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여성운동'이란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조직하여 양성평등 사회를 지향해가면서 삶의 지위향상과 관련되는 다양한 지역문제에 접근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가는 여성운동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광주·전남지역의 여성운동 사례에 대한 연구에서 '지역'은 ...
'지역여성운동'이란 여성들이 주체적으로 조직하여 양성평등 사회를 지향해가면서 삶의 지위향상과 관련되는 다양한 지역문제에 접근하고 해결책을 모색해 가는 여성운동을 말한다.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광주·전남지역의 여성운동 사례에 대한 연구에서 '지역'은 중앙의 단순한 하위구성부분으로서 다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주체로서 다루어진다. 지역 혹은 부분의 결합으로서 중앙 혹은 전체가 있는 것이지 그 역으로 지역을 분석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연구의 연구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될 것이다. 지역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지역 여성운동단체의 활동에 대한 개괄적인 고찰과 90년대 전후에 일어나는 광주·전남지역의 여성운동의 성격변화에 대한 고찰이 주내용이다. 연구내용은 현재 활동 중인 여성단체의 사업내용을 횡단적으로 다룰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조직의 이념과 조직의 변화과정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을 함께 다루지만 지역여성운동의 연구범위는 80년대 전후부터 현재까지로 한정된다. 연구시기를 이렇게 한정하는 이유는 한국사회에서 해방 후 페미니즘 이념에 기초한 여성운동이 재등장한 것은 지역적인 편차가 있기는 하지만 80년대 전후의 일이기 때문이다.
지역여성운동의 성격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여성운동 조직내부에서의 여성 정체성에 대한 논의와 실천이념의 변화(변혁운동의 부문운동에서->독자적 여성운동으로), 운동조직의 해체, 발전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6개의 여성운동단체의 사례를 선정하여 여성활동가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할 것이다. 심층면접은 개별면접 뿐만 아니라 집단면접인 포커스면접을 병행하려 한다. 심층면접 대상이 될 여성운동 활동가의 선정은 광주전남지역 여성운동에 주요한 영향을 끼친 6개의 단체들이다.
이 연구결과 예상되는 개략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광주전남 지역여성운동의 지역적 조건, 객관적 조건과 주체의 변화: 이 절에서는 80년대 전후 즉, 광주항쟁 전후의 광주지역의지역적 특성을 통계문헌자료와 기존연구문헌 활용하여 정리하고 70년대 말 광주전남지역여성의 현실과 여성운동조직인 송백회를 고찰한다. 세부내용으로 ① 광주 ·전남지역의 사회경제적 상황 ② 70년대 말 광주·전남지역여성의 현실과 여성운동이다. 광주지역은 한국산업화 과정의 불균등발전으로 인한 지역적 특수성으랜옮망熾ず릿?정치적 동원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여성운동의 성장도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다. 70년대 말의 한국사회의 전반적인 사회적 상황 속에서 광주지역의 여성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은 크게 두 가지 흐름, i)생존권 확보와 민주노조 결성을 위해 소그룹 활동을 하고 있었던 여성노동자들 그룹과 ii)'송백회'를 중심으로 한 민주화 운동 그룹이 있었다. 이들 두 흐름은 1980년 광주항쟁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송백회는 학생운동 출신 여성 및 지식인 여성들로 이루어진, 1970년대 광주지역의 유일한 여성단체였다. 송백회는 교사, 간호사, 가정주부, 학생운동 출신 여성 등 지식인 엘리트 여성을 핵심 성원으로 1978년 창립한 단체이다. 진보적 여성조직으로서 송백회는 광주항쟁 이후 민주화 투쟁의 부문운동 단체로서 광주여성회나 지역여성연대조직으로서 광주전남여성연합 조직의 기반이 되었다. 광주지역에서는 5월항쟁에서 눈부시게 활약했던 송백회가 해체된 이후에도 5월 항쟁의 영향 속에서 전체 변혁운동의 부문운동으로서의 여성운동의 정체성을 정립한 여성운동 조직인 '광주여성회'가 등장했을 뿐 아니라, 독자적인 여성운동으로의 분화, 발전도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빨랐다.
(2)지역여성운동의 성격변화 : 이 절에서는 여성활동가들에 대한 개별적인 심층면접, 집단 포커스 면접자료를 분석하여 80년대 후반 여성운동의 성격변화 과정과 정체성 모색을 둘러싼 논의를 고찰한다. 심층면접 항목에는 여성운동 활동가들의 실천이념도 포함된다.
(3)여성운동단체의 활동 : 이 절에서는 여성운동 단체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 분석을 통해 90년대 이후 여성운동 조직의 활동내용을 분석한다. 여성운동 단체에 대한 설문조사의 항목은 ①창립일, ②주소, 전화/전송, ③설립 및 활동목표, ③창립이후 주요 활동(변화 내용 포함)과 사업, ④현재 추진 중인 주력사업 ⑤재정 및 회원조직 현황 ⑥중앙조직, 타조직과의 연대관계 등이다. 설문조사에서 주요활동에 대한 분석은 i)여성문제 인식, 확산을 위한 교육, 홍보활동 ii)지역의 여성권익확보를 위한 활동(법, 제도 개선 운동), iii)사회복지적 지원활동, iv)지방화시대에 대비한 생활과제 발굴 등 네 가지 항목으로 범주화하려 한다. 여성운동단체의 이념분석은 여성정체성에 초점을 맞추어 i)전통적 모성역할, ii)근대적 모성역할, iii)성평등 역할 등 세 가지로 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