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프로젝트 공급망 참여기업의 흡수능력, 지각된 인센티브 혜택 및 협업의 질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Incentive Benefit and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in Project-based Supply Chai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1017752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5월 01일 ~ 2013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태웅
연구수행기관 성균관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발전 담수, 오일과 가스, 해양플랜트, 석유화학, 환경플랜트 등과 같은 산업기반시설, 시멘트, 제철, 제지 등의 제조공장의 건설은 모두 프로젝트 개념을 기반으로 설계․시공되며 특화된 첨단기술을 응용함으로 인해 입찰을 주도한 프로젝트 주도기업(leading 또는 installer 기업) 외에도 기술협력기업, 부품공급기업, 시공 및 감리기업 등이 프로젝트 공급망(project supply chain)에 참여한다. 기술력 입증이 입찰성공의 핵심요인이 되면서 프로젝트 공급망에는 다양하면서도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업체들의 참여비율이 점점 더 높아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주도기업은 입찰과 입찰 성공후의 프로젝트 진행계획 및 자금조달․운영을 책임질 뿐 실제 디자인, 기술개발 및 시공은 프로젝트 공급망에 참여하는 수많은 협력업체들이 이끌어가는 형태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통적으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그리고 소비자로 이어지는 공급망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던 공급망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의 개념과 원리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사업에도 적용될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공급망관리는 제품생산에서 유통에 이르는 전체 프로세스에 걸쳐 협력업체와의 정보공유, 협업을 통한 재고관리 등 공급망 관련 의사결정의 최적화를 추구하는 경영기법이다. 급속한 IT의 발전으로 인해 기업간 정보공유가 용이해짐으로써 SCM의 확산은 가속화되어가고 있다.
    프로젝트 공급망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공급망에서의 정보공유, 신뢰, 동기화, 통합적 관리 등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왔다. 공급망 통합이란 물리적 통합의 개념이 아니고 정보공유, 계획수립, 자재나 부품 흐름의 조정과 통제활동을 전략적, 전술적 차원에서 통합․운영한다는 의미로서(Stevens, 1989), 공급망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한다는 것은 개별기업의 최적화를 탈피한다는 의미이다(Watts et al., 1995; Vickery et al., 2003). 통합된 SCM은 가격과 납기 측면에서 현격한 경쟁적 우위를 가져다 주며, 채찍효과 즉 변동성 증폭현상의 해소에도 기여한다는 사실도 이미 밝혀진바 있다(Lee and Billington, 1992; Lee et al., 1997). 공급망 통합은 정보시스템 통합, 공급망 담당 직원의 배정, 정보공유, 전략적 파트너십, 동시적(synchronization) 운영 등을 포함하며(Power, 2005; Narasimhan and Kim, 2001; Zhao et al., 2006; Kotzab et al., 2011; Shih et al., 2012), 기본적으로 공급망 구성원들의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형성된다.
    기존의 많은 연구들이 통합의 중요성, 즉 통합은 신뢰를 구축하고 공급망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경쟁역량의 제고를 위해서 반드시 이루어야 할 명제라는 것은 충분히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공급망 구성원들의 파트너십 수준 제고와 SCM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참여기업들의 흡수능력에 대한 심층연구는 미진하다. 지속적으로 혁신을 이끌어가고자 하는 프로젝트 공급망의 참여기업들은 기업외부에 존재하는 지식소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만(Laursen and Salter 2006), 외부에서 접할 수 있는 지식이나 기술도 그것을 소화시키기 위한 내적 지식과 능력이 뒷받침하지 못한다면 효율적 이전이나 학습이 쉽지 않다(Nonaka & Krough, 2009). 공급망에 참여하는 기업들은 자연스럽게 외부지식과 정보를 활용하여 혁신과 개선을 도모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거나 실패하는 경우가 빈번하다(Cassiman & Veugelers, 2006).
    그러나 구체적으로 참여기업들의 흡수능력, 공급망 참여의 동기유발․인센티브요인, 통합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공유정보의 속성 그리고 이와 같은 선행요인으로 인해 그 수준이 결정될 수 있는 협업의 질과 SCM성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진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흡수능력, 공급망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 및 동기유발요인, 협력업체 개발과 평가, 기회주의적 행동의 유발요인 등의 상호연관관계에 대해 공급망 참여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를 통해 심도 깊게 분석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학문발전에의 기여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관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이다. 프로젝트 유형의 사업에서 주도기업과 협력업체간 통합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공급망 내에서의 흡수능력의 전략적 역할, 인센티브와 협업의 질 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프로젝트가 점점 더 복잡해가고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면서 공급망에 참여하는 협력업체들과의 지속적 의사교환과 정보공유를 통한 흡수능력 제고는 프로젝트의 성공에 더욱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국내 연구의 경우 프로젝트 공급망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들며, 정보공유 및 협업, 흡수능력, 동기화 등에 대한 인센티브 유형, 이들 인센티브 요인들이 기술력 위주의 프로젝트 공급망의 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인 실증연구도 진행된 적이 없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협력업체의 공급망 참여의 동기유발요인(일종의 인센티브), 공급망 통합을 위한 협력, 동기화(synchronization)의 구성요소, 협력업체의 흡수능력 등을 선행요인으로 하는 프로젝트 공급망에 대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라고 평할 수 있다. 더불어 프로젝트 공급망에서의 이론은 보다 느슨한 협업관계를 유지하는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공급망 운영에도 손쉽게 확장․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의 운영을 위한 핵심요소인 인센티브 디자인, 협력업체의 평가와 VOC (Voice of Customer), 흡수능력과 협업의 질 등에 대한 이론은 관련분야의 연구를 한 단계 제고시킬 수 있다는 학술적 기여도 외에도, 산업연관 효과 매우 높은 관련 업계의 국제적 경쟁력의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도 상당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플랜트 건설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 운영역량의 혁신은 전체 수출액의 10%가 넘는 비중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연관 효과 역시 지대한 플랜트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도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다.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언론 보도에 의하면 국내기업들은 2011년에 약 72조원(650억불) 규모의 해외 플랜트 사업을 수주하였고 올해에 들어와서는 리비아 재건프로젝트, 2022년 카타르 월드컵에 대비한 인프라 프로젝트 등의 호재에 힘입어 700억 달러 규모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작년에는 프로젝트의 대형화 추세가 뚜렷하여 5억 달러 이상 대형 프로젝트가 전체 수주의 80% 내외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서 국내 플랜트산업의 해외진출의 규모와 속도가 과거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발전하고 있다.
    기술력 입증이 입찰성공의 핵심요인이 되면서 프로젝트 공급망에는 다양하면서도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업체들의 참여비율이 점점 더 높아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주도기업은 입찰과 입찰 성공후의 프로젝트 진행계획 및 자금조달․운영을 책임질 뿐 실제 디자인, 기술개발 및 시공은 프로젝트 공급망에 참여하는 수많은 협력업체들이 이끌어가는 형태가 진행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 도출될 수 있는 프로젝트형 공급망의 협업과 흡수능력 증대에 관한 이론은 이들 기업군에게 상생을 위한 전략적 가이드라인으로 당장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요타 리콜사태에서 나타난 공급망의 취약성은 공급망 참여에 대한 협력업체의 동기유발요인, 정보공유와 협업, SRM 등의 중요성과 지속적 협력체계를 통한 흡수능력 제고에 대한 필요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연구요약

  •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공급망에 참여하고 있는 협력업체들의 공급망에 대한 성과 평가수준 및 협업의 질을 핵심 종속요인으로 설정하고, 흡수능력, 협력업체 개발 및 평가의 공정성, 인센티브 등과 같은 공급망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논의된 주요 선행요인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연구가설로 설정하고자 한다.
    Todorova and Durisin (2007)는 사회적 통합, 피드백 과정, 권력관계 등이 흡수능력에 영향을 미침을 지적했는데, 사회적 통합메카니즘은 조직 내의 연결성 제고와 가치의 공유를 촉진시켜주며 지식흡득의 전 과정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기업단위의 흡수능력은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기존의 지식과 기술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조직구조, 인센티브나 성과제도(Jansen et al., 2005) 등도 영향을 미친다(Volberda et al., 2010).

    H1 : 프로젝트 공급망을 이끌어가는 주도기업이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도의 적절성은 협력업체의 흡수능력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 프로젝트 공급망을 이끌어가는 주도기업의 참여기업에 대한 평가의 공정성은 협력업체의 흡수능력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 프로젝트 공급망을 이끌어가는 주도기업의 참여기업 지원과 개발(협력업체 개발) 노력은 협력업체의 흡수능력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공급망 구성원 간 신뢰는 협업수준, 정보공유 및 SCM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공급망에 참여하는 협력업체 입장에서는 관계적 자본의 축적이 지속가능경영의 핵심축이 될 수 있다. 파트너 간의 선순환적 관계는 개별 기업의 역할에 대한 평가가 공정하게 진행될 때야 지속될 수 있다. 평가의 공정성을 통해 호혜적 기대감이 증대되면 상대방에 대한 학습과 적응의 사이클이 반복된다(Reuer et al., 2002). 이런 과정에서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에 특화된 자산이 늘어나고 쌍방간의 의존도도 증대된다. 평가가 공정하지 않을 때 공급망 참여기업이 지각하는 인센티브 제도는 주도기업의 의도와는 달리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참여기업에 대한 평가는 적정하나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혜택의 유의성이 낮아도 문제가 될 것으로 보고 다음 가설을 제시한다.

    H4 : 프로젝트 공급망을 이끌어가는 주도기업의 협력업체에 대한 평가 공정성은 협력업체가 지각하는 인센티브 제도의 유용성 수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기술력이 뛰어난 협력업체에게 프로젝트의 일부를 아웃소싱 한다는 것은 프로젝트 진행상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그만큼 구조화되고 통합된 의사결정과 액션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책임도 따른다. 한편 공급망 참여기업 입장에서는 자사 보유자원의 최적 활용을 도모하고자 노력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시 지연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추가적 자원할당과 이로 인한 비용에 대해 상당한 부담을 느끼게 된다. 특히 프로젝트 사업 자체가 일회성일 가능성이 높고 협력업체에 요구하는 기술이나 아이템을 가까운 시간 안에 반복적으로 구매할 가능성도 낮기 때문에(Li & Wang, 2007). 적절한 인센티브나 동기가 부여되지 않으면 SCM 운영의 성과가 기대 이하일 수도 있다.

    H5 : 프로젝트 공급망을 이끌어가는 주도기업이 제공하는 인센티브 제도의 적절성은 SCM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한편 흡수능력의 제고는 경쟁우위(Cohen and Levinthal, 1990), 혁신(Stock et al. 2001), 기업의 성과(Lane et al. 2001)로 나타나는데, 거시적으로는 흡수능력 증대는 기업의 기대수준을 높이고 기업이 보유하는 테크놀로지의 발전방향이나 전망에 대해 보다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다(Cohen and Levinthal, 1990). 흡수능력의 증대는 협업을 위한 노력과 업무 조율의 필요성을 줄여준다. 공동수주의 성공가능성 제고나 수주 후 프로젝트 리드타임 단축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협업체계가 필요한데, 이는 쌍방 간 장기적 협력관계, 경영의사결정 및 행위의 투명성, 파트너 간의 다양한 지식공유 연결망 등의 전략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흡수능력 제고를 전제로 한다. 이런 측면에서 다음 가설을 제안한다.

    H6 : 프로젝트 공급망 참여기업의 흡수능력은 협업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7 : 프로젝트 공급망 참여기업의 흡수능력은 SCM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H8 : 프로젝트 공급망 참여기업의 협업의 질은 SCM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설문항목의 개발은 설문자료의 수집은 기술력 위주의 대형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이루어 질 계획이다. 프로젝트를 이끌고 가는 기업을 XX기업이라 표기하고 이 기업과 설문대상업체(공급망 참여기업) 간의 관계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한글키워드
  • 흡수능력, 인센티브, 협업, SCM성과, 프로젝트, 협력업체 개발,흡수능력, 인센티브, 협업, SCM성과, 프로젝트, 협력업체 개발
  • 영문키워드
  •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Incentive Benefit, Project-based Supply Chain, supplier development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Incentive Benefit, Project-based Supply Chain, supplier development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의 공급망관리는 입찰 및 수주, 협력업체의 선정, 계약체결부터 시작하여 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협력업체와의 협업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유형의 공급망에 참여한 바 있는 협력업체들의 공급망 관련 성과를 최종 종속요인으로 설정하고, 흡수능력, 협력업체 평가의 공정성, 협업의 질 및 인센티브 등과 같은 주요 선행요인 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공급망에의 참여실적이 있는 기업들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통계적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협력업체들의 공급망 성과는 인센티브, 흡수능력 및 협업의 질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협력업체 평가공정성은 인센티브와 흡수능력에도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인센티브는 유의수준 5%에서 흡수능력 증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통계적 결과가 도출되었다.
  • 영문
  • Supply chain management for engineering project focuses on planning acquisitions, identifying and choosing the right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planning and negotiating appropriate contracts, and administering the collaboration with the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determinants of SCM performance of the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based supply chain. This study proposes the absorptive capacity, fairness of suppliers' evaluation,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and incentives as major research variables, and collected the survey responses from the suppliers and subcontractors having experiences with major engineering projects. The statist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incentives, absorptive capacity and the quality of collaboration influence SCM performance of suppliers, and that the fairness of suppliers' evaluation has some impact on the incentives and the absorptive capacity. But on the contrary to our expectation, the incentives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the level of absorptive capacit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관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라고 평가할 수 있다(Parrod et al., 2007) 특히 공급망 참여기업들의 흡수능력, 공급망 참여의 동기유발․인센티브요인, 통합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공유정보의 속성 그리고 이와 같은 선행요인으로 인해 그 수준이 결정될 수 있는 협업의 질과 SCM성과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미진한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흡수능력, 공급망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시스템 및 동기유발요인, 협력업체 개발과 평가, 기회주의적 행동의 유발요인 등의 상호연관관계에 대해 공급망 참여기업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를 통해 심도 깊게 분석해보고자 하였다.설문자료의 수집은 글로벌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대형 엔지니어링 및 중공업기업들을 공급망 주도기업으로 설정하고 이들 기업과 협력관계에 있는 기업들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프로젝트를 이끌고 가는 기업을 설문지 상에서 XX기업이라 표기하고 이 기업과 설문대상 협력업체 간의 관계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을 첨부한 400통 이상의 메일을 2차에 걸쳐 해당 기업의 최고경영자나 기획담당부서에게 보내어 모두 131개의 설문자료를 받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의 주된 통계분석도구는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법이다. 실증분석 결과, 협력업체들의 프로젝트 공급망을 통해 증대될 수 있는 흡수능력은 협력업체 평가의 공정성(H1)에 의해 영향을 받지만, 연구가설 설정 단계에서 기대했던 바와는 달리 인센티브(H2)는 흡수능력 제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망을 통한 흡수능력의 제고는 공급망 네트웍에 참여하지 않는 일반 기업과는 달리 공급망 주도기업의 협력업체 개발전략과 공정한 협력업체 평가과정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게 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공급망에 참여하는 협력업체 입장에서 평가 공정성은 공급망을 통한 신뢰 구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관계적 자본 축적을 통해 상생과 지속가능경영의 핵심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센티브가 흡수능력 제고의 선행요인일 것이라는 가설(H2)은 유의수준 5%에서 기각되었지만, p값이 6.7% 정도로 약하나마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인센티브 제도가 존재하더라도 실제 경험 축적을 통해 유효성이 확인되고 흡수능력 증대를 통한 경쟁력 강화와 SCM성과가 평가과정으로 거쳐 인센티브 제고로 이어지는 선순환 사이클이 구체적으로 확인되는 과정을 거쳐야 그 관계가 더욱 명확해 질 것으로 사료된다. 협력업체 평가의 공정성(H3)이 인센티브 제도의 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것이라는 가설이 수용된 것도 이를 뒷받침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협력업체의 SCM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가설 검증결과를 살펴보면, 인센티브(H4), 흡수능력(H6) 및 협업의 질(H7) 모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SCM 성공의 핵심은 이해관계자간의 정보공유와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실시간 의사소통을 통해 현실화되는데, 이런 과정은 적절한 인센티브가 뒷받침하지 않으면 구체화되기 쉽지 않다. 협력업체가 하더라도 경쟁력 강화와 투자에 대한 보상 및 성과공유에 대한 기대 없이는 공급망만을 위한 특이자산에 투자를 감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흡수능력과 협업의 질은 당연히 SCM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협력업체의 경쟁 및 수주 환경관련정보의 수집, 조직 내부에서의 공유와 확산, 공급망 주도업체와의 기술정보 교류 및 활용 등의 흡수능력은 사업 진행과정에서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현장 대응력 제고로 이어져 SCM 관련 KPI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흡수능력은 SCM성과에 직접적인 영향(H6)을 미치기도 하지만, 협업의 질(H5) 제고를 통해 SCM성과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수능력 제고과정에서 나타날 수밖에 없는 공급망 주도기업과의 교류와 사회적 자본축적은 협업 및 협업관계의 질 개선으로 이어지고 이는 다시 SCM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우선, 본 연구의 대상이 된 프로젝트 주도기업이 소수에 불과하고 EPC 산업에 참여하는 기술 중심의 프로젝트에 집중되어 있으며, 표본 간의 특성 차이도 커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나은 일반화된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여러 유형의 프로젝트와 다양한 주도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영향변수들 이외에도 협력업체의 SCM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많을 것이다. 다양한 선행요인을 포함한 실증연구가 요구된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관리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단계이다. 프로젝트 유형의 사업에서 주도기업과 협력업체간 통합의 전략적 중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공급망 내에서의 흡수능력의 전략적 역할, 인센티브와 협업의 질 등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프로젝트가 점점 더 복잡해가고 고도의 기술력을 요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면서 공급망에 참여하는 협력업체들과의 지속적 의사교환과 정보공유를 통한 흡수능력 제고는 프로젝트의 성공에 더욱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국내 연구의 경우 프로젝트 공급망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아직 찾아보기 힘들며, 정보공유 및 협업, 흡수능력, 동기화 등에 대한 인센티브 유형, 이들 인센티브 요인들이 기술력 위주의 프로젝트 공급망의 성과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인 실증연구도 진행된 적이 없다.
    본 연구는 이런 측면에서 협력업체의 공급망 참여의 동기유발요인(일종의 인센티브), 공급망 통합을 위한 협력, 동기화(synchronization)의 구성요소, 협력업체의 흡수능력 등을 선행요인으로 하는 프로젝트 공급망에 대한 최초의 실증적 연구라고 평할 수 있다. 더불어 프로젝트 공급망에서의 이론은 보다 느슨한 협업관계를 유지하는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간의 공급망 운영에도 손쉽게 확장․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는 프로젝트 기반의 공급망의 운영을 위한 핵심요소인 인센티브 디자인, 협력업체의 평가와 VOC (Voice of Customer), 흡수능력과 협업의 질 등에 대한 이론은 관련분야의 연구를 한 단계 제고시킬 수 있다는 학술적 기여도 외에도, 산업연관 효과 매우 높은 관련 업계의 국제적 경쟁력의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운영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는 측면에서도 상당한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기술력 입증이 입찰성공의 핵심요인이 되면서 프로젝트 공급망에는 다양하면서도 특화된 기술력을 보유한 협력업체들의 참여비율이 점점 더 높아지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주도기업은 입찰과 입찰 성공후의 프로젝트 진행계획 및 자금조달․운영을 책임질 뿐 실제 디자인, 기술개발 및 시공은 프로젝트 공급망에 참여하는 수많은 협력업체들이 이끌어가는 형태가 진행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 도출될 수 있는 프로젝트형 공급망의 협업과 흡수능력 증대에 관한 이론은 이들 기업군에게 상생을 위한 전략적 가이드라인으로 당장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요타 리콜사태에서 나타난 공급망의 취약성은 공급망 참여에 대한 협력업체의 동기유발요인, 정보공유와 협업, SRM 등의 중요성과 지속적 협력체계를 통한 흡수능력 제고에 대한 필요성을 여실히 드러내는 사례라 할 수 있다.
  • 색인어
  • 공급망의 성과, 협업, 인센티브, 흡수능력, 평가 공정성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