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 영역에서 분석이 이루어진다. 과제1: 지방공무원들의 퇴직에 대한 태도, 퇴직후 생활계획, 퇴직후 생활예견에 대한 실태조사, 과제2: 퇴직준비교육수요에 영향을 미치리라 판단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 가설검증(19개 가설), 과제3: 가설과 경 ...
본 연구에서는 크게 3가지 영역에서 분석이 이루어진다. 과제1: 지방공무원들의 퇴직에 대한 태도, 퇴직후 생활계획, 퇴직후 생활예견에 대한 실태조사, 과제2: 퇴직준비교육수요에 영향을 미치리라 판단되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 가설검증(19개 가설), 과제3: 가설과 경험적 분석결과를 비교하고 변이성에 대한 원인분석 및 정책방향 제시 등이다. 먼저, 과제1은 퇴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퇴직에 대한 사전계획정도, 퇴직생활 예견은 퇴직후 생활만족도를 결정하게 된다는 점에서 분석의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한 분석의 척도로는 퇴직에 대한 태도(1.퇴직이 기다려 짐 - 6. 퇴직이 닥쳐오는 것이 두려움), 퇴직후 생활계획(1.확실한 계획이 서있음 - 4. 계획은 거의 생각지 못하고 있음), 퇴직후 생활예견-경제, 건강, 대인관계, 여가 등 분야별 설문구성을 통해 (1.의식주는 문제없을 것 - 13.평소 하지 못했던 일을 통해 의미있는 생이 될 것임) 등의 측정이 이루어진다. 분석을 위해서는 Frequency Analysis, Pearson's 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한다. 둘째, 과제2는 본 연구의 핵심을 이루는 것으로 이론적 논의를 통해 퇴직준비교육 수요영향변인(교육수준, 소득수준 등의 사회경제적요인, 건강상태, 여가활동, 퇴직후 경제수준, 퇴직잔여기간, 의무퇴직압박감, 퇴직사전계획정도 등 8개 요인 도출), 퇴직준비교육 자체변인(퇴직준비교육 필요성인식, 퇴직준비교육 참여의사), 퇴직준비교육수요 결과변인(경제활동 재참가의사) 등 변인들 간의 관계분석을 근거로 총 19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한 뒤 이에 대한 모형검증이 이루어진다. 분석을 위해서는 구조방정식모형(LISREL)을 이용한다.
셋째, 과제3을 위해서는 과제2의 분석결과와 가설모형을 비교한 뒤 변이성에 대한 원인 분석을 행하고 이를 근거로 규범적 논의를 통해 향후 정책방향을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퇴직준비교육수요 영향변인, 퇴직준비교육수요 자체변인, 퇴직준비교육수요 결과변인 등을 일련의 과정으로 보고 분석모형을 작성한 뒤 퇴직준비교육을 하나의 전체적 흐름속에서 파악할 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가설모형 검증이 이루어 진다는 점에서 관련 선행연구들과 차별성이 있는 동시에 연구가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