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시 교수법을 통한 대학 영어 수업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_시간강사(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1-35C-A00765
선정년도 2011 년
연구기간 1 년 (2011년 09월 01일 ~ 2012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연성
연구수행기관 전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주제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시 교수법을 통한 대학 영어 수업>은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시 교수법 모델을 개발하여 대학 영어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영시 학회와 영어교육계의 현실을 살펴보면, 양 진영의 교류가 활발한 편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양쪽 진영에서 오랫동안 활동해온 본 연구자는 영시와 영어 교육을 연결하는 본 연구를 통하여 두 영역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데 공헌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영시와 영어교육이 서로 교류가 이루어져야 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이유가 있다. 8세기에 『베어울프』(Beowulf)가 운문으로 쓰여진 이래, 영시는 오랫동안 영문학의 꽃이 되어 왔다. 그러나 21세기 들어 영시는 다른 인문학과 마찬가지로 영화, TV, 비디오, 컴퓨터 등의 영상매체에 떠밀려 문화의 주변부로 밀려날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인문학은 비실용적인 학문이라는 인식과 더불어 영문학을 해도 실용적인 영어실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만연하고 있다. 그러나 영미문학이 실용영어와 문화연구에 의해 대학 커리큘럼에서 주변부화하는 현상은 국가의 미래를 위해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영시 강독은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문 교양인을 양성하는데 여러 유익한 점을 제공하여주기 때문이다.

    영시는 남에게 가르침을 주거나 즐거움을 준다는 효용이 있을 뿐 아니라 타문화를 이해하고 인간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전인 교육론적 관점에서도 유용하다. 특히 영시는 다른 영문학 작품과 함께 영미사회를 다양하게 인식하게 하고 학습자의 창의성과 감수성을 계발하는데 유익한 자료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왜 영시를 비롯한 영미문학은 주변부화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을까? 연구자는 그것은 바로 교수법의 문제와 관련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21세기 디지털 세대의 학생들에게 아날로그적인 20세기의 방법, 영시를 읽고 꼼꼼히 해석하고, 주제와 기법을 가르치는 데 그치는 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영시 교수법에는 영어교육계가 과거 수십년간 쌓아온 노하우를 접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교육계에서 영문학의 사용은 <문법- 번역식> 교육이 주류를 이루었던 1950년대에는 가장 많이 쓰이던 자원이었다. 그러나 영어 듣기와 회화중심으로 나갔던 1960년대 이후 방관되거나 유해하다고까지 평가받아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학생 중심의 의사소통적 교수방법의 붐과 함께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브룸피트(Brumfit)와 카터(Carter)가 '이론과 실제'의 관점에서 영미문학과 영어교육의 다양한 접목을 시도하였고, 콜리(Collie)와 슬레이터(Slater), 그리고 라자(Lazar)는 실제로 영미문학을 영어 학습자료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연구자는 널리 애송되고, 정전화되고 있는 영시 여덟편을 선정하여, 위의 학자들이 계발한 영어교육 방법론 및 다중지능 이론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상적인 영시 교수안을 계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영어 교육계의 학자들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영어교육에 활용한 결과 여러 가지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Halley, Kallenbach, Viens) 그 대표적인 실험이 2001년에서 2002년에 여덟 주, 세 국가의 출신 650명의 학생을 23명의 ESL/EFL 교강사가 다중지능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이다. (Haley) 교사들은 반복 훈련이나 암기식 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교수법을 수업에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 결과 다중지능 교수법에 의한 학생들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집단보다 높은 학습 만족도와 외국어 학습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중지능을 이용한 영어교육은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준비도, 참여도, 자기 주도적 학습, 효율적인 학습전략의 사용 등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바로 이러한 결과에 주목하고 있는 본 연구자는 다중지능의 교수법을 영시와 접목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21세기의 학생들은 영상세대라고 할 수 있다. TPR교육의 창시자인 애셔(Asher)의 학설에 의하면 음악, 제스처, 그림 등 우뇌에 호소하는 자료를 통해서 정보가 주어지면 문자와 숫자 등의 정보가 좌뇌를 통하여 저항감없이 학습자에게 받아들여진다고 한다. 영상자료와 청각자료를 비롯하여 다양한 다중지능적 학습활동을 포함한 교수법이 소개된다면 영시에 담겨있는 인류의 문화적 정신적 유산을 학생들이 두려움과 거부감 없이 흡수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영어만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학생들의 영어 실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일석 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시 교수법을 통한 대학 영어 수업>은 다음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이 다중지능을 통한 영시 강의를 통해 영시를 배우기 때문에, 영시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면서 영시를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고, 영어를 사용한 다양한 학습을 통해 전반적인 영어 실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영시교수법의 독창적이고 실용적이면서도 이상적인 학습모형을 계발하여, 영시 교수법에 변화를 원하는 교육자에게 좋은 교수번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이 연구는 영시 뿐 아니라, 드라마, 소설, 수필 등의 과목까지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수법을 통해 창의성이 있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데도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넷째, 이 연구는 영시와 영문학에 대한 일반 학생들의 관심을 증폭시켜 영시와 영문학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르네상스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연구요약
  •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시 교수법을 통한 대학 영어 수업>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 단계의 과정, 즉, 선정한 시편 연구, 다중지능을 활용한 영시 강의안 마련, 교실 적용과 설문조사 분석의 과정을 거칠 것이다. 연구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내용은 이 연구를 위해 선정한 여덟 편의 시와 관련한 시대적 배경, 장르적 특성, 작가의 배경, 시의 주제 및 기법을 밀도있게 공부하는 것이다. 영시의 선정은 통시대적으로 보편적인 공감을 할 수 있는 주제, 즉, 우정과 사랑, 노동과 직업, 자연과 여행, 죽음과 종교를 다룬 시편을 골라보았다. 또한 실험 대상이 대학 초급 영어인 점을 고려하여, 교과목의 영어 수준에 적합한 다음과 같은 영시를 선정하였다.

    1) Love is Like the Wild Rose Briar (Emily Bronte)
    2) Bright Star (John Keats)
    3) The Lake Isle of Innisfree (W.B. Yeats)
    4) Digging (Seamus Heaney)
    5) Stopping by Woods on a Snowy Evening (Robert Frost)
    6) Look, Stranger! (W. H. Auden)
    7) Oh! Captain! My Captain! (Walt Whitman)
    8) Crossing the Bar (Alfred Lord Tennyson)

    연구의 두번 째 내용은 첫번째 연구를 바탕으로 다중지능을 이용한 영시 강의안을 계발하는 것이다.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분류하여 의사소통 중심, 학생 중심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될 것이다. 영어교육학계에서 계발한 다중지능 교수법과 선정된 영시를 접목시키는 것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의 세번째 내용은 다중지능을 활용한 영시 강의안을 대학 영어 수업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본인이 담당한 대학영어 강좌 중 두 분반을 채택하여서 적용에 들어갈 것이다. 현재 가르치고 있는 대학 영어는 3학점으로서 학기당 45시간의 강의 기회가 있다. 그 중 한 분반당 네 시간을 할애하여 실험할 것이다. 두 분 반에 네편의 시를 적용할 것이기에 여덟 편의 시를 모두 적용할 기회가 넉넉하리라고 본다. 그리고 한 편의 시가 끝날 때 마다 학생들의 강의에 대한 반응을 설문을 통하여 알아보고, 그 결과를 분석할 것이다. 이 분석의 결과는 다중지능을 활동한 ESL/EFL 수업의 연구 결과처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으리라 예측한다.
    대학 영어 시간에 영어의 네 기능을 학습할 기회를 제공할 뿐 아니라, 영시를 학습함으로써 얻어지는 인문적 교양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생들의 높은 강의 만족도를 보이리라 예상되기 때문에, 최근 침체화된 영시 강의에 하나의 활로를 개척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강의 설문 문항은 다음과 같다.

    Student Survey 1
    1. What do you think of “Love is Like the Wild Rose Briar"?
    1) Boring 2) OK 3) Interesting
    2. Is “Love is Like the Wild Rose Briar" too difficult for you?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3. Did you enjoy the class?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4. Did you speak English?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5. Did you write English?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6. Did you read English?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7. Did you listen to English?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8. Do you think the poetry should be included in English class?
    1) Strongly agree 2) Agree 3) Disagree 4) Strongly disagree
    9. What activity was the most interesting and why?
    10. Comment about the poem.
  • 한글키워드
  • 전신 반응,창의성,교양,인문,대학 영어 수업,다중지능 이론,영시 교수법,멀티미디어 프로젝트,재즈 챈트,그룹 브레인 스토밍,역할극,설문,다양성,학습자 중심,종교,죽음,여행,자연,직업,노동,우정,사랑,대인 관계 영역,자기 성찰적 영역,신체-운동적 영역,시공간적 영역,가드너,애셔,언어 영역,음악적 영역,논리-수학 영역
  • 영문키워드
  • English Poetry Instruction,Humanity,Creativity,Gardner,Linguistic,Interpersonal,Intrapersonal,Bodily-Kinestic,Spacial,Musical,Logical-Mathematical,Asher,TPR,ㅣlearner center,Religion,Death,Journey,Nature,Job,Labor,Friendship,Love,multimedia project,jazz chants,group brainstorming,role playing,survey,diversity,Culture,College English Classes,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 수행을 위해서 연구자는 다중 지능 이론을 영시 교수안에 적용하여, 그 강의안을 2012년 1학기 <영어회화작문-1>과 <영어회화작문-4>의 수업에 적용하였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연구하고, 그리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두어, 학습계획안을 마련하였다.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
    채택한 영시는 그 주제가 대학생들이 호기심을 가질만한 주제 즉 사랑, 직업, 죽음을 다루는 시편들이다. 알프레드 로드 테니슨의 <모래톱을 지나서>, 에밀리 브론테의 <사랑과 우정> 그리고 셰이머스 히니의 <채굴>을 선정하였다.

    강의안을 수업에 적용하고, 그 성과를 가늠하기 위해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다중지능 이론을 적용한 영시 교수법을 통한 대학 영어 수업은 학생들의 수업 동기를 높히고, 영미문화에 대한 이해를 함양하며, 영어의 네가지 기능을 연습하는데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일곱가지 지능을 모두 포함한 읽기후 활동에 대한 학생 선호도가 높았다. 강의식 전달보다는 학생들이 수업의 중심이 되어서 참여하는 수업이 가장 효율적인 수업 모델임을 새삼 확인하게 되었다.
  • 영문
  • This article demonstrates through a poetry lesson incorporating the MI theory how teachers can enhance language instruction and motivate learners. This paper gives a brief outline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and supplies a practical example of how to use the MI theory in EFL classes. It showed that poetry combining with MI directed activity is highly effective in student involvement with the class. Choice-based activities in after-reading activities were instrumental in increasing the relevance and meaning of lessons and reducing teacher directednes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This article demonstrates through a poetry lesson incorporating the MI theory how teachers can enhance language instruction and motivate learners. This paper gives a brief outline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Howard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and supplies a practical example of how to use the MI theory in EFL clas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54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course titled "English -1: Interpersonal Skills" and "English -4: Speech and Debate." The subjects ranged from freshmen to seniors and they came from a variety of majors. They all spok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Their majors also varied and included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mechanical engineering and etc.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and goals for taking this class, student participants were given a questionnaire which also elicited some demographic information. To the question "Why did you take this course? What is your expectation for this course?" 20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ant to improve English proficiency and 23 students answered that they want to improve English speaking and writing. The majority of students (78 %, 43 out of 54) wanted to improve their general English skills regardlessof whether the title of the course was interpersonal skills or speech and debat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first introduced by Howard Gardner(1983), suggests that there are seven intelligences: bodily/kinesthetic, interpersonal/social, intrapersonal/introspective, logical/mathematical, musical/rhythmic, verbal/linguistic, and visual/spatial intelligences. Later Gardner has spoken of natural intelligence, which this paper disregards as being less easily applicable as aids to ELT. Balanced instructional presentations that encourage addressing the multiple intelligences benefit all learners and expose students to the appropriate means through which they can strengthen their underutilized intelligences.

    This study explored new conceptual frontiers in relation to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the integration of MI into foreign language learning using English poetry. It showed that poetry combining with MI directed activity is highly effective in student involvement with the class. Choice-based activities in after-reading activities were instrumental in increasing the relevance and meaning of lessons and reducing teacher directedness.
    This study showed English poetry has merits as a EFL/ESL material if we design the material in multiple and diverse ways by tackling the seven multiple intelligence activities. Students could practice four skills of English: reading, writing, listening and speaking and most of them thought that poetry should be included in EFL curriculum.
    Further study should attempt to identify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student's intelligence profile with an informal MI survey. Further survey result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students' strengths and weaknesses. This information would be useful in providing critical reference points for instructional planning.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첫째, 학생들이 다중지능을 통한 영시 강의를 통해 영시를 배우기 때문에, 영시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면서 영시를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고, 영어를 사용한 다양한 학습을 통해 전반적인 영어 실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영시교수법의 독창적이고 실용적이면서도 이상적인 학습모형을 계발하여, 영시 교수법에 변화를 원하는 교육자에게 좋은 교수번의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이 연구는 영시 뿐 아니라, 드라마, 소설, 수필 등의 과목까지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수법을 통해 창의성이 있는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데도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넷째, 이 연구는 영시와 영문학에 대한 일반 학생들의 관심을 증폭시켜 영시와 영문학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르네상스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데 일조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색인어
  • 영시 교수법, 다중지능 이론, 대학 영어 수업, 인문, 교양, 창의성, 전신 반응, 가드너, 애셔, 언어 영역, 논리-수학 영역, 음악적 영역, 시공간적 영역, 신체-운동적 영역, 자기 성찰적 영역, 대인 관계 영역, 사랑, 우정, 노동, 직업, 자연, 여행, 죽음, 종교, 학습자 중심, 다양성, 설문, 역할극, 그룹 브레인 스토밍, 재즈 챈트, 멀티미디어 프로젝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