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참여의도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비교연구
An international assessment of perceptions and particiaption intention of medical tourism in Korea: A comparison of potential visitors from US, Japan, China, and Russi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1020618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안대천
연구수행기관 인하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아시아권에서 9개의 주요 의료관광지 중 7위를 차지하고 있는 한국은 최근에 새로운 의료관광 목적지로서 부상하고 있다(Yu & Ko, 2011). 그 동안 아시아권 국가 중에서는 태국이나 싱가폴 등이 관광자원과 의료서비스의 적절한 결합을 통하여 많은 선진국 환자들을 유치해 왔지만, 한국도 뛰어난 임상약품과 의사들의 기술적 숙련도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아시아 의료관광 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h, 2011). 아직까지 의료관광시장에서의 낮은 인지도와 언어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제적인 의료수준은 선진국가에 비하여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특히 암치료나 장기이식 분야에서는 세계최고의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Yu & Ko, 2011). 실제로 2007년에 한국을 방문한 의료관광객의 수가 약 7,900명에 불과하던 것이 2010년에 6만명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의료비용 측면에서도 한국은 미국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고 같은 아시아권의 중국이나 싱가폴에 비해서도 우위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의료관광객의 유입이 예상되며, 특히 수술의 위험도가 높은 심장, 암 분야는 물론 가슴, 얼굴, 지방흡입과 같은 미용성형 분야에서 외국환자들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Yu & Ko, 2011). 따라서 앞으로 안정적 성장을 위하여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의료서비스 및 R&D 전략을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해외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관광시장의 성장을 위하여 환자들이 갖고 있는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태도, 평가 등에 대한 체계적이며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그 동안 이루어진 의료관광과 관련한 학술연구는 의료관광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동기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들의 영향력을 고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참조, Connell, 2008; Crooks et al., 2010; Lunt & Carrera, 2010; Yu & Ko, 2011). 이와 함께 몇몇 연구에서는 마케팅 측면에서 잠재적 소비자들에게 의료관광을 알리는 촉진도구들과 전달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도 이루어진 바 있다(참조, Crooks et al., 2011). 그러나 의료관광이 내포하고 있는 국제적 측면(Horowitz, Rosensweig, & Jones, 2007)과 글로벌 경제에 있어서의 중요성을 감안할 때, 체계적인 국제문화 비교연구(cross-cultural study)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즉 의료관광 서비스의 무형성,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적인 서비스 교환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소비자가 속한 국가의 문화적 가치의 영향에 따라 다양한 반응과 태도가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이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문화비교 연구는 이론적으로 해외 의료관광 참여의도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존연구의 결과와 접목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해외 의료관광 이용행위를 예측, 설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한국으로의 의료관광 방문객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네 국가의 잠재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의료관광 서비스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 영향요인, 참여의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들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의료관광 예측변수로 도출된 세 가지 요인(의사결정요인, 동기부여요인, 위험요인)을 토대로 하여 요인별로 구체적인 인식에 존재하는 국가 간 차이와 예측요인들이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태도 및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학문적, 실무적 차원의 두 가지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있다. 먼저 의료관광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행위의도를 문화이론의 토대에서 검증함으로써 기존연구를 통하여 축적된 문화적 관점에서의 소비자행동의 예측과 설명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정보를 추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형재가 아닌 의료관광의 서비스적 특성, 즉 무형성 및 이질성, 상호작용성 등을 고려할 때 본 연구를 통하여 유형재와 구분하여 서비스에 차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실증적 증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하여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이용에 영향을 주는 문화가치의 영향력에 대한 학문적 이해수준을 높이고, 향후 여러 문화권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연구를 위한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는 의료관광 마케터의 입장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해외의 잠재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환자들의 문화적, 지역적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서비스의 유형을 집중적으로 개발하고 홍보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서비스 이용 시 중시하는 요인들을 고려한 의료 및 관광 결합상품을 기획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료관광을 중개하는 국내 및 해외의 중개업자나 대리인을 위한 교육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연구요약
  • 세계적으로 노년인구의 증가와 의료인력의 부족, 의료비 상승으로 인하여(Suzanne Satalien, April 12, 2010) 해외 의료관광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제 의료관광시장의 급속한 성장은 사람과 자원, 상품의 자유로운 거래를 위하여 국가 간의 강한 연계를 부추기고 있는 세계시장의 국제화 트렌드의 자연스러운 부산물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약 6조원 이상의 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의료관광시장은 환자들은 물론, 병원, 관광국가, 해당국가의 정부, 에이전트 등 시장을 구성하는 관련주체들에게 많은 변화와 영향을 주고 있다(Singh, 2008).
    과거에는 의료관광이 주로 개발도상국가 또는 후진국의 환자들이 보다 낳은 의료기술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의료선진국을 방문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지만 1990년대 들어 반대의 경우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즉 의료진의 부족, 긴 대기시간, 의료비용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선진국 환자들의 해외 의료관광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의료관광이라는 개념이 선진국 환자들이 의료서비스와 관광을 겸한 목적으로 개발도상국을 방문하는 행위로 정의한다고 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최근에는 싱가폴,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의 5개 주요 의료관광국에 대한 관심과 방문이 세계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들 국가와 함께 지난 10년간 한국, 요르단, 아랍연합, 이스라엘 등도 새로운 의료관광지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RNCOS, 2008).
    현재까지 이루어진 의료관광연구에 의하면 선진국의 환자들이 의료관광에 참여하는 주된 이유로 비용절감과 자국에서의 긴 대기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Burkett, 2007; Connell, 2008; Unti, 2009). 또한 자신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신속히 받을 수 있고, 사생활의 노출위험이 적고, 의료서비스 외의 관광까지 겸할 수 있다는 점도 이유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Connell, 2006; Turner, 2007). 이러한 점에서 다소의 부작용이나 전염의 위험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아시아권의 여러 국가들은 선진국 환자들의 해외 의료관광의 적합지로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Yu & Ko,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권에서 주요 의료관광지로 급부상하고 있는 우리나라 의료관광에 대한 해외 잠재소비자들의 인식과 참여의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의료관광 인식과 참여의도 예측변수과 문화이론을 접목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 의료관광시장의 자매소비자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4개국 소비자들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국가문화의 특성에 따른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차이와 영향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한국의 의료관광 에이젼트를 활용하여 이들 4개국의 소비자 각 25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개인면접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 동안 아시아권 국가 중에서는 태국이나 싱가폴 등이 관광자원과 의료서비스의 적절한 결합을 통하여 많은 선진국 환자들을 유치해 왔지만, 한국도 뛰어난 임상약품과 의사들의 기술적 숙련도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아시아 의료관광 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직까지 의료관광시장에서의 낮은 인지도와 언어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제적인 의료수준은 선진국가에 비하여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특히 암치료나 장기이식 분야에서는 세계최고의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제 의료관광시장내의 안착과 성장을 위하여 해외 소비자들의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태도, 평가 등에 대한 체계적이며 포괄적인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의료관광 서비스의 무형성,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적인 서비스 교환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별 문화적 가치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문화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로 해외 의료관광 참여의도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존연구의 결과와 접목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해외 의료관광 이용행위를 예측, 설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의료관광, 비교문화연구,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문화이론
  • 영문키워드
  • medical tourism, cross-cultural study, perceptions, participation intention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에서는 비교문화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근접한 중국, 일본, 러시아의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과 태도에 존재하는 국가 간 차이를 고찰하였다.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8개의 선행변수를 중심으로 설문을 구성한 후, 3개국 652명의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 의료관광에 대하여 가장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집단은 러시아 관광객으로 나타났고, 중국과 일본 순으로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관광 선행변수들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료서비스’ 및 ‘편의성’ 요인에서 국가 간에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변수들이 전반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도 이들 3개 국가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의료관광에 참여하는 해외 관광객들의 문화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가 암시하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한국 의료관광산업의 발전을 위한 마케팅 활용방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영문
  • A cross-cultural approach is adopte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perceptions of and attitudes toward medical tourism by Russian, Chinese, and Japanese tourists to Korea. Results from a survey with a sample of 652 tourists show that respondents’ overall attitudes significantly differ across the three nations. Russian patients hold most positive attitudes, followed by Chinese and Japanese. Major perceptual factors are found to have different effects on overall attitudes among respondents. While travel-related risks ar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among Russian and Chinese patients, Japanese patients are influenced mostly by health-related risks. Japanese attitudes are also affected by cost factor, but not by convenience factor. On the other hand, convenience factor significantly affects Russian and Chinese attitudes. Additionally, post-operative risk, access to information, and availability of procedures have different effects across the four nations. Possible explan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conjunction with the cultural contexts of the four nation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에서는 비교문화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근접한 중국, 일본, 러시아의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과 태도에 존재하는 국가 간 차이를 고찰하였다.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도출된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8개의 선행변수를 중심으로 설문을 구성한 후, 3개국 652명의 의료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한국 의료관광에 대하여 가장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집단은 러시아 관광객으로 나타났고, 중국과 일본 순으로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관광 선행변수들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한 결과, ‘의료서비스’ 및 ‘편의성’ 요인에서 국가 간에 유의미한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변수들이 전반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도 이들 3개 국가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의료관광에 참여하는 해외 관광객들의 문화적 특성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가 암시하는 이론적, 실무적 의의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향후 한국 의료관광산업의 발전에 필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에서는 의료서비스와 관광을 겸하는 해외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문화적인 이유, 의료관광 목적의 차이, 자국 의료서비스의 환경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국가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대상인 한국 의료관광에는 블확실성회피 성향과 이와 관련된 의료관광의 위험 요인, 정보접근성, 비용, 한국여행의 편의성 등이 러시아, 중국, 일본 관광객 간에 존재하는 인식과 태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무형의 고관여 서비스인 의료 관광에 내포된 높은 불확실성 및 위험성을 고려할 때, 문화변수인 불확실성회피 성향의 차이는 해외 여러 국가의 잠재적 환자를 이해하고 향후 의료관광 참여를 유도하는데 핵심적인 요인임을 입증해 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비즈니스에 활용한다면 우선 우리나라의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은 불확실성회피 차원에서 미래 고객들의 비교문화적 유형을 인지하고 이를 마케팅/홍보 전략개발에 반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의료관광을 고려하고 있는 해외 관광객들을 상대로 그들의 문화적 특성과 영향력을 완벽하게 파악할 수는 없겠지만 첨예한 경쟁에서 지속가능한 포지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국제관광객 간의 인식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적어도 ‘위험’ 및 ‘정보 접근성’ 요인’과 관련한 심도 있는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여행관련 위험’ 요인이 3개국 환자 모두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의료관광의 안전성과 편의성 등의 특징을 강조하기 위한 홍보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 색인어
  • 의료관광, 의료서비스, 편의성, 위험성, 의료관광 태도, 비교문화 연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