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 인구의 변화는 크게 두 축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출산력의 감소와 고령인구의 증가를 핵심으로 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다. 두 번째는 외부로부터 새로운 인구집단의 급속한 유입이다.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해서는 그 현황과 미래예측 그리고 한 ...
현재 한국 인구의 변화는 크게 두 축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첫째는 출산력의 감소와 고령인구의 증가를 핵심으로 하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이다. 두 번째는 외부로부터 새로운 인구집단의 급속한 유입이다.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해서는 그 현황과 미래예측 그리고 한국사회에 미치는 영향들을 중심으로 폭넓은 논의가 진행 되고 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새로운 인구집단의 급속한 국내유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한 듯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인구구성 변화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이주인구집단에 대한 이해의 폭과 깊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서 계획되었다. 이 연구과제는 혼인이주와 노동이주, 그리고 탈북이주에 대한 체계적, 종합적, 심층적 분석을 이끌어내고 중장기적 연구의 구심점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소형단계에서 이 연구가 목표로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 이주민 관련 자료의 아카이브와 DB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연구진은 해방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해외 이주민과 관련된 각종 문건자료(보고서, 정부발표문, 정기간행물, 비정기간행물, 유인물 등), 물건자료(포스터 등과 시청각 기록물), 인구조사의 원자료 등을 수집하고 분류하는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한편 이 연구는 이주민 아카이브, 자료 DB 구축과 더불어 그 활용성에 대해서도 많은 비중을 할애하고자 한다. 외부인들이 구축된 인구자료를 알고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 충분한 홍보기간이 필요하다. 또한, 국제 혼인이주와 노동이주, 그리고 탈북이주 등 여러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단시간에 이루어내기는 어렵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체계적이고 총체적인 분석을 위하여 각 주제별로 적어도 1년의 기간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형태와 특성에 따라 자료실에 보관하는 한편, DB화하여 이용자들이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손쉽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특히 온라인상에서의 정보 접근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칭 ‘이주민 지식 포털사이트’를 구축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혼인이주자, 이주노동자 그리고 탈북이주민이 경험하는 사회적 불평등과 배제에 대한 심층 분석을 실시한다. 이 연구는 미래 한국 사회의 통합적이고 건설적인 정체성 확립을 위한 자료의 도출을 목표로 하는 중·대형단계 연구의 기반이 된다. 해외 이주민 문제는 사회학, 인구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의 연구주제이다. 때문에 본 연구팀은 소형단계인 첫 3년의 연구기간 동안 구축될 이주민 자료 DB를 이용하여 이주민의 사회적 불평등과 배제에 관한 다학제적 연구를 실시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주인구집단의 ‘보편적 시민으로서의 한국인화’를 가로막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장벽을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더불어 선행연구의 연구자료와 보고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종단적으로 검토하고 향후 미래의 연구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이후 중형단계에서 실시할 독자적인 사회조사의 틀을 명확하게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한다. 소형과 중형단계의 연구를 바탕으로 대형단계의 연구는 이주인구집단의 증가로 인한 한국사회의 갈등의 해소하고 사회적 통합을 위한 사회적,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대효과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이주민 문제에 대한 이해 제고: 이 연구과제는 이주민 관련 자료의 축적과 심층연구를 통하여 개인행위와 주요 사회현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 원인을 진단하는데 크게 ...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1)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이주민 문제에 대한 이해 제고: 이 연구과제는 이주민 관련 자료의 축적과 심층연구를 통하여 개인행위와 주요 사회현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과 그 원인을 진단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사회학, 가족학, 사회복지학, 여성학, 인류학, 경제학 등 여러 학문분야의 전문인력들이 함께 투입되어 학제간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이주민에 대해 전반적인 사회경제적 맥락 속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로 작성될 논문과 보고서들은 사회학과 인구학은 물론 다른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2) 이주민 아카이브, DB 구축을 통한 연구 활성화 기반의 조성: 이주민 인구연구는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하여 실증적인 자료에 의존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질 높은 자료의 생산과, 생산된 자료의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집 및 보급은 이주민 연구에서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할 조건이다. 이 연구과제에서 제시하듯이 기존의 이주민 관련 자료를 집대성하여 DB로 구축하고 연구자들에게 제공한다면, 개별 연구자들이 시간과 노력을 절약하고 보다 수월하게 자료를 이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결국 연구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연구 활성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 활성화된 연구 환경은 이주민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다 체계적인 정책을 수립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3) 이주민 연구 분야 학문후속세대의 육성: 그동안 이주민에 대한 소홀한 관심, 특화된 연구소의 부재, 집대성된 DB의 부재 등은 결과적으로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에 장애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 연구과제는 기존의 이주민 관련 자료와 문헌들을 수집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 상에서 DB를 구축하고 보급함으로써 새로운 이주민 전문가들을 훈련시키고 양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주민 관련 학문후속세대를 양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시급하게 수행해야 할 과제는 이주민 문제에 대한 연구와 교육의 직접적인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며, 이 연구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는 과정에서 관련 자료와 문헌들이 광범하게 수집, 정리되고 이해하기 쉬운 자료집으로 만들어져 보급된다면, 각 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좋은 교육 자료와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이 연구팀에서는 차세대 후속 사회과학자 육성을 위해 매년 10회의 정기적인 연구회의 또는 콜로키움을 비롯하여 연구 참여자 내부의 학습세미나를 실시할 것이다. 정기적인 연구회의에서는 입수된 자료와 연구진행과정에 대한 논의가 중심이 될 것이다. 이 콜로키움과 학습세미나에서는 외부 전문가를 연사로 초빙하여 해당 주제의 이론과 방법론, 그리고 최근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심도 있게 공부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석사급 연구보조원들은 서지분류와 DB 관리의 기술적인 실무와 자료수집, 정리, 분류 등의 기초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며, 가급적 이주민과 다문화에 관련되는 분야를 전공하려는 학생들로 구성할 것이다. 이는 대학원과정에서부터 이주민 관련 자료에 익숙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으로 후진을 양성하려는 목적에 부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4) 이주민 문제 교육 자료의 제공을 통한 연구와 교육의 연계강화: 이 연구과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이주민 관련 자료와 문헌들이 광범하게 수집, 정리되고 이해하기 쉬운 자료집으로 만들어져 보급된다면, 초등-중등-고등-대학의 교육과정에서 좋은 교육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연구와 교육의 직접적인 연계를 강화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주민 관련 시청각 자료들의 광범한 수집 및 보급, 이주민 정보와 지식을 쉽게 제공하는 Q&A의 활용 등은 이주민 문제에 대한 일반인들의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이는 이주민들을 사회적으로 포용함으로써 향후 한국 사회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국민적 합의 도출에 실질적인 밑거름이 될 것이다.
연구요약
현재 한국사회는 급속한 다문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혼인이주민, 이주 노동자, 탈북이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이들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은 미래 한국사회의 정체성을 결정할 중요한 국가적 사안이다. 이 연구는 이주인구집단의 ...
현재 한국사회는 급속한 다문화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특히 혼인이주민, 이주 노동자, 탈북이주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이들의 사회적응과 사회통합은 미래 한국사회의 정체성을 결정할 중요한 국가적 사안이다. 이 연구는 이주인구집단의 사회적 배제와 불평등에 대한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규명하고자 한다: 1) 이주인구집단의 사회적 차별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여기서 말하는 차별이란 경제적이고 물질적인 차별 뿐 만이 아니라 사회적 인식에 의한 차별까지 포함한다; 2) 이주인구집단들은 어떠한 기제를 통하여 불평등한 구조적 위치에 놓이게 되며 이들의 ‘보편적 시민으로서의 한국인화’를 가로막고 있는 문화적 또는 제도적 장벽은 무엇인가?; 3) 이주인구집단의 지속적 증가는 미래 한국사회의 인구지형을 어떻게 바꾸어 놓을 것인가?; 4) 이주인구집단의 지속적 증가는 미래 한국사회의 통합적 발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 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의 답을 찾기 위하여 본 연구팀은 다음과 같은 연구계획을 수립하였다. 첫째, 소형단계의 연구는 1) 연구기반구축과 2) 이주민 유입의 사회적 파급효과와 그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배제에 대한 심층연구가 중심이다. 「연구기반구축」영역에서의 연구계획은 이주민 아카이브와 데이터베이스를 3년간 지속적으로 구축하는 것이다. 이주민 연구의 기반에는 무엇보다도 이주민 관련 자료의 수집, 정리 및 배포가 그 중심이 된다. 기반구축은 3년에 걸쳐, 그리고 각 해마다 과제초점분야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1차년도: 혼인이주자, 2차년도: 이주 노동자, 3차년도: 탈북이주자). 「심층연구」영역에서는 1) 혼인이주자, 이주 노동자, 탈북이주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적 파급효과, 2) 이들이 경험하는 사회적 차별과 배제에 대한 실태파악, 3) 사회적 배제의 경험이 이주민의 사회적응과 사회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할 것이다. 둘째, 중형단계의 연구는 소형단계에서 밝힌 선행연구의 연구동향과 연구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한국사회의 다문화 정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중형단계의 연구는 이혼인이주자, 노동 이주자, 탈북이주민의 사회적 차별과 배제에 관계가 있는 사회적 또는 제도적 요인분석에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팀은 이민자 관련 사회정책을 분석하여 이민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원인이 되는 사회정책적 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서베이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원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것이다. 더불어 이주민 인구현상에 대한 심층적 분석이 가능한 연구 인력과 이주민 인구현상에 대한 현실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양성에도 힘쓸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팀은 단일학과 차원을 넘어서 다른 사회과학 분야의 학과 등과 연계하여 이주민 관련 과목을 공동으로 운영하고자 한다. 대형단계의 연구주제는 혼인이주자, 이주 노동자, 탈북이주민의 사회학적 분석을 통한 미래 한국사회의 정체성과 사회통합이다. 본 연구팀은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 이민자 관련 서비스의 제공자, 정부정책연구소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연구자문 팀을 구성할 것이다. 이 연구자문 팀의 목표는 소형과 중형단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증적이고 구체적인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미래 한국사회의 정체성과 사회적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이를 구체화할 불평등 완화정책과 사회통합 프로그램의 개발을 추진하고자 한다. 더불어 인력 양성을 위해 대형단계인 제7년차에는 대학원에 이주민 교육과정을 독립적 또는 학제 간 연계 학위과정으로 신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원 학위과정에 상응하는 2년제 가칭『다문화사회』학위과정을 개설하고자 한다.
한글키워드
고령사회,고령화사회,노동시장,국제노동이주,국제결혼,다문화사회,데이터베이스,배태 및 이탈,혼인이주자,혼인이주 여성,혼인이주,해외이주민,탈북자,저출산,인구변동,이주외국인,이주민 인구사,외국인배우자,외국인노동자,아카이브,소수민족,세계화,새터민,사회적 적응,사회적 배제 및 차별,사회자본,사회연결망,사회갈등,복합문화주의,문화정체성,다학제적 연구
영문키워드
archive,aged society,cultural identity,cross-border marriage,aging society,North Korean refugees,data base,labor market,international marriage,international labor migration,interdisciplinary research,globalization,foreign workers,foreign spouse,embedding and disembedding,demographic change,social networks,social exclusion and discrimination,social conflicts,social capital,social adaptation,multicultural society,migrant history,marriage migration,low fertility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이 연구과제는 이주민 연구의 기반을 확장, 심화시켜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의 국제적 허브(hub)기관으로 성장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문헌 및 자료 수집의 연속성을 강화하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이주자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
이 연구과제는 이주민 연구의 기반을 확장, 심화시켜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의 국제적 허브(hub)기관으로 성장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삼는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문헌 및 자료 수집의 연속성을 강화하고,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이주자 연구의 다양성을 확보하며, 학문후속세대의 양성을 공고히 하고, 이주자 연구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우선, 이주민 연구 활성화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문헌 아카이브와 자료 DB구축 사업을 지속적으로 이어나간다. 국내 자료의 발굴은 물론, 해외 자료의 발굴과 수집, 교환을 통해 이주민 및 다문화 연구를 위한 글로벌 DB센터로의 발돋움을 추구한다. 또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자료 관리와 보급을 통해 연구자들이 더 쉽게 관련 문헌과 DB에 접근할 수 있도록 연구자 중심의 편의성을 도모한다. 아울러, 학문후속세대의 내적 육성과 글로벌 연구네트워크의 외적 확산을 동시에 추구한다. 본 연구사업단은 대학원생들의 연구능력을 배양시키고, 해외기관과 협력하여 이들이 다양한 형태의 해외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확대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과제의 강화된 교육 기능을 통해, 국내의 후속세대들과 해외의 연구기관 및 학자들과의 선순환 구조를 확립하고 이주자 연구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영문
This project intends to strengthen research infrastructur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for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continue to grow into an international hub organization of immigration and mult ...
This project intends to strengthen research infrastructure and interdisciplinary research for international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migr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continue to grow into an international hub organization of immigration and multicultural research. The major tasks and contents of this projec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onstruct an archive and a quantitative database on international migration and multicultural research and share with other researchers working on this subject. 2. Pursue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this subject, and broa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se phenomena. 3. Bring up favorite and nurturing research environment for the next generation researchers working on this subject. 4.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 programs and cooperation with the major research institutions worldwide and build up a global research network.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과제는 외국인이주자에 대한 문헌 아카이브와 DB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를 활성화하며, 외국학자 및 연구기관과 교류하고 신진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지난 3년간 이루어진 이 연구과제의 성과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
이 연구과제는 외국인이주자에 대한 문헌 아카이브와 DB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연구를 활성화하며, 외국학자 및 연구기관과 교류하고 신진 연구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지난 3년간 이루어진 이 연구과제의 성과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이주민 관련 문헌 아카이브를 정리하고 DB를 구축함으로써 연구의 기반을 공고히 하였다. 인구센서스, 동태통계 및 각종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확보하여, 연구자들이 사용가능하도록 패키지파일로 전환하고 사용매뉴얼을 작성하였다. 또한 『그림과 표로 보는 외국인 통계』 (2012 및 2013), 『다문화 시·군·구 Data Sheet』, (2010 및 2012)를 각 2회씩 출간하여 주요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에게 배포하였고, 아울러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과 본 연구사업단의 웹페이지(http://csmr.kr)를 통해 관련 연구자들에게 널리 제공하고 있다. 둘째, 혼인이주자를 포함하는 외국인이주자를 주제로 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전문학술서적 2권(영문 서적 1권 포함)과 외국인 통계 관련 단행본 2권을 출판하였으며, 19편의 논문을 등재학술지, 그리고 1편의 논문을 외국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셋째, 17개국 학자 72명이 참여한 국제학술대회, 외국 대학과의 연합세미나(대만에서 개최), 그리고 월례 콜로키움을 총 28회(발표자 79명) 개최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학제적 연구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신진 연구자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아울러 총 45회(국내 25회, 국외 20회)에 달하는 각종 형태의 학술발표가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이상 살펴본 것처럼, 이 연구과제는 이주민 관련 문헌과 DB를 수집, 보관하는 연구기반을 구축하고, 이를 국내외 관련 연구자들과 공유하고 후학양성을 도모하여 다문화 연구의 국제적인 허브기관으로 육성한다는 목표 아래 계획된 연구활동들을 충실히 진행하여 왔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이 연구과제의 수행과정에서 지난 3년간 이루어진 연구의 내용과 결과물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이주민 관련 문헌 아카이브를 정리하고 DB를 구축함으로써 연구의 기반을 공고히 하였다. 지난 3년간 CSMR 아카이브 전체에는 11,039편의 논문이 정 ...
이 연구과제의 수행과정에서 지난 3년간 이루어진 연구의 내용과 결과물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첫째, 이주민 관련 문헌 아카이브를 정리하고 DB를 구축함으로써 연구의 기반을 공고히 하였다. 지난 3년간 CSMR 아카이브 전체에는 11,039편의 논문이 정리되었으며, 이 중 이주민 아카이브에는 874편의 국내 논문과 1,428편의 해외 논문에 관련되는 사항들이 수록되었다. 그리고 인구센서스, 동태통계 및 각종 실태조사의 원자료를 확보하여, 연구자들이 사용가능하도록 패키지파일로 전환하고 사용매뉴얼을 작성하였다. 또한 『그림과 표로 보는 외국인 통계』 (2012 및 2013), 『다문화 시·군·구 Data Sheet』, (2010 및 2012)를 각 2회씩 출간하여 주요 연구기관과 연구자들에게 배포하였고, 아울러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과 본 한양대 SSK 다문화연구사업단의 웹페이지(http://csmr.kr)를 통해 관련 연구자들에게 널리 제공하고 있다. 둘째, 혼인이주자를 포함하는 외국인이주자를 주제로 하는 연구를 수행하여 전문학술서적 2권(영문 서적 1권 포함)과 외국인 통계 관련 단행본 2권을 출판하였으며, 19편의 논문을 등재학술지, 그리고 1편의 논문을 외국학술지에 게재하였다. 셋째, 17개국 학자 72명이 참여한 국제학술대회, 외국 대학과의 연합세미나(대만에서 개최), 그리고 월례 콜로키움을 총 28회(발표자 79명) 개최하여 다양한 학문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다학제적 연구의 구심점을 제공하고 신진 연구자들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아울러 총 45회(국내 25회, 국외 20회)에 달하는 각종 형태의 학술발표가 연구책임자 및 공동연구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다문화, 다민족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방향으로 급속하게 변화하는 한국사회에서 혼인이주자와 노동이주자 등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은 이 연구과제의 결과물과 관련 학술 및 사회활동은 정책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지난 3년간 다양한 형태의 학회, 자문 및 사회활동과 정부 정책에 반영하고자 하는 노력이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 본 연구진이 다양한 학술 및 사회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달성한 실적은 국내외 국가정책에 반영 4건, 정부 정책연구 참여 4건, 입법화 3건, 그리고 국내외 홍보 3건으로 정리될 수 있다.
색인어
데이터 베이스(DB), 아카이브(archive), 원자료(raw data), 학제간 분석, 다학제적 접근, 국제결혼, 외국인배우자, 혼인이주여성, 외국인노동자, 이주노동자, 다문화, 다문화가족, 다문화가정, 결혼안정성, 문화수용, 문화동화, 민족적 정체성, 외국인아내의 출산력, 외국인이주자의 복지, 외국인이주자의 건강, 외국인이주자의 사회참여, 다문화가족 청소년, 결혼지속기간, 동질혼, 이질혼, 결혼만족도, 외국인이주자에 대한 태도, 외국인이주자에 대한 차별, 사회적 거리감 척도, 거주지역의 민족구성, 소수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