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예측타이밍 반응시의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제어기전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지방대학육성지원
연구과제번호 2001-002-I00010
선정년도 2001 년
연구기간 1 년 (2001년 12월 01일 ~ 2002년 12월 01일)
연구책임자 박상범
연구수행기관 계명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실험의 목적은 네 가지의 자극속도와 세 가지의 자극제시범위가 예측타이밍 반응시에 발생하는 안구운동의 개시시간, 범위, 기간, 속도, 그리고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예측타이밍의 저변에 있는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제어기전을 연구하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피험자는 자극의 이동속도와 제시범위가 조작되는 상황에서 예측타이밍 반응을 수행할 것이며, 각 반응시에 발생하는 안구운동의 개시시간, 범위, 기간, 속도, 그리고 빈도를 측정할 것이다. 공간적으로 이동하는 자극에 대한 정보는 안구의 움직임을 통해 입수되므로 다양한 자극속도와 자극제시범위 조건에서 관찰되는 안구운동의 유형은 자극의 이동속도 파악과 관련된 시각적 정보처리과정과 입수된 정보의 이용가능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측타이밍의 제어기전을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예측타이밍 반응은 공간적으로 이동하는 자극의 특성, 즉 자극의 이동행로나 속도, 그리고 범위 등에 대한 시각정보에 근거를 두고 이루어지며, 입수된 시각정보의 이용능력이 반응의 정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제로 예측타이밍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반응의 정확성이 자극의 이동속도나 제시기간, 또는 제시방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그러한 결과는 자극의 특성이 요구되는 반응과 관련된 시각적 정보처리과정의 변화를 유도함으로써 예측타이밍의 제어기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예측타이밍의 정확성은 수행된 반응의 최종산물로서 그러한 결과가 결정되기까지의 과정, 즉 자극의 이동행로에 대한 정보의 입수 및 입수된 정보에 근거를 둔 반응시점의 예측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결과적으로 예측타이밍의 제어기전은 아직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러한 제어과정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극특성과 최종운동출력의 관계뿐만 아니라 자극에 대한 정보의 입수와 이용과정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 한글키워드
  • 자극제시범위,예측타이밍,자극속도,시각적 정보처리,단속성 안구운동,정확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