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북한 군대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다중적 동태분석(1948~2012)
The Multiple Dynamic Analysis on the Social Role of North Korea Army(1948~2012)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1021252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2 년 (2012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김용현
연구수행기관 동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 정전협정 60년, 북한군의 총체적․동태적 접근을 통한 군의 사회적 역할 연구

    □ 본 연구는 기존 북한의 군(軍)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군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정전협정 60년이 되는 내년, 북한군은 여전히 잠재적, 상황적 안보 위협 요소로 이를 연구하는 것은 시기적, 학술적으로 중요하다.
    □ 우선, 현재까지 북한군에 대한 학술적 연구경향 및 성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고 북한군이 건군 후 2012년에 이르기까지 사회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2)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자료 발굴 및 DB 구축

    □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북한군에 대한 사회적 역할 자료를 발굴하고 수집하여 체계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로동신문』을 비롯한 북한의 주요 7대《학술지》인『경제연구』,『근로자』,『력사과학』,『조선문학』,『조선예술』,『철학연구』,『청년문학』등을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책임자가 재직 중인 대학연구소가 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과제인 『로동신문』과 북한《학술지》에 대한 전반적인 DB구축을 해놓았기 때문에 본 연구과제에서 진행하는 DB구축은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다.
    □ 이는 북한군에 대한 자료들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열거하여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요소들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관련 문헌들과 일부 인터뷰 자료들을 교차 분석하여 영역별 분류표를 만들어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위함이다.
    □ 자료 수집을 통한 DB 구축은 첫째,『로동신문』에 나타난 북한군에 대한 기사 분석, 둘째, 북한《학술지》의 논문 분석, 셋째, 북한의《문학작품》속에 나타난 군인들의 삶의 모습, 표상을 통해 군의 사회적 역할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로동신문』에 대한 기사분석이다. 언론, 특히 신문은 그 어떠한 자료보다 우선하여 당시 상황을 분석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북한 언론을 대표하는『로동신문』에 나타난 군의 모습 분석은 북한군에 대한 사회적 역할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 북한에서 발행하는《학술지》는 북한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자료에 속한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대표하는《학술지》분석을 통하여 북한군이 실질적으로 북한 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동태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 끝으로 북한의《문학작품》에 나타난 군인의 모습을 보고자 한다. 문학이라는 것은 논픽션으로 현실과 다른 이야기를 그리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그 속에서도 일정부분 픽션의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문학작품》을 분석하는 것은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을 연구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3) 자료구축을 통한 군의 전반적 활동 메커니즘, 군과 민의 관계 유형화

    □ 본 연구는 북한군에 대한 자료를 수집․정리․DB화하고, 나아가 군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즉, 군이 단순히 국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현상에서 탈피하여 사회전반에 걸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모델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군에 대한 연구를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하고 군의 사회적 역할이나 기능, 참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러한 군의 역할은 당과 국가기구 및 엘리트의 위상변화에 따라서도 변화하며 북한이 처한 대내외적 환경의 관계에서도 달라진다. 군대는 상명하달(上命下達)을 통한 명령체계가 명확한 집단이기 때문에 위로부터의 변화와 연계 혹은 병행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군과 민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군의 전반적인 활동 메커니즘을 유형화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4) 선군(先軍)에 대한 미시적 탐구 및 객관적 전망

    □ 기존 북한 선군에 대한 연구는 선군에 대한 이론적 해석, 선군으로 인한 군의 위상 변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러한 선군에 대한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것은 군인들의 삶에 대한 위상 변화 등을 연구에서 제외하여 왔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선군에 대한 분석에서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북한이 선군에 대한 주장으로 인한 북한 군인에 대한 삶의 변화와 위치, 사회적 역할변화에 대한 미시적 연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 기대효과
  • 1. 연구주제의 기대 효과

    1) 북한군에 대한 거대담론 분석을 탈피한 최초의 시도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대부분을 차지한 군의 역사, 북한 핵문제, 선군 정치에서 군의 역할 등 북한군에 대한 거대담론 분석을 탈피한 최초의 연구이다.
    □ 즉, 북한군의 거대담론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그동안 간과되었던 북한군의 미시적 접근을 통해 군이 북한 내부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 지를 보는 것이다.
    □ 이를 통해 북한에서 군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위치에 있으며, 북한 내부사회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2) 북한 군인들의 삶과 사회적 역할을 분석하는 시도

    □ 일반적인 군의 모습은 국가 원수를 정점으로 하는 위계질서의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군인의 삶 역시 그들의 복지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만으로는 군인들의 삶을 파악하는 것에는 일정부분 무리가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정책중심의 연구에서 탈피하여 북한 군인의 진정한 삶은 무엇이며 그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생활하는지를 보고자 한다. 이는 북한군을 연구하는데 있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3) 북한군에 대한 사회적 역할을 분석하는 시도

    □ 본 연구는 그동안 북한군에 대한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이다. 즉, 북한군은 국방의 의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 분야에서 역할을 하고 있다.
    □ 6.25전쟁 발발로 인한 전후 복구 시기에 군은 도로 복구 등 사회 기반시설에 우선적으로 동원되었다. 또한 농번기 때에는 농촌으로 내려가 농사일을 돕거나, 수해가 날 경우 복구 작업에 우선적으로 투입되는 것 역시 군의 역할이다.
    □ 이러한 역할은 기존 국가에서도 보편적으로 벌어지는 방식이지만 북한사회의 특성상 군의 사회적 역할이 기존 국가와 동일시 할 수 있는 가에 대한 명확한 설명력을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을 분석하는 것은 기존의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방식이다.


    2. 연구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 DB 자료의 다양한 활용 : 6.25전쟁이 발발한지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북한 연구 자료를 정리하고 DB로 구축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활용가치가 대단히 높다. 특히 군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자료 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는 사안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 학문적 담론의 활성화 : 북한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성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군의 사회적 역할을 발굴하고 규명하는 것은 학문적 깊이를 다양하게 하고 학문적 담론을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한다.
    □ 군의 활용을 통한 북한체제의 객관적 전망 : 본 연구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향후 군의 활용여부를 예측하고 나아가 북한체제의 객관적인 전망을 가능하게 한다.
    □ 대북정책 수립에 기초자료 제공 :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DB는 북한군의 역할에 관한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유관 정보기관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1. 연구의 필요성

    1) 1990년대 이후 북한 사회 변화에 따른 북한군에 대한 연구영역 확대의 필요

    □ 1990년대 북한 사회는 경제난으로 인한 체제위기와 이에 따른 사회적 기능약화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에 대한 결과물로 2002년 7․1경제관리 개선 조치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기존 계획경제에서 한발 나아가 시장경제적 요소를 도입하는 것으로 이는 사회적으로 많은 역할 변화를 가져왔다.
    □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군인에 대한 역할도 변화하게 하는 구조적 동인으로 이어진 측면이 강하며 이는 북한군에 대한 연구영역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제위기로 인한 사회적 역할 변화에 따른 북한군과 북한 군인의 역할확대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영역을 확장하고자 한다.

    2) 북한군의 사회적 기능 분석을 통한 북한군에 대한 연구의 심화

    □ 그동안 학술적으로 군 관련 연구는 군의 정치적 역할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군 본연의 목적이 국방이라고 할 때 군의 정치적 역할에 관한 연구는 군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주제가 군 전체의 설명력과 통찰력을 담보한다고 볼 수 없다.
    □ 군에 대한 연구에서 그동안 간과하고 있는 사회적 역할은 이러한 군에 대한 단편적이고 일차적인 연구에서 탈피하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북한군에 대한 연구의 시각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3) 북한군에 대한 거대 담론 속 군인들의 삶에 대한 연구

    □ 일반적으로 군대는 상명하복의 일사 분란한 체계를 갖추고 있지만 그 속의 삶은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만약 북한의 군이 일사분란하게 움직이는 조직이라면 탈북자가 발생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군인들이 결코 적지 않은 숫자가 탈북하고 있는 상황은 군 내부에도 다양한 삶의 모습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따라서 군인의 삶에 대한 연구는 북한군에 대한 연구시각을 다양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고, 북한군에 관한 연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북한 자료가 균형적인 시각과 내용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DB구축을 통해 행간의 의미를 비판적으로 파악한다면 보다 더 다양한 의미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4) 북한 사회에서 군의 위치 설정 및 군에 대한 모델 유형화

    □ 큰 틀에서 북한군은 '인민의 군대-당의 군대-수령의 군대'라는 역사적 과정을 거쳐 왔다. 그러나 정치․경제․사회문화적으로 군의 위치는 위의 과정과 일정하거나 일치하는 것인가에 대한 세부적 연구는 미진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 자료 구축을 통해 북한군을 동태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역사적으로 군의 위치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시기적으로 군에 대한 역할을 유형화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 즉, 단순히 사건의 나열 및 설명이 아니라 지도자의 의지와 군 정책을 통한 군의 역할과 사회 참여를 면밀히 분석해 군에 대한 모델을 유형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1) 연구의 분석틀

    □ 본 연구는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기법을 모색하고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로동신문』과《학술지》,《구술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로동신문』,《학술지》,《구술자료》를 상호유기적인 교차 분석을 통해 각 부분에서 잘못된 점을 분석하고, 차이점은 교차분석을 통해 걸러내는 상호 교차 분석을 진행 할 것이다.

    2) 자료 조사 및 DB 구축 방법

    □ 수집된 자료는 엑셀(excel) 작업을 통해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4개 분야로 분류하고 또 다시 하위영역으로 세분화하여 DB구축을 진행하고자 한다.『로동신문』과《문학작품》의 경우 군 관련 특정 키워드를 선정해 기사와 도서제목을 추출하고,《학술지》는 전 목차에 대한 검토 작업을 실시하고자 한다.

    3) 분석방법

    □ 우선 북한 군사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분석의 경향들을 정리한다. 이를 통해 북한 군사에 대한 연구경향과 북한군 정책에 관한 정책을 정리한다. 둘째, 북한 군인의 삶을 연구한다. 북한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는 많은 부분에서 연구가 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 군인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북한 군인들의 삶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셋째, 북한군의 사회지원에 대한 연구이다. 일반적으로 군은 국방의 의무로서 역할을 하나 그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많은 부분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군의 사회지원에 대한 분야별 검토를 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앞의 세 부분의 정리를 통해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을 유형화 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통상 국가에서 군대의 역할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여러 형태로 나눌 수 있지만 크게 군사적 역할과 사회적 역할로 나눌 수 있다. 군사적 역할은 군의 기본임무이다. 반면, 사회적 역할은 국가 안보의 수호나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군의 직접적인 존재 이유와 관련이 적다. 그래서 군의 사회적 역할은 대체적으로 어느 국가를 막론하고 부차적인 것으로 여긴다.

    ■ 2011년 김정일 사망 후 김정은 시대에도 북한은 무력 증강에 나서고 있다. 한편, 북한 군대는 경제건설 등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렇지만 시기별로, 내용별로 북한 군대의 사회적 역할은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시기에 북한 군대의 사회적 역할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은 학술적, 정책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 북한으로의 현지 조사 및 정보 수집이 어려운 상황에서 이 연구는 북한 군대 창설 이후 현재까지 국내에서 입수 가능한 북한 자료를 검토하였다.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은 북한 군대의 사회적 역할을 역사적으로 분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탈북자 인터뷰는 최근 북한 군대의 역할을 살펴보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했다.

    ■ 이 연구는 1948년부터 2012년까지의 방대한 기간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연구의 <1차년도>는 1948년부터 조선노동당 제6차대회가 진행된 1980년까지로 하였다. <2차년도>는 1981년부터 2012년까지로 하였다. <1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북한 사회는 국가건설, 한국전쟁, 전후복구, 국방-경제 병진노선과 수령의 유일체제를 경험하였다. 북한 군대는 인민과의 협조 속에서 주로 농업과 건설 분야에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국방과 경제의 동시 발전이라는 정책 과제가 주어지면서 북한 군대는 본연의 임무인 군사적 역할에 충실하였다.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1980년대에 북한 군대는 본래의 임무 외에 건설 현장 등에 투입되었다. 1990년대 ‘고난의 행군’이라는 위기 상황 속에서는 주로 농업 분야에 매진하였다. 북한 자료를 보면, 2000년대 이후에는 과거에 비해 건설업, 농업, 광업, 일상에서의 봉사활동 등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군대의 역할이 두드러진다. 또한 하나의 모범적인 사례로서 군인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 영문
  • ■ Usually the role of a nation’s military can be divided into many categories by the nation’s conflicts of its time, but a military’s role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its military and social roles. The military role of the military is its primary role.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role of the military has little relation with the direct reason for a military to exist, which is to uphold homeland security and to protect its nation’s citizens and property. Therefore, regardless of the nation, the social role of a nation’s military is a secondary role in comparison.

    ■ In 2011, after the death of Kim Jong-il, continuing into the Kim Jong-un era, North Korea is still in pursuit of increasing its military power. On the one hand, the North Korean military plays a crucial role in building its nation’s economy etc. However, there is little knowledge regarding the specifics of the North Korean military’s social role broken down by time period. At this time, from an academic and political policy point of view,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comprehensively scrutinize and analyze the North Korean military’s social role.

    ■ Because it is difficult to obtain local data and gather meaningful intel from North Korea, this study has reviewed all the data that could be gathered from the creation dat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to the present date. The North Korean leading party’s 『Rodong Newspaper』 has been instrumental in analyzing the historical social rol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In addition, interviews with defectors of North Korea have provided valuable insights into the current rol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 Because this study covers a broad period of time, from the year 1948 to 2012, it designates the period from 1948 to the Workers' Party of Korea’s 6th Congress in 1980 as the <First Period>.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years 1981 to 2012. Looking into the research of the <First Period>, this period shows North Korea experiencing an age of nation building, the Korean War, postwar recovery, ‘Byungjin Nosun’, which mandated the “parallel development of nuclear weapons and the economy” and the ‘One Dictator Ruling Party System’. The North Korean military fulfilled its social role through cooperating with the North Korean civilian population in both the agricultural and construction areas. However, once the policy to simultaneously develop the economy and national defense capabilities was mandated, the North Korean military once again heavily fulfilled its primary military defense role. Looking into the research of the <Second Period>, the North Korean military, in additional to its primary military role, was deployed to help at construction sites etc. in the 1980’s. Then in the plight of North Korea’s ‘Arduous March’ in the 1990’s, the military mainly focused on helping out in agricultural areas. According to historical data from North Korea, the rol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in the post 2000 years, compared to those of the past, is heavily noticeable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construction, agriculture, mining, and everyday community service etc. This exemplary role of the North Korean Army emphasizes the role that a nation’s military can fulfill.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1) 북한군의 총체적․동태적 접근을 통한 군의 사회적 역할 연구

    □ 본 연구는 기존 북한의 군(軍)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군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현재까지 북한군에 대한 학술적 연구경향 및 성과들을 체계적으로 정리․분석하고 북한군이 건군 후 2012년에 이르기까지 사회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 북한군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자료 발굴 및 DB 구축

    □ 이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북한군에 대한 사회적 역할 자료를 발굴하고 수집하여 체계화시킴과 동시에 이를 총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로동신문』을 중심으로, 북한의 주요《학술지》등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책임자가 재직 중인 대학연구소가 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 과제인 『로동신문』과 북한《학술지》에 대한 전반적인 DB구축을 해놓았기 때문에 본 연구과제에서 진행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강점이 있다.

    □ 이는 북한군에 대한 자료들을 단순히 병렬적으로 열거하여 수집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요소들을 기능별로 분류하고, 관련 문헌들과 일부 인터뷰 자료들을 교차 분석하여 영역별 분류표를 만들어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것은『로동신문』에 대한 기사분석이다. 언론, 특히 신문은 그 어떠한 자료보다 우선하여 당시 상황을 분석하는데 좋은 자료가 된다. 따라서 북한 언론을 대표하는『로동신문』에 나타난 군의 모습 분석은 북한군에 대한 사회적 역할을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이다.

    3) 자료구축을 통한 군의 전반적 활동 메커니즘, 군과 민의 관계 유형화

    □ 본 연구는 북한군에 대한 자료를 수집․정리․DB화하고, 나아가 군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군이 단순히 국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현상에서 탈피하여 사회전반에 걸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모델로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군에 대한 연구를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하고 군의 사회적 역할이나 기능, 참여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군의 역할은 당과 국가기구 및 엘리트의 위상변화에 따라서도 변화하며 북한이 처한 대내외적 환경의 관계에서도 달라진다. 군대는 상명하달(上命下達)을 통한 명령체계가 명확한 집단이기 때문에 위로부터의 변화와 연계 혹은 병행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군과 민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군의 전반적인 활동 메커니즘을 유형화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4) 선군(先軍)에 대한 미시적 탐구 및 객관적 전망

    □ 기존 북한 선군에 대한 연구는 선군에 대한 이론적 해석, 선군으로 인한 군의 위상 변화 등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 이러한 선군에 대한 연구에서 간과하고 있는 것은 군인들의 삶에 대한 위상 변화 등을 연구에서 제외하여 왔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선군에 대한 분석에서 그동안 시도하지 않았던 북한이 선군에 대한 주장으로 인한 북한 군인에 대한 삶의 변화와 위치, 사회적 역할변화에 대한 미시적 연구에 초점을 맞췄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DB 자료의 다양한 활용 : 6.25전쟁이 발발한지 60년이 지난 현재까지 북한 연구 자료를 정리하고 DB로 구축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활용가치가 대단히 높다. 특히 군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자료 자체가 많지 않기 때문에 북한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학문적 담론의 활성화 : 북한군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성과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군의 사회적 역할을 발굴하고 규명하는 것은 학문적 깊이를 다양하게 하고 학문적 담론을 활성화 하는 데 기여한다. 차후 이를 토대도 보다 확대하여 군의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대북정책 수립에 기초자료 제공 :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DB는 북한군의 역할에 관한 체계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유관 정보기관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결과적으로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북한 군 사회참여 사례의 컨텐츠 제공 :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등을 통해 본 연구에서 수행한 성과를 DB로 구축하여 북한 군 사회참여의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초․중등, 대학교의 사회관련 교과목 수업에 부교재 등으로 적절한 활용이 가능하다.

    □ 통일교육에 활용 : 무엇보다 올바른 통일 및 대북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한 지금 군의 사회적 역할 사례는 북한 사회의 현실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주는 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탈북자, 북한 전문가 등이 대중강연, 심포지움, 학술회의의 참여에서 본 연구 결과물의 구체적인 자료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국민들이 북한을 정확히 인식하고 접근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 색인어
  • 조선인민군 ,김일성 시대, 김정일시대, 사회적 역할 , 전후 복구 , 경제 , 국방 병진노선, 대민봉사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