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문제
1.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5, 6, 7, 8, 9, 10학년생 (국민 공통과정 -집중이수제에 따라 역사를 학습하는 학년이 학교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에서 역사를 학습하게 되는 학년의 학생들)은 사료의 본질에 대해 어 ...
연구 문제
1.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한국의 5, 6, 7, 8, 9, 10학년생 (국민 공통과정 -집중이수제에 따라 역사를 학습하는 학년이 학교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 점을 고려-에서 역사를 학습하게 되는 학년의 학생들)은 사료의 본질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가?
사료를 읽을 때 남아있는 사료의 성격, 한계 등을 고려할 수 있는가?
사료를 읽으면서 사료에 담긴 저자의 의도나 관점을 분석적으로 읽을 수 있는가?
사료 내용들 사이의 간극을 역사적 상상력으로 해결하여 역사 지식을 구성하는가?
사료가 생산된 역사적 맥락을 고려하여 역사 지식을 구성하는가?
2. 연구 방법 및 절차
본 연구를 위하여 5, 6, 7, 8, 9, 10학년 학생들 14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 조사 분석한다. 담당 교사도 보조적으로 심층면접한다.
학생: 5, 6, 7, 8, 9, 10학년(6개 학년)* 서울과 경기 두 지역(2) *한 학교에서 학업성취도와 성별을 고려하여 한 학년 당 12명 = 144명을 대상으로 한다. 학생은 학업성취도 차이와 성별, 역사 선행학습 정도를 고려하여 두 지역에서 학년별로 각각 12명씩 총 144명을 대상으로 한다. 우선 서울과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그러나 지역은 연구를 진행하면서 확대 변경하려고 한다. 선정한 지역과 학교 및 학급에 대한 상세한 기술을 통해, 본 연구가 다른 지역, 학교, 학급의 학생들의 크게는 역사 교육, 역사 교재 구성 방식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 자세하게 기술한다.
◆ 학생 이해를 돕기 위한 보조적 심층면접 대상 학생 담당 교사: 초등교사 (4명), 중학교 교사 (6명), 고등학교 교사 (2명) = 12명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이 학생이 한국의 전체 학생을 대표한다고 보지 않기 때문에 일반화를 목적으로 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는 심층 연구와 기술을 목적으로 한 질적 연구이다. 학생 개인에 대한 자세한 서술을 통해 이 연구의 한계를 관찰할 수 있게 하며, 다른 연구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확연히 알 수 있게 한다.
◆ 심층 면접 시기: 본 연구가 시작되는 시점이 5월이고, 심층면접에 들어가기까지 연구 및 준비 기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1차 년도 연구에서 심층 면접은 2학기 중에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맞추어 2차 년도에도 심층면접은 2학기에 진행하고자 한다. 즉 적어도 한 학기 이상의 공식적인 역사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면접 대상이다. 이러한 점을 연구 진행과정에서 참고하여, 학교에서 어떤 역사 수업을 받았는지, 수업에서 사료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에 대해서도 질문할 계획이다.
◆ 1차 년도에는 질문지 6세트 (5, 6학년용 2세트, 7, 8학년용 2세트, 9, 10학년용)를 개발한다. 파일럿 테스트를 통해 질문지를 보완 완성한다. 1차년도 심층면접은 5, 6(초등학교) 학년 학생과 10학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다. 사료에 본질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 사료를 어떻게 읽는지 등에 대해 질문지를 개발하여 심층 면접하고 분석한다. 5, 6학년 학생들 사이의 사료에 대한 이해 양상을 비교 분석한다.
◆ 2차 년도에는 7, 8, 9 (중학교) 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료에 본질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는지, 사료를 어떻게 읽는지 등에 대해 질문지를 개발하여 심층 면접하고 분석한다. 그 후 5, 6, 7, 8, 9, 10학년 학생들의 사료에 대한 이해 양상을 횡적으로, 수직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이해 유형 나아가 수준까지 검토해 본다.
◆ 1차년도에 초등학교 5, 6학년과 10학년을 하고, 2차년도에 7, 8, 9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는 것은 집중이수제에 따른 학교 단위의 교육과정의 문제를 고려한 것이며, 연구 내용을 적정화하고자 한 것이다.
◆ 다년간 연구가 필요한 이유: 본 연구는 6개 학년 학생들(5, 6, 7, 8, 9, 10_을 대상으로 한다. 이 6개 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까닭은 앞서 서술하였듯이 이 학생들이 국민공통교육과정과 집중이수제에 의하여 역사를 학습할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의 관심 중 하나는 이러한 학생들의 사료 이해 양상을 수직적으로 비교 분석하는데도 있다. 그런데 본 연구자의 연구 경험으로 1년에 2 ~3개 학년 이상을 조사지와 심층 면접을 통해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6개 학년을 2년에 걸쳐서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1년차에는 학교 섭외, 연구 대상 선정, 조사지 4세트를 개발하는 시간이 필요할 뿐 아니라, 질문지, 심층면접, 전사, 응답 분석, 글을 쓰는 과정을 거칠 것이다. 2년차의 경우 질문지를 2세트를 개발하는데 시간이 필요하기도 하며, 1년차와 마찬가지로 질문지 조사, 심층면접, 전사, 분석 등의 과정이 진행되어야 하며, 1년차에서 조사 분석한 내용과 2년차에서 조사 분석한 내용을 수직적으로 비교 분석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