상생의 사회통합 모색

    (1) 현대사회의 대립과 갈등의 인문·사회학적 탐구
    현대사회는 산업화·민주화의 사회변동 과정을 거치면서 정치적으로는 인간존엄성 존중을 전제로 한 자유와 평등의 조화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20C 후반부터는 사회구성원 개개인들의 다양한 욕구와 가치를 존중하고, 국민 복지의 실현을 위한 사회적 다원주의를 보장을 국가적인 과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사회발전과 더불어 민주적 기본적 가치들을 실현시키기 위한 정치과정에서 국가정책의 집행방향이나 부, 권력, 위신과 같은 사회적 희소가치의 분배과정, 사회적 효율성 추구에 의하여 사회구조의 계층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사회 구조의 계층 간, 산업간, 지역 간, 집단 간의 격차와 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게 되었다. 사회적 갈등과 대립은 천민자본주의가 가져온 물질만능주의와 함께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고, 마침내는 사회통합을 저해하고, 사회적인 분열을 가져오는 위험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2) 주역의 창으로 소통과 상생의 사회통합 방법 모색
    현대 민주사회의 국가적인 과제는 복지사회의 실현에 있다. 사회구성원들의 인간다운 삶의 보장은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으로써 국가적 목표이며, 온 인류의 염원이다. 이러한 가치의 실현을 위해 선결의 과제가 사회적 정의를 바탕으로 한 사회통합일 것이다. 따라서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해소하고 소통과 상생의 방법을 모색하고 나아가 사회통합을 이루는 것이 오늘날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주역󰡕은 유학의 가장 중요한 경전중의 하나로써 동양철학의 근원적인 내용으로 우주론, 심성론, 가치론과 군자적 삶의 지혜와 철학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또한 우리 사회의 전통윤리와 삶의 방식에 깊이 자리 잡고 있다. 언급한바와 같이 오늘날 현대사회는 사회적 대립과 갈등의 다양화되어, 구성원들 간의 이해관계의 첨예한 대립은 매우 심각하다. 이것은 정신적인 가치는 외면되고, 물질만능주의와 목적 제일주의 가치관이 빚어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문제를 전통윤리라는 보편성을 바탕으로 개별적 사안에 따른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문제의 해법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 중에 하나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법을 󰡔주역󰡕의 창을 통해서 이해대립과 갈등을 딛고 넘어서서 소통과 상생을 통한 조화로운 사회통합의 모형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 기대효과
  • 기대효과

    ❍'주역'의 상보성(相補性)을 통한 대립과 갈등에 반성과 대안제시
    ❍ 한국적 사회통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1) '주역'의 상보성(相補性)을 통한 대림과 갈등에 대한 반성과 대안제시
    21세기는 경제성장 위주의 사회변동에 대한 반성의 시기이다. 자본주의는 욕망 충족과 갈등, 대립, 상호간의 극복이 발전과 성장의 원동력이라는 자유주의적 논리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다시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물신주의와 비인간화 및 소외 문제의 근원이자 불평등과 갈등의 원인으로서 근대에 대한 반성과 비판의 주요 대상이 되는 양면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토론과 해결 방안의 모색은 사회문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합리적인 대응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억압이 아닌 ‘조화’, 갈등이 아닌 ‘상생’, 대립이 아닌 ‘원융’, 극복이 아닌 ‘회통’의 한국적 사회통합의 지향은 이와 같은 서구적 근대성에 대한 반성과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재고될 가치가 충분하다.

    2) 한국적 사회통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발생한 대립과 갈등에 대한 올바른 관점의 정립은 이분법적 사유체계에 따른 극단적인 해결 방법보다 소통과 상생의 상보적 사유체계가 사회문제 해결의 근원적인 해결책임을 인식 시킬 수 있다. 이것은 향후 사회적으로는 올바른 공동체 의식과 개인적으로는 의미 있는 삶과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 연구요약
    ‘주역으로본 사회통합의 지혜’ 라는 연구 과제로 사회적 대립과 갈등을 넘어서는 소통과 상생의 주역적 방법론 모색을 주제로 삼아서 먼저 현대사회의 대립과 갈등의 인문·사회학적 탐구하고 다음으로 주역의 창을 통한 사회적 소통과 상생을 바탕으로한 사회통합 방법 모색하여 그 바람직한 모형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첫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현대 민주사회의 국가적인 과제는 복지사회의 실현에 있다. 사회구성원들의 인간다운 삶의 보장은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으로써 국가적 목표이며, 온 인류의 염원이다. 이러한 가치의 실현을 위해 선결의 과제가 사회적 정의를 바탕으로 한 사회통합이 현대국가의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현대사회의 병폐인 사회적 갈등과 대립의 해소책으로 전통윤리를 통한 지혜 탐구에 관한 사회적 관심 증대되고 있으며, 한국적 갈등해소 방법론이 재고되어야 할 가치를 가진다.
    둘째, 본 연구의 내용은 (1)사회적 대립과 갈등·분쟁에 대한 연구 분석 (2) 한국적 사유체계인 조화와 상보적 방법론에 대한 연구 (3) 주역에서의 대립과 갈등에 대한 연구 분석 (4) 󰡔주역󰡕의 소통과 상생의 상보적 방법 모색 (5) 주역에서본 지도자의 덕목 (6) 주역의 창으로 본 사회통합 모형 도출 등을 연구 분석하여 동양적인 사유체계에 입각한 소통과 조화 그리고 상생의 사회통합 방법의 모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주역󰡕의 상보성(相補性)을 통한 대립과 갈등에 반성과 대안제시하고 한국적 사회통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에 있다
    넷째, 학문발전 공헌도으로 실용적 응용학에 대한 기초 인문학의 기여와 그 사례 제시하고, 사회적으로는 사회적 갈등 분쟁 해소에 대한 인문학(주역철학)의 기여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 진다.
    요컨대,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발생한 대립과 갈등에 대한 올바른 관점의 정립은 이분법적 사유체계에 따른 극단적인 해결 방법보다 소통과 상생의 상보적 사유체계가 사회문제 해결의 근원적인 해결이다. 이것은 향후 사회적으로는 올바른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개인적으로는 의미 있는 삶과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다.
  • 한글키워드
  • 공동체의식,사회적갈등,변증법,가차체계,전통윤리,상보성,사회통합,소통,상생
  • 영문키워드
  • mutual suppiementary,dialectic,communication,mutual coexistence,value system,social integrution,traditonal,senes of community,social conflic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현대사회는 사회적 희소가치의 분배과정에서 파생된 사회적 양극화가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가져왔다. 특히 천민자본주의와 결부되면서 야기된 윤리적 타락은 이기주의, 생명경시풍조, 물질만능주의 등 많은 사회문제 유발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회적인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상생과 소통의 모형을 모색하기 위해서 󰡔주역󰡕의 창을 통해 그 원인과 해결책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주역󰡕은 사회적 갈등의 원인에 대하여 천지비괘에 「괘사」를 통해서 언급하고 있다. 즉, 군자지도가 소인지도에 막혀서 개인적‧사회적 윤리적 타락을 초래하였고, 그 결과 사회적 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갈등과 대립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음을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갈등 해결의 선결과제로써 서로 다름(異)으로 인해 갈등과 대립이 발생하고 있으나, 같음(同)을 전제로 하여 화합을 도모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 해결책으로는 먼저, 개인적 측면애서 도덕성과 인간본성이 타락에 대하여 자기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덕성회복을 통한 사회적 신뢰감의 회복을 통해서 상생과 소통의 과제를 해결해야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측면에서는 먼저, 지도자는 세상을 태평하게 만드는데 필요한 덕목으로 관대하게 포용하는 도량과 과감하게 결행하는 용기와 멀리 숨어있는 곳까지 비출 수 있는 총명한 지혜와 공명정대 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천도에 입각한 사회적 개혁을 통해 내부적인 병폐를 제거하고 나아가 기회균등을 통해 사회정의 구현하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사회정의를 바탕으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여 사회통합의 과제를 해결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동양 고전은 오랫동안 우리의 문화이며, 역사이고, 우리의 삶 그 자체이다. 따라서 동양 고전은 문화의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심각한 사회 문제의 해결과 사회통합의 지혜를 동양고전의 근원적인 원리를 표상하는 󰡔주역󰡕에서 갈등과 대림을 넘어서서 상생과 소통의 모형을 모색한다면 그 결과에 대해 사회적 동의와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The social polarization caused by the process of distribution of scarcity value brings about severe social conflicts and enmities in modern society. Especially, Moral hazard combined with Pariakapitalismus is becoming the main reason of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egoism, collectivism, cheapening human life, and materialism. This study tried to find a solution to overcome social conflicts and enmities and to search a new model for social harmony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window of ‘I-ching’
    I-ching refer to the cause of social conflicts through the ‘Gaesa’ in ‘Chunjivigae’. It obviously declares narrow-mind lead to personal and social ethical corruption, and then, result of it, absence of social communication is the root cause of social conflicts and enmities.
    The first-priority project to solve social conflicts is to seek for the harmony based on the conformability. The ideas based on the differences only produce another problem. To make this, first, we have to deeply consider about self-examination and self-reflection to the decadence of morality and human nature in personal aspect. Next, in social aspect, leaders need generosity, courage to make a bold decision, wisdom to light low places, and virtue to act in an even-handed manner. Finally, with social reformation based on the way of providence, a social integration based on equity and justice must be accomplished.
    The classics of the Orient are our culture, history, and our life itself for a long time. They keep universality of culture. Therefore, if we try to find the right way to make the better future on ‘I-ching” representing basic principal, social integration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of people would be don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현대사회는 사회적 희소가치의 분배과정에서 파생된 사회적 양극화가 심각한 사회적 갈등과 대립을 가져왔다. 특히 천민자본주의와 결부되면서 야기된 윤리적 타락은 이기주의, 생명경시풍조, 물질만능주의 등 많은 사회문제 유발의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사회적인 대립과 갈등을 극복하고 상생과 소통의 모형을 모색하기 위해서 󰡔주역󰡕의 창을 통해 그 원인과 해결책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주역󰡕은 사회적 갈등의 원인에 대하여 천지비괘에 「괘사」를 통해서 언급하고 있다. 즉, 군자지도가 소인지도에 막혀서 개인적‧사회적 윤리적 타락을 초래하였고, 그 결과 사회적 소통의 부재가 사회적 갈등과 대립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음을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갈등 해결의 선결과제로써 서로 다름(異)으로 인해 갈등과 대립이 발생하고 있으나, 같음(同)을 전제로 하여 화합을 도모해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 해결책으로는 먼저, 개인적 측면애서 도덕성과 인간본성이 타락에 대하여 자기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덕성회복을 통한 사회적 신뢰감의 회복을 통해서 상생과 소통의 과제를 해결해야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사회적 측면에서는 먼저, 지도자는 세상을 태평하게 만드는데 필요한 덕목으로 관대하게 포용하는 도량과 과감하게 결행하는 용기와 멀리 숨어있는 곳까지 비출 수 있는 총명한 지혜와 공명정대 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천도에 입각한 사회적 개혁을 통해 내부적인 병폐를 제거하고 나아가 기회균등을 통해 사회정의 구현하라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사회정의를 바탕으로 공동체의식을 함양하여 사회통합의 과제를 해결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동양 고전은 오랫동안 우리의 문화이며, 역사이고, 우리의 삶 그 자체이다. 따라서 동양 고전은 문화의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오늘날 심각한 사회 문제의 해결과 사회통합의 지혜를 동양고전의 근원적인 원리를 표상하는 󰡔주역󰡕에서 갈등과 대림을 넘어서서 상생과 소통의 모형을 모색한다면 그 결과에 대해 사회적 동의와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대립, 갈등, 상생, 소통, 사회통합, 공동체 의식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활용방안
    (1) 사회적 갈등 분쟁 해소에 대한 주역철학의 활용
    사회 갈등이 심한 한국사회의 현 상황은 이후 선진국 도약의 큰 장애가 될 것이며, 국가경쟁력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으로 보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분법적 사고에 입각한 사회통합의 방법은 국가와 국가 간, 또는 정부와 국민 간 발생하는 분쟁과 갈등에 대한 효용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공공선을 중시하는 한국적 가치관과 󰡔주역󰡕에서의 조화와 상보적 가치에 근거하여 기존의 대립·갈등 해소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적 분쟁해소에 기여하여 국민 통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2) 주역철학의 지혜에 대한 교양강좌 활성화
    인문학의 위기라는 작금의 현실에서 ‘철학과 현실의 접목’, ‘철학과 대중의 소통’ 이라는 차원에서 철학에 대한 사회적 수요를 개발하며, 또한 사회적인 요구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등 적극적인 자세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역󰡕과 사회통합의 지혜(가제)' 혹은 ‘동양학의 지혜(가제)’ 등으로 동양철학의 내용을 번갈아 가면서 강의하는 다양한 강좌를 개설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 신세대 대학생의 지적호기심과 현실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면서 한국적 사유가 가치를 현실생활의 지혜로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교양과목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3) 시민강좌를 통한 시민의식의 성숙
    사회적 관심 밖으로 밀려난 동양철학의 활성화를 위해 학교 안밖에서 다양한 시민 강좌를 개설하여 일반인들과 소통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실제로 많은 시민들이 동양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동양학의 침체는 동양학 전공자들이 스스로 한계를 설정하고, 대중들에게 다가서지 않은 이유가 더 클 것이다. 이에 대한 반성적인 성찰과 함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시급히 요구 된다. 이러한 강좌들을 통해서 시민들의 많은 관심을 수용하고 동양적 사유체계에 대한 인식의 굴절을 바로잡고 나아가 상보적인 한국적 사회통합과 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4) 한국적 사회통합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정립에 활용
    사회변동의 과정에서 발생한 대립과 갈등에 대한 올바른 관점의 정립은 이분법적 사유체계에 따른 극단적인 해결 방법보다 소통과 상생의 상보적 사유체계가 사회문제 해결의 근원적인 해결책임을 인식 시킬 수 있다. 이것은 향후 사회적으로는 올바른 공동체 의식과 개인적으로는 의미 있는 삶과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다.

  • 색인어
  • 대립, 갈등, 상생, 소통, 사회통합, 공동체 의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