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으로 노년인구의 증가와 의료인력의 부족, 의료비 상승으로 인하여(Suzanne Satalien, April 12, 2010) 해외 의료관광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제 의료관광시장의 급속한 성장은 사람과 자원, 상품의 자유로운 거래를 위하여 국가 간의 강한 연계를 부추기고 있는 ...
세계적으로 노년인구의 증가와 의료인력의 부족, 의료비 상승으로 인하여(Suzanne Satalien, April 12, 2010) 해외 의료관광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국제 의료관광시장의 급속한 성장은 사람과 자원, 상품의 자유로운 거래를 위하여 국가 간의 강한 연계를 부추기고 있는 세계시장의 국제화 트렌드의 자연스러운 부산물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약 6조원 이상의 시장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의료관광시장은 환자들은 물론, 병원, 관광국가, 해당국가의 정부, 에이전트 등 시장을 구성하는 관련주체들에게 많은 변화와 영향을 주고 있다(Singh, 2008).
과거에는 의료관광이 주로 개발도상국가 또는 후진국의 환자들이 보다 낳은 의료기술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이나 영국과 같은 의료선진국을 방문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지만 1990년대 들어 반대의 경우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즉 의료진의 부족, 긴 대기시간, 의료비용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선진국 환자들의 해외 의료관광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의료관광이라는 개념이 선진국 환자들이 의료서비스와 관광을 겸한 목적으로 개발도상국을 방문하는 행위로 정의한다고 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최근에는 싱가폴, 인도,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등 아시아의 5개 주요 의료관광국에 대한 관심과 방문이 세계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들 국가와 함께 지난 10년간 한국, 요르단, 아랍연합, 이스라엘 등도 새로운 의료관광지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RNCOS, 2008).
현재까지 이루어진 의료관광연구에 의하면 선진국의 환자들이 의료관광에 참여하는 주된 이유로 비용절감과 자국에서의 긴 대기시간인 것으로 나타났다(참조, Burkett, 2007; Connell, 2008; Unti, 2009). 또한 자신에게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신속히 받을 수 있고, 사생활의 노출위험이 적고, 의료서비스 외의 관광까지 겸할 수 있다는 점도 이유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Connell, 2006; Turner, 2007). 이러한 점에서 다소의 부작용이나 전염의 위험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아시아권의 여러 국가들은 선진국 환자들의 해외 의료관광의 적합지로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Yu & Ko, 201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권에서 주요 의료관광지로 급부상하고 있는 우리나라 의료관광에 대한 해외 잠재소비자들의 인식과 참여의도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의료관광 인식과 참여의도 예측변수과 문화이론을 접목하여 연구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특히 우리나라 의료관광시장의 자매소비자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4개국 소비자들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하여 국가문화의 특성에 따른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차이와 영향변수의 영향력을 비교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한국의 의료관광 에이젼트를 활용하여 이들 4개국의 소비자 각 250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개인면접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그 동안 아시아권 국가 중에서는 태국이나 싱가폴 등이 관광자원과 의료서비스의 적절한 결합을 통하여 많은 선진국 환자들을 유치해 왔지만, 한국도 뛰어난 임상약품과 의사들의 기술적 숙련도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아시아 의료관광 시장에서 주도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아직까지 의료관광시장에서의 낮은 인지도와 언어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제적인 의료수준은 선진국가에 비하여 손색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고 특히 암치료나 장기이식 분야에서는 세계최고의 수준을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제 의료관광시장내의 안착과 성장을 위하여 해외 소비자들의 한국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과 태도, 평가 등에 대한 체계적이며 포괄적인 연구를 실시할 계획이다.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의료관광 서비스의 무형성, 인간 사이의 상호작용적인 서비스 교환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국가별 문화적 가치의 영향력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문화비교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이론적으로 해외 의료관광 참여의도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영향력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획득한 정보를 기존연구의 결과와 접목시킴으로써 소비자의 해외 의료관광 이용행위를 예측, 설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실무적으로 다양한 국가의 잠재적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 활동에 필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