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담수, 오일과 가스, 해양플랜트, 석유화학, 환경플랜트 등과 같은 산업기반시설, 시멘트, 제철, 제지 등의 제조공장의 건설은 모두 프로젝트 개념을 기반으로 설계․시공되며 특화된 첨단기술을 응용함으로 인해 입찰을 주도한 프로젝트 주도기업(leading 또는 insta ... 
          
          
            발전 담수, 오일과 가스, 해양플랜트, 석유화학, 환경플랜트 등과 같은 산업기반시설, 시멘트, 제철, 제지 등의 제조공장의 건설은 모두 프로젝트 개념을 기반으로 설계․시공되며 특화된 첨단기술을 응용함으로 인해 입찰을 주도한 프로젝트 주도기업(leading 또는 installer 기업) 외에도 기술협력기업, 부품공급기업, 시공 및 감리기업 등이 프로젝트 공급망(project supply chain)에 참여한다. 기술력 입증이 입찰성공의 핵심요인이 되면서 프로젝트 공급망에는 다양하면서도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업체들의 참여비율이 점점 더 높아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주도기업은 입찰과 입찰 성공후의 프로젝트 진행계획 및 자금조달․운영을 책임질 뿐 실제 디자인, 기술개발 및 시공은 프로젝트 공급망에 참여하는 수많은 협력업체들이 이끌어가는 형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그리고 소비자로 이어지는 공급망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던 공급망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개념과 원리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에도 적용될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공급망관리는 제품생산에서 유통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에 걸쳐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 협업을 통한 재고관리 등 공급망 관련 의사결정의 최적화를 추구하는 경영기법이다. 급속한 IT의 발전으로 인해 기업간 정보공유가 용이해짐으로써 SCM의 확산은 가속화되어가고 있다.  
프로젝트 공급망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급망에서의 정보공유, 신뢰, 동기화, 통합적 관리 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왔다. 공급망 통합이란 물리적 통합의 개념이 아니고 정보공유, 계획수립, 자재나 부품 흐름의 조정과 통제활동을 전략적, 전술적 차원에서 통합․운영한다는 의미로서(Stevens, 1989), 공급망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개별기업의 최적화를 탈피한다는 의미이다(Watts et al., 1995; Vickery et al., 2003). 통합된 SCM은 가격과 납기 측면에서 현격한 경쟁적 우위를 가져다 주며, 채찍효과 즉 변동성 증폭현상의 해소에도 기여한다는 사실도 이미 밝혀진바 있다(Lee and Billington, 1992; Lee et al., 1997). 공급망 통합은 정보시스템 통합, 공급망 담당 직원의 배정, 정보공유, 전략적 파트너십, 동시적(synchronization) 운영 등을 포함하며(Power, 2005; Narasimhan and Kim, 2001; Zhao et al., 2006; Kotzab et al., 2011; Shih et al., 2012), 기본적으로 공급망 구성원들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통합의 중요성, 즉 통합은 신뢰를 구축하고 공급망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경쟁역량의 제고를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야 할 명제라는 것은 충분히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망 구성원들의 파트너십 수준 제고와 SCM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참여기업들의 흡수능력에 대한 심층연구는 미진하다.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끌어가고자 하는 프로젝트 공급망의 참여기업들은 기업외부에 존재하는 지식소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만(Laursen and Salter 2006), 외부에서 접할 수 있는 지식이나 기술도 그것을 소화시키기 위한 내적 지식과 능력이 뒷받침하지 못한다면 효율적 이전이나 학습이 쉽지 않다(Nonaka & Krough, 2009). 공급망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자연스럽게 외부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혁신과 개선을 도모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Cassiman & Veugelers, 2006). 
그러나 구체적으로 참여기업들의 흡수능력, 공급망 참여의 동기유발․인센티브요인, 통합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공유정보의 속성 그리고 이와 같은 선행요인으로 인해 그 수준이 결정될 수 있는 협업의 질과 SCM성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진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흡수능력, 공급망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 및 동기유발요인, 협력업체 개발과 평가, 기회주의적 행동의 유발요인 등의 상호연관관계에 대해 공급망 참여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를 통해 심도 깊게 분석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