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세책본 소설 낙서의 수집, 유형 분류, 의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ntal Library Manuscript Scribbling collection, Type classification, Meaning analysi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학문후속세대양성(박사후국내연수)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1023792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7월 01일 ~ 2013년 06월 30일)
연구책임자 유춘동
연구수행기관 서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과제는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낙서를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하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세책과 세책점은 대략 18세기에 등장하여 20세기 초까지 번성했다. 이후에는 대본(貸本)의 형태를 달리하여 계속 영업하였다. 세책과 세책점이 이처럼 번성하게 된 이유는 서민층의 소설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세책점에서는 소설 독자들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소설뿐만 아니라 중국소설을 번역하여 대여했고, 노래책, 한적(漢籍)도 제공하였다. 따라서 세책과 세책점에 대한 연구는 문학사적이나 소설사적인 측면에서 소설의 확산에 따른 텍스트의 생성 및 변형 등을 규명해 낼 수 있고, 독자-사회학적인 측면에서는 소설 독자의 의식,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대중문화의 생성을 규명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지닌 세책과 세책점에 대한 연구는 다른 영역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대단히 미진한 편이다.
    최근까지의 연구 경향을 보면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세책본의 현대역과 주석 작업이 이루어졌고, 세책 총량의 파악, 그리고 몇몇 작품을 대상으로 한 의미 부여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세책과 세책점의 의미를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러나 세책의 텍스트만을 연구 과제로 제시했을 뿐, 세책본 소설이 유통되면서 일어난 중요한 특징이나 의미 등을 다루지 못했다. 그 중의 하나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의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규명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대여자들의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은 개인이 소장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주고 책을 빌리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여자는 세책본 소설을 단순히 읽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세책본 소설에 다양한 낙서를 남겨 놓았다. 세책본 소설의 낙서는 단순히 글자를 몇 자 적어놓은 것에서부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 책에 대한 비난과 같은 세책본에 대한 불만도 있고, 당대의 유행가,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자신의 소회와 같은 당대 대중 문화나 비평 의식도 있으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이나 성(性)에 대한 것들 있다. 이 낙서들은 세책본 소설 독자의 소통 문제, 독자들의 의식이 담겨있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세책본이 단순히 텍스트로서만 다룰 것이 아니라 대중의 취향, 당대 문화 지형을 함께 고려해서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해준다.
    본 연수의 목적은 바로 이 점에 있다. 연구자는 세책본 소설의 낙서를 수집, 유형 분류를 통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더 나아가 독자들의 내면 의식 등을 탐색하며, 세책점의 실상 또는 독서 문화, 그리고 당대 사람들의 내면 풍경 등을 분석할 것이다. 이는 문학사와 고소설사에서 중요한 지점을 새로 규명하는 작업이며, 당대 독자들의 취향과 문예의식, 대중문화의 탐색을 통해 당시 문화 지형을 밝히는 것이다.
  • 기대효과
  • 본 연수는 우리 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중요한 대상인 세책본 소설의 낙서를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하여, 당대 독자들의 의식과 취향을 분석하여 당대 소설의 위상을 확인하며, 나아가 20세기 초 대중의 문화 지형을 정립하는데 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활용방안과 기대 효과가 예상된다.
    1. 세책본 소설의 특성과 성격
    2. 세책본 소설 낙서를 통해본 독자 의식
    3. 당대 독자들의 성향과 문화 지형
    4. 19~20세기 초 독자들의 취향과 문화 지형
    5. 기타 장르와의 연계를 통한 예술성, 대중성
    이런 결과를 통해 우리 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중요한 시기인 19세기~20세기 초의 소설의 유통 양상, 나아가 독자의 취향과 문화 지형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한다.
    ▶ 제1과제 : 세책본 소설 낙서의 수집, 유형 분류
    현재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세책본 소설은 68종이다. 이중에서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일본 동양문고에 31종, 경도대에 11종, 이화여대에 9종, 서울대에 7종, 고려대에 2종, 연세대에 6종,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종 등이다. 이외에도 목록으로만 전하는 것, 일본 동경대학 오구라문고(小倉進平)에는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세책본 자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연수자는 이 자료 중에서 실물로 확인되는 자료를 대상으로 면밀한 분석 작업을 통하여 낙서 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유형 분류를 병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세책본 소설 각 작품에 남아있는 낙서의 유형을 체계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세책본 소설 낙서의 실상은 명료하게 밝혀질 것이다.
    ▶ 제2과제 : 세책본 소설 낙서에 대한 의미 분석, 이를 통한 대중의 취향과 문화 지형의 파악
    제2과제는 제1과제의 후속 작업이다. 제1작업에서 선정된 낙서의 대표적인 유형 등을 대상으로 이들 낙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탐색한다. 낙서 중에서도 작품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것, 유행가와 잡가, 당대 유랑 연예인의 언급과도 같은 당대 대중문화 파악에 집중한다. 이를 통해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면서 변화한 독자의 취향과 함께 20세기 초 문화 지형 규명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낙서의 대표적인 유형 선정, 유형 선정에 따른 의미 부여, 세책본 소설 독자들의 취향, 의식, 당대 문화 지형의 규명을 파악해 볼 수 있다.
  • 연구요약
  • 세책본 소설의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규명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대여자들의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의 낙서는 단순히 글자를 몇 자 적어놓은 것에서부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 책에 대한 비난과 같은 세책본에 대한 불만도 있고, 당대의 유행가,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자신의 소회와 같은 당대 대중 문화나 비평 의식도 있으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이나 성(性)에 대한 것들 있다. 이 낙서들은 세책본 소설 독자의 소통 문제, 독자들의 의식이 담겨있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세책본이 단순히 텍스트로서만 다룰 것이 아니라 대중의 취향, 당대 문화 지형을 함께 고려해서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 과제의 목적은 바로 이 점에 있다. 연구자는 세책본 소설의 낙서를 수집, 유형 분류를 통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더 나아가 독자들의 내면 의식 등을 탐색하며, 세책점의 실상 또는 독서 문화, 그리고 당대 사람들의 내면 풍경 등을 분석할 것이다. 이는 문학사와 고소설사에서 중요한 지점을 새로 규명하는 작업이며, 당대 독자들의 취향과 문예의식, 대중문화의 탐색을 통해 당시 문화 지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제1과제는 세책본 소설 낙서의 수집, 유형 분류이다. 현재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세책본 소설은 68종이다. 이중에서 실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일본 동양문고에 31종, 경도대에 11종, 이화여대에 9종, 서울대에 7종, 고려대에 2종, 연세대에 6종,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종 등이다. 이외에도 목록으로만 전하는 것, 일본 동경대학 오구라문고(小倉進平)에는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세책본 자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연수자는 이 자료 중에서 실물로 확인되는 자료를 대상으로 면밀한 분석 작업을 통하여 낙서 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유형 분류를 병행할 것이다. 이를 통해 세책본 소설 각 작품에 남아있는 낙서의 유형을 체계화시키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세책본 소설 낙서의 실상은 명료하게 밝혀질 것이다.
    다음 제2과제는 세책본 소설 낙서에 대한 의미 분석, 이를 통한 대중의 취향과 문화 지형의 파악하는 일이다. 제2과제는 제1과제의 후속 작업이다. 제1작업에서 선정된 낙서의 대표적인 유형 등을 대상으로 이들 낙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탐색한다. 낙서 중에서도 작품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는 것, 유행가와 잡가, 당대 유랑 연예인의 언급과도 같은 당대 대중문화 파악에 집중한다. 이를 통해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가면서 변화한 독자의 취향과 함께 20세기 초 문화 지형 규명이 가능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세책본 소설이 우리 문학사와 소설사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그리고 19세기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의 우리나라 문화 지형에서 어떤 의의가 있는지를 탐색하게 될 것이다. 이는 단순히 세책이나 세책점에 대한 연구만이 아니라 소설의 향유와 문화적 취향, 독자의 의식, 대중적 기호 등을 밝히는 중요한 연구가 될 것이다.
  • 한글키워드
  • 세책본 소설, 세책본 소설의 낙서, 세책본 소설 낙서의 유형, 세책본 소설 낙서의 의미, 초기 대중문화
  • 영문키워드
  • Rental Library Manuscript , Rental Library Manuscript Scribbling collection, Rental Library Manuscript Type classification, Rental Library Manuscript Meaning analysis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낙서를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하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세책과 세책점은 대략 18세기에 등장하여 20세기 초까지 번성했다. 이후에는 대본(貸本)의 형태를 달리하여 계속 영업하였다. 세책과 세책점이 이처럼 번성하게 된 이유는 서민층의 소설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세책점에서는 소설 독자들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소설뿐만 아니라 중국소설을 번역하여 대여했고, 노래책, 한적(漢籍)도 제공하였다. 따라서 세책과 세책점에 대한 연구는 문학사적이나 소설사적인 측면에서 소설의 확산에 따른 텍스트의 생성 및 변형 등을 규명해 낼 수 있고, 독자-사회학적인 측면에서는 소설 독자의 의식,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대중문화의 생성을 규명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지닌 세책과 세책점에 대한 연구는 다른 영역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대단히 미진한 편이다. 최근까지의 연구 경향을 보면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세책본의 현대역과 주석 작업이 이루어졌고, 세책 총량의 파악, 그리고 몇몇 작품을 대상으로 한 의미 부여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세책과 세책점의 의미를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러나 세책의 텍스트만을 연구 과제로 제시했을 뿐, 세책본 소설이 유통되면서 일어난 중요한 특징이나 의미 등을 다루지 못했다. 그 중의 하나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의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규명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대여자들의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은 개인이 소장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주고 책을 빌리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여자는 세책본 소설을 단순히 읽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세책본 소설에 다양한 낙서를 남겨 놓았다.
    세책본 소설의 낙서는 단순히 글자를 몇 자 적어놓은 것에서부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 책에 대한 비난과 같은 세책본에 대한 불만도 있고, 당대의 유행가,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자신의 소회와 같은 당대 대중문화나 비평 의식도 있으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이나 성(性)에 대한 것들 있다. 이 낙서들은 세책본 소설 독자의 소통 문제, 독자들의 의식이 담겨있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세책본이 단순히 텍스트로서만 다룰 것이 아니라 대중의 취향, 당대 문화 지형을 함께 고려해서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바로 이 점에 있다. 연구자는 세책본 소설의 낙서를 수집, 유형 분류를 통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더 나아가 독자들의 내면 의식 등을 탐색하며, 세책점의 실상 또는 독서 문화, 그리고 당대 사람들의 내면 풍경 등을 분석할 것이다. 이는 문학사와 고소설사에서 중요한 지점을 새로 규명하는 작업이며, 당대 독자들의 취향과 문예의식, 대중문화의 탐색을 통해 당시 문화 지형을 밝히는 것이다.
  • 영문
  • This study is going to deal with Rental Library Manuscript Scribbling collection, Type classification, Meaning analysis. This theme Due to the difficulty of access to the book, people just presumed the contents.
    To help Rental Library Manuscript’s better understanding, we need to study this materials. This article is going to introduce and examine the contents of Rental Library Manuscript Scribbling as the introductory discussion for it and also deal with many implications related with i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낙서를 수집하고, 이를 유형화하며, 그 속에 담긴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세책과 세책점은 대략 18세기에 등장하여 20세기 초까지 번성했다. 이후에는 대본(貸本)의 형태를 달리하여 계속 영업하였다. 세책과 세책점이 이처럼 번성하게 된 이유는 서민층의 소설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세책점에서는 소설 독자들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소설뿐만 아니라 중국소설을 번역하여 대여했고, 노래책, 한적(漢籍)도 제공하였다. 따라서 세책과 세책점에 대한 연구는 문학사적이나 소설사적인 측면에서 소설의 확산에 따른 텍스트의 생성 및 변형 등을 규명해 낼 수 있고, 독자-사회학적인 측면에서는 소설 독자의 의식, 더 나아가 우리나라의 대중문화의 생성을 규명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연구 영역이다.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지닌 세책과 세책점에 대한 연구는 다른 영역의 연구와 비교해 볼 때, 대단히 미진한 편이다. 최근까지의 연구 경향을 보면 일본 동양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세책본의 현대역과 주석 작업이 이루어졌고, 세책 총량의 파악, 그리고 몇몇 작품을 대상으로 한 의미 부여만 있을 뿐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세책과 세책점의 의미를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다. 그러나 세책의 텍스트만을 연구 과제로 제시했을 뿐, 세책본 소설이 유통되면서 일어난 중요한 특징이나 의미 등을 다루지 못했다. 그 중의 하나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의 특성은 여러 측면에서 규명할 수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세책본 소설에 남아 있는 대여자들의 낙서이다. 세책본 소설은 개인이 소장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주고 책을 빌리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대여자는 세책본 소설을 단순히 읽기만 한 것이 아니라 세책본 소설에 다양한 낙서를 남겨 놓았다.
    세책본 소설의 낙서는 단순히 글자를 몇 자 적어놓은 것에서부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 책에 대한 비난과 같은 세책본에 대한 불만도 있고, 당대의 유행가, 시대적인 상황에 대한 자신의 소회와 같은 당대 대중문화나 비평 의식도 있으며, 세책점 주인에 대한 욕설이나 성(性)에 대한 것들 있다. 이 낙서들은 세책본 소설 독자의 소통 문제, 독자들의 의식이 담겨있다. 따라서 이 자료들은 세책본이 단순히 텍스트로서만 다룰 것이 아니라 대중의 취향, 당대 문화 지형을 함께 고려해서 살펴보아야 함을 시사해준다.
    이 연구의 목적은 바로 이 점에 있다. 연구자는 세책본 소설의 낙서를 수집, 유형 분류를 통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더 나아가 독자들의 내면 의식 등을 탐색하며, 세책점의 실상 또는 독서 문화, 그리고 당대 사람들의 내면 풍경 등을 분석할 것이다. 이는 문학사와 고소설사에서 중요한 지점을 새로 규명하는 작업이며, 당대 독자들의 취향과 문예의식, 대중문화의 탐색을 통해 당시 문화 지형을 밝히는 것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와 관련되어 현재까지 정리한 세책본 낙서는 다음과 같다.
    1. 일본 동양문고 31종
    2. 일본 경도대 11종
    3. 이화여대 9종
    4. 서울대 7종
    5. 고려대 2종
    6. 연세대 6종
    7. 한국학중앙연구원에 1종
    이를 대상으로 정리한 세책본 낙서의 대표적인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성에 대한 낙서
    2) 세책에 대한 불만
    3) 세책 주인에 대한 욕
    4) 대출자에 대한 욕
    5) 시대에 대한 정보: 서양 문물, 시대에 대한 자각 및 한탄
    6) 당대 유행가와 잡가
    7) 단순한 글씨 낙서 및 외국어 낙서들
    8) 편지 일부
    9) 세책점에 대한 정보
    10) 당대 유랑 연예인 및 기생에 대한 낙서( 이 자료들의 구체적인 실상은 논문과 단행본을 통해서 제시하기로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책본 소설의 성격 규명과 당대 위상 등을 확인하여 세책본 소설이 우리나라 소설사와 문화사에서 어떤 기여를 했는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세책본 낙서에 남아 있는 수많은 독자들의 낙서를 통하여 당대 독자들의 인식, 의식 등을 자세히 밝힘으로써 우리나라 소설의 유통 등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둘째, 대중들의 취향과 미적 성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세책본 소설을 당대 대중들은 어떻게 인식했고 향유했는지를 밝히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서사 문학사의 발전적 계승의 형태를 탐색하는 중요한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셋째, 학문간 학제간 연구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수의 결과는 단순히 소설 연구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사람들의 유흥 방식과 삶의 모습, 사회구조와 제도, 나아가 의식과 관련된 광범위한 부분을 담고 있다. 따라서 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수를 통해 밝혀진 자료를 중심으로, 분명하고 명료하게 당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규명해 낼 수 있을 것이다.
  • 색인어
  • 세책점, 세책본 소설, 세책본의 낙서, 세책점의 실상 조선후기의 대중문화, 조선후기의 독서문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