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총요소생산성을 이용한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 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f Efficiency Evaluation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with Total Factor Productivity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8024964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문상영
연구수행기관 한경국립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생산성은 최대한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효율성뿐만 아니라 기술 변화와 같은 ‘질’의 개념도 포함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진 기술 수준 하의 투입과 산출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생산성 분석이라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많은 공공기관이나 조직에서 성과측정을 위하여 생산성 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기존의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단순히 DEA모형을 이용하여 일정시점이나 특정시점에서 공항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김형기 외 2인, 2007; 강호정, 2009; 이재구 외 2인, 2009)하거나, 기간별 효율성 추세 분석(김윤희, 하헌구, 2010), 혹은 환경요소를 고려한 생산성 측정(전승진, 이철웅, 2011) 등과 같은 비모수적 분석에 치중되고 있다. 그러나 DEA는 상대적인 효율성을 결정하는 모형이기 때문에 결과 값이 절대적인 기준을 가질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논문들이 분석의 편의성으로 인해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분석을 위해 DEA기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모든 투입요소를 고려한 투입 대비 산출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은 단일의 통합된 생산성 측정 방법이다. 이는 대표적인 투입요소인 노동뿐 아니라 자본투입, 중간재 투입 등의 여러 투입요소를 동시에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생산성 측정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동생산성과 자본생산성은 한 가지 투입 요소로만 본 효율성으로서, 전반적인 생산성 증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다른 투입요소에 대한 강한 가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과정 전체의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전체의 투입요소를 고려한 측정이 보다 적절한 개념이 되며 이것을 충족시키는 것이 총요소생산성이다. 총요소생산성에는 노동, 자본 이외에 생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 예를 들어 기술, 노사, 경영체제, 법, 제도 등의 변화로 해석되며, 이를 적절히 통제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서 흔히 총요소생산성 증가는 기술혁신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지 1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의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분석하여 향후 공항의 정책과 투자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 추이와 변화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이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개항 이후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과 운영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은 2006년 이래 6년간 공항서비스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노동, 자본 등 단일 요소뿐만 아니라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증가가 있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공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 전략을 마련하는 자료와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②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으로서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의 변화로 인한 생산성의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두 변수가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환승과 환적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절감과 같은 운영시스템의 질적 향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변수의 증가는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리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가 산출변수로 채택한 총 여객 수와 화물 총 량과 달리 총요소생산성 분석에 환적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을 구분하여 채택하였을 경우의 총요소생산성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③ 저비용항공사(LCC)의 진입에 따른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LCC 진입으로 인해 소비자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소비자가 LCC 항공서비스를 구매함으로써 발생한 공항이용수요를 계산함으로써 LCC 등장이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LCC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경우,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이 증진했을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특히 LCC 취항과 같은 개별 사건에 대해 인천국제공항 생산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은 공항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책이 공항에 미치는 가치의 크기는 생산성의 개념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생산성 변화에 따라 항공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총요소생산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은 그동안 단편적인 효율성 분석에 머물렀던 국내 공항의 효율성 평가 연구의 보다 폭넓은 정보와 이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수행에 따른 학문적 분야의 의의는 먼저 기간산업인, 공항의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의 규명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주로 DEA와 같은 비모수적 방법론을 통해 공항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인 효율성을 비교·평가하는 DEA는 반드시 비교 대상이 있어야 하며 절대적인 생산성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기간산업의 효율성 측정에 한계를 나타냈다. 또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규명과 그 영향력에 대한 분석이 어렵다는 한계는 기간산업인 공항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정책과 전략 설정에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총요소생산성 측정과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시한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연구의 수행에 따른 세부적인 학문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총요소생산성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 증가에 따른 생산 증가분과 자본 증가분에 따른 생산 증가분을 제외한 생산량 증가분으로써 생산요소가 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제외한 후 남는 잔차를 계산하게 된다.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측정은 노동 및 자본과 같은 전통적인 투입요소와는 다른, 기술진보에 따른 산출의 증가량을 측정함으로써 인천공항의 경제적 효율성 측정을 위한 타당한 연구방법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②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공항의 효율성 증진에 필요한 전략의 우선순위 설정과 정책 수립 방향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인천국제공항은 주요 선진 공항의 벤치마킹을 통해 발전방안 방안과 전략을 마련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효율성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영향력 평가를 통한 우선순위 설정이 가능하여 실효성 있는 공항 발전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부의 공항발전 정책 추진 방향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인 분야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실증적인 분석을 토대로 인천국제공항의 발전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이 인천국제공항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지만, 실증적인 분석을 토대로 결과를 제시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산성 및 결정요인 분석의 성공적인 수행은 인천국제공항과 경쟁 관계에 있는 공항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의 장단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동북아 항공허브로 성장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의 발전전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항공사의 발전전략의 실효성을 판단하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산성 및 결정요인 분석은 공항의 효율성 분석뿐만 아니라 공항과 같은 효율성 측정이 어려운 기간산업의 효율성 평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항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항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DEA 분석을 통한 상대적인 효율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구방법을 항만에 적용한다면, 항만 효율성의 상대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실증 분석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대학원생의 참여를 통해 진행될 예정으로, 참여 대학원생은 공항의 생산성 측정방법과 그 적용방법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운송 및 관광 학회에 참가를 독려하여, 항공운송 및 관광산업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기회를 획득할 것이다. 이를 통해 참여 대학원생은 공항정책과 공항 발전 전략을 이해하고 이의 분석을 통한 보완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함으로써 우리나라 항공운송 및 관광산업 전문가로 양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 연구요약
  • 항공운송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동북아 여러 국가들은 공항경쟁력 향상을 위해 막대한 인프라 투자와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다. 특히 항공자유화로 인한 항공운송시장 내 경쟁의 심화로 각 공항은 운영비용의 절감과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효율적인 공항 운영은 공항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Gillen and Lall, 1997).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에 대한 적절한 정책과 투자가 이루어 졌는지를 평가하고 향후의 공항의 정책과 투자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어떤 요인에 의하여 변화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들이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분석을 위해 DEA기법을 사용하여 방법론의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지 1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의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분석하여 향후 공항의 정책과 투자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 추이와 변화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이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 ②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으로서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의 역할을 분석하며, ③ LCC의 진입에 따른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확인하고자 한다. 공항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산출변수로서 여객처리실적과 화물처리실적을 사용하고자 한다. 항공기 운항횟수와 더불어, 주차장과 다양한 부대서비스를 통한 매출을 산출변수로 선택하고자 한다.
    투입요소는 일반적으로 두 개로 투입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인력은 공항에 근무하는 정규직 노동자의 수로 측정될 수 있으며 자본은 다양한 공항의 인프라와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자본의 경우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Proxy 변수를 사용하고자 한다. 자본은 세 개의 요소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활주로의 수, 게이트의 수, 그리고 터미널 사이즈와 같은 하드웨어이다. 둘째는 공항의 운영을 위해 소요된 제품의 비용이며 셋째는 아웃소싱되었거나 계약으로 인해 구매된 서비스 비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공항의 소유권과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이들 변수들을 고려한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이 구성하여 계산된 총요소생산성을 사용하여 공항의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이는 상대적인 효율성을 측정하는 DEA와 같은 분석방법에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는 분석내용이다. 예를 들어 공항의 소유구조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인근 허브공항과의 근접정도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여객/화물 비중의 차이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대체운송수단의 개발에 따른 생산성 영향 등이 검토될 것이다. 이는 신공항예정지 결정문제, 기존공항의 확장문제, 공항의 소유구조 개편 문제, 국내 물류운송체계의 분담구조문제(mix) 등의 정책결정에 중요한 실증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총요소생산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은 그동안 단편적인 효율성 분석에 머물렀던 국내 공항의 효율성 평가 연구의 보다 폭넓은 정보와 이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총요소생산성 측정과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시한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세부적인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 ② 인천국제공항의 효율성 증진에 필요한 전략의 우선순위 설정과 정책 수립 방향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동북아 항공허브로 성장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의 발전전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항공사의 발전전략의 실효성을 판단하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산성 및 결정요인 분석은 공항의 효율성 분석뿐만 아니라 공항과 같은 효율성 측정이 어려운 기간산업의 효율성 평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한글키워드
  • 총요소생산성, 효율성, 공항
  • 영문키워드
  • Total Factor Producitivy, Efficiency, Airpor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1.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를 살펴보고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1989년의 해외여행 자율화와 이후 해외여행에 대한 수요는 빠른 속도로 증가해 왔다. 또한 우리나라 산업 구조의 변화로 인하 항공화물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1년 인천국제공항은 개항 이후 우리나라의 항공수송수요뿐만 아니라 중국, 인도, 동남아시아 지역과 유럽 및 미주를 연결하는 항공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동북아 지역의 주요 공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인천국제공항의 활주로 및 게이트의 수와 같은 인프라의 구축과 더불어 입출국, 통관, 환승, 환적시스템과 같은 운영시스템의 고도화가 뒷받침되었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2.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먼저 투입변수와 산출변수를 확인하고자 한다. 공항은 주로 여객서비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공항의 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산출변수는 여객처리실적을 들 수 있다. 그러나 항공화물의 중요성이 증가함으로 인해 화물처리실적 또한 생산성 측정을 위한 산출변수로 사용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간화물처리실적 또한 하나의 구분된 산출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여객처리실적 및 화물처리실적은 공항의 최종 산출물로서 공항의 지상활동으로 인한 산출물로 고려된다. 반대로 항공기 운항횟수는 공항의 공중활동으로 인한 산출물로 고려된다. 항공기 운항횟수는 이착륙 및 주기로 인한 공항의 매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공항의 지상활동을 위한 여객 및 화물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간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여객처리실적, 화물처리실적, 항공기 운항횟수와 더불어, 주차장과 다양한 부대서비스 또한 공항의 매출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비항공서비스는 공항의 주요 역할은 아니지만, 전세계적으로 공항 매출을 결정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점차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비항공서비스를 마지막 산출변수로 선택하고자 한다.

    투입요소는 일반적으로 두 개로 투입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인력은 공항에 근무하는 정규직 노동자의 수로 측정될 수 있으며 자본은 다양한 공항의 인프라와 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공항의 생산성을 분석할 때 각 공항마다 소유권이나 회계처리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들 변수에 대한 고려로 인해 공항들의 생산성을 직접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공항의 소유권과 회계처리 방식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이들 변수들을 고려한 생산성 결정요인 분석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자본의 경우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Proxy 변수를 사용하고자 한다. 자본은 세 개의 요소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활주로의 수, 게이트의 수, 그리고 터미널 사이즈와 같은 하드웨어이다. 둘째는 공항의 운영을 위해 소요된 제품의 비용이며 셋째는 아웃소싱되었거나 계약으로 인해 구매된 서비스 비용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마지막 두 개 요소는 직접적인 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둘을 엮어 Soft cost 투입요소로 명명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Soft cost 투입요소는 인력 및 자본과 관계없는 비용으로서, 공항의 아웃소싱 활동 전반에 소요된 비용을 나타내게 된다. Soft cost 투입요소를 고려함으로 인해, 본 연구는 공항의 아웃소싱 활동에 따른 운영 전략이 생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영문
  • Since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s growing, there are many studies which factors are affecting this growth. However, most of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Data Enevelopment Analysis (DEA) for analyzing productivity of airport because of simplicity of DEA. This study is going to use Total Factor Producitivity analysis(TFP) for analyzing productivity because TFP gives absolute level of productivity enhancing while DEA gives only relative level of producitivy enhancing. It is expected that TFP analysis may give real competitiveness enhancing strategies for the airpor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에 대한 적절한 정책과 투자가 이루어 졌는지를 평가하고 향후의 공항의 정책과 투자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분석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이, 해외 연구 사례와 같이, 어떤 요인에 의하여 변화가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져야 한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의 전체 투입요소를 고려한 총요소생산성 분석은 한 번도 이루어진 적이 없다. 많은 연구들이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분석을 위해 DEA기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DEA를 통한 효율성 분석은 상대적인 효율성이므로, 방법론상 한계로 인해, 다른 성과 측정기법의 대체방법론이라기 보다는 보완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논문들이 분석의 편의성으로 인해 DEA기법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한 지 10여년이 넘는 기간 동안의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향상을 분석하여 향후 공항의 정책과 투자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 추이와 변화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해 인천국제공항이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개선방향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①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인천국제공항은 2001년 개항 이후 지속적인 인프라 확충과 운영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은 2006년 이래 6년간 공항서비스 평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노동, 자본 등 단일 요소뿐만 아니라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성 증가가 있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공항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과 전략을 마련하는 자료와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②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으로서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의 역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의 변화로 인한 생산성의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두 변수가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인천국제공항의 환승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환승과 환적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의 절감과 같은 운영시스템의 질적 향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변수의 증가는 규모의 경제 실현을 통해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리라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구가 산출변수로 채택한 총 여객 수와 화물 총 량과 달리 총요소생산성 분석에 환적여객 수와 환적화물량을 구분하여 채택하였을 경우의 총요소생산성 변화 정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③ LCC의 진입에 따른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LCC 진입으로 인해 소비자는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게 된다. 소비자가 LCC 항공서비스를 구매함으로써 발생한 공항이용수요를 계산함으로써 LCC 등장이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볼 수 있다. LCC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경우, 인천국제공항 생산성이 증진했을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 특히 LCC 취항과 같은 개별 사건에 대해 인천국제공항 생산성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정부의 정책은 공항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책이 공항에 미치는 가치의 크기는 생산성의 개념을 이용해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유지 및 향상을 위해 총요소생산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의 성공적인 수행은 그동안 단편적인 효율성 분석에 머물렀던 국내 공항의 효율성 평가 연구의 보다 폭넓은 정보와 이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수행에 따른 학문적 분야의 의의는 먼저 기간산업인, 공항의 총요소생산성 결정요인의 규명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많은 연구들이 주로 DEA와 같은 비모수적 방법론을 통해 공항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인 효율성을 비교·평가하는 DEA는 반드시 비교 대상이 있어야 하며 절대적인 생산성 측정이 불가능하다는 어려움으로 인해 기간산업의 효율성 측정에 한계를 나타냈다. 또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규명과 그 영향력에 대한 분석이 어렵다는 한계는 기간산업인 공항의 효율성을 증진시키는 데 필요한 정책과 전략 설정에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총요소생산성 측정과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인천국제공항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실증적으로 제시한다는 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연구의 수행에 따른 세부적인 학문적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① 총요소생산성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국제공항의 생산성 변화를 실증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총요소생산성 생산량 증가분에서 노동 증가에 따른 생산 증가분과 자본 증가분에 따른 생산 증가분을 제외한 생산량 증가분으로써 생산요소가 산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제외한 후 남는 잔차를 계산하게 된다.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 측정은 노동 및 자본과 같은 전통적인 투입요소와는 다른, 기술진보에 따른 산출의 증가량을 측정함으로써 인천공항의 경제적 효율성 측정을 위한 타당한 연구방법을 제시한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② 인천국제공항의 총요소생산성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공항의 효율성 증진에 필요한 전략의 우선순위 설정과 정책 수립 방향 설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인천국제공항은 주요 선진 공항의 벤치마킹을 통해 발전방안 방안과 전략을 마련해왔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효율성에 실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영향력 평가를 통한 우선순위 설정이 가능하여 실효성 있는 공항 발전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부의 공항발전 정책 추진 방향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실무적인 분야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실증적인 분석을 토대로 인천국제공항의 발전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연구들이 인천국제공항의 발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지만, 실증적인 분석을 토대로 결과를 제시한 경우는 많지 않았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산성 및 결정요인 분석의 성공적인 수행은 인천국제공항과 경쟁 관계에 있는 공항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인천국제공항의 장단점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통해 동북아 항공허브로 성장하고 있는 인천국제공항의 발전전략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항공사의 발전전략의 실효성을 판단하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생산성 및 결정요인 분석은 공항의 효율성 분석뿐만 아니라 공항과 같은 효율성 측정이 어려운 기간산업의 효율성 평가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공항과 비슷한 특성을 가진 항만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측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DEA 분석을 통한 상대적인 효율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연구방법을 항만에 적용한다면, 항만 효율성의 상대적인 비교뿐만 아니라 실증 분석을 통한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색인어
  • 인천공항, 총요소생산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