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가 진전될수록 정보격차는 사회참여 활동기회 및 삶의 질 저하로 이어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의 정보소외 혹은 정보격차 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부상할 전망이며,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하고 ...
정보화가 진전될수록 정보격차는 사회참여 활동기회 및 삶의 질 저하로 이어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의 정보소외 혹은 정보격차 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부상할 전망이며,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하고 지식정보사회의 적응력을 제고함으로써 이들의 ‘이중소외’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은 바로 ‘디지털복지’ 혹은 ‘정보복지’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정부에서는 이들 고령층에 대한 물질적 복지지원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정보복지의 실현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대책에는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즉, 정보취약 계층을 고려한 특화된 콘텐츠 지원, 정보취약 계층을 고려한 정보활동을 통한 공동체 참여 지원, 정보취약 계층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스마트 기기(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개발 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학제적 연구의 10년간의 궁극적인 연구의제(Mega-Agenda)는 SSK전략 아젠다(Top-Down Agenda)중의 하나인 ‘삶의 질과 행복’이며, 소주제(Semi-Topic)은 ‘정보화와 삶의 질’와 밀접한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으로 구체화하여, 우리나라에서 4대 정보취약계층 으로 분류되는 농어민 고령층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제를 크게 다음과 같이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하고자 한다. - 제1단계(Research Clan, 2012.9~2015.8)에서의 연구과제는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의 정보격차 요인 조사 및 분석’ - 제2단계(Research Cluster, 2015.9~2018.8)에서의 연구과제는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방안 설계 및 구현’ - 제3단계(Research Center, 2018.9~2022.8)에서의 연구과제는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 평가’
기대효과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여도 측면으로는, (1)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대규모 실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 (2)실제 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풍부한 기초자료 제공, ...
이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을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학문적 기여도 측면으로는, (1)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대규모 실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 (2)실제 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풍부한 기초자료 제공, (3) 학제적 연구에 바탕을 둔 정보격차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이 분야의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확산, (4)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인터넷, IT기술, 그리고 정보화 기술을 정보취약 계층인 고령층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쏠림 현상을 해소하는 방안에 대한 세계적인 주도권 유지, (5) 전 세계가 관심을 갖기 시작한 고령층 특화 정보통신 기기 개발에서 특허권 선점 기회
2. 사회적 기여도 측면으로는 (1)정보복지지도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이용자 뿐 아니라 잠재적 이용자와 예상 이용자들에게 정보격차 해소의 기회 제공함으로써 정보분배의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진정한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는데 일조, (2)고령층 특화된 콘텐츠의 통합관리로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와 이용자들에게는 One-stop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 (3)고령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센터가 운영되면 고령층의 이중소외(사회소외와 정보소외)와 우울증과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제공, (4)정부가 추진중인 실버IT산업육성과의 연계하여 고령층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부족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음, (5)한국형 고령층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정보활용이 기대되어 자발적인 사회 공동체 참여가 기대됨, (6)유럽과 북미 등 복지 선진국들처럼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노인들의 정보격차를 해소하려는 정책을 광범위하게 추진할 수 있는 시초, (7)일자리와 균등한 사회참여 기회를 제공하며 평생복지를 위한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보복지를 실현하여 고령층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일등 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됨
연구요약
앞서 연구목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나눠지며, 각 단계별 연구목표는 최종연구 목표인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이 맞춰있음
1. 제1단계(2012.9~2015.8)는 Research Clan수준으로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 ...
앞서 연구목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나눠지며, 각 단계별 연구목표는 최종연구 목표인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이 맞춰있음
1. 제1단계(2012.9~2015.8)는 Research Clan수준으로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요인조사 및 분석을 계획하고 있음. 이 단계에서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음: (1)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을 위한 특화된 콘텐츠 실태조사 및 이들의 정보요구 분석, (2)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을 위한 특화된 정보활동 실태조사 및 이들의 요구사항 분석, (3)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을 위한 특화된 스마트 기기 실태조사 및 이들의 요구사항 분석, (4)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의 정보추구 행위 분석, (5)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의 정보복지지도 작성, (6)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의 삶의 행복지수와 정보복지의 상관분석, (7) 우리나라 농어민 고령층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등
2. 제2단계(2015.9~2018.8)는 Research Cluster수준으로 제1단계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령층 맟춤형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설계하고 구현하는 단계임. 즉, 제1단계에서 이뤄진 조사/분석결과를 통하여 그 해결방안을 선택하고, 계획하고, 설계하고 구현하는 단계인데 이는 학제적인 접근 방법을 통하여 이뤄질 예정임
3. 제3단계(2018.9~2022.8)는 Research Center수준으로 제2단계 연구결과를 기초로 고령층의 정보격차 해소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평가하는 단계임. 즉, 제2단계에서 설계되고 구현된 맞춤형 콘텐츠, 특화된 정보활동을 통한 공동체 참여, 특화된 스마트 기기 사용 등에 따른 삶의 질 향상수준을 평가하고 만족도 평가 등을 통하여 정보격차 해소 방안을 개선하고 확대 보급하는 단계임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요인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정보격차의 차원을 콘텐츠 이용, 정보기기 이용, 정보활동 참여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령층으로 한정하였고, 거주지에 따라 샘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요인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정보격차의 차원을 콘텐츠 이용, 정보기기 이용, 정보활동 참여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우리나라 65세 이상의 노령층으로 한정하였고, 거주지에 따라 샘플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보고서에는 지난 2년간의 연구내용과 결과 그리고 연구성과등을 기술하고 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nalyse the factors of digital devide for the elder adults in Korea. We categorised the digital divide such as Contents Use, Digital Device Use, and Participation of Online activities. Over 65 years-old subjects were ...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nalyse the factors of digital devide for the elder adults in Korea. We categorised the digital divide such as Contents Use, Digital Device Use, and Participation of Online activities. Over 65 years-old subject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e method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In this report, we described what we conducted and what we achieved during last 2 years.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정보화가 진전될수록 정보격차는 사회참여 활동기회 및 삶의 질 저하로 이어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의 정보소외 혹은 정보격차 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부상할 전망이며,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하고 ...
정보화가 진전될수록 정보격차는 사회참여 활동기회 및 삶의 질 저하로 이어져 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의 정보소외 혹은 정보격차 는 심각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부상할 전망이며, 급증하는 고령인구의 정보 활용능력을 향상하고 지식정보사회의 적응력을 제고함으로써 이들의 ‘이중소외’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은 바로 ‘디지털복지’ 혹은 ‘정보복지’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우리정부에서는 이들 고령층에 대한 물질적 복지지원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나 정보복지의 실현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대책에는 다소 미흡한 실정임. 즉, 정보취약 계층을 고려한 특화된 콘텐츠 지원, 정보취약 계층을 고려한 정보활동을 통한 공동체 참여 지원, 정보취약 계층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된 스마트 기기(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개발 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학제적 연구의 10년간의 궁극적인 연구의제(Mega-Agenda)는 SSK전략 아젠다(Top-Down Agenda)중의 하나인 ‘삶의 질과 행복’이며, 소주제(Semi-Topic)은 ‘정보화와 삶의 질’와 밀접한 ‘정보격차 해소와 정보복지 실현’으로 구체화하여, 우리나라에서 4대 정보취약계층 으로 분류되는 고령층을 연구중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정보격차 해소방안을 연구하여 궁극적으로는 정보취약 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함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 요인 조사 및 분석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으로는 (1) 우리나라 고령층을 위한 특화된 콘텐츠 실태조사 및 이들의 정보요구 분석, (2) 우리나라 고령층을 위한 특화된 정보활동 실태조사 및 이들의 요구사항 분석, (3) 우리나라 고령층을 위한 특화된 스마트 기기 실태조사 및 이들의 요구사항 분석, (4)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추구 행위 분석, (5)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복지지도 작성, (6) 우리나라 고령층의 삶의 행복지수와 정보복지의 상관분석, (7)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등을 들 수 있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학문적 측면으로는: -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대규모 실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 - 실제 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풍부한 기초자료 제공 - 학제적 연구에 바탕을 둔 정보격차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이 분야의 ...
학문적 측면으로는: - 우리나라 고령층의 정보격차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대규모 실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시 - 실제 고령층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함으로써 풍부한 기초자료 제공 - 학제적 연구에 바탕을 둔 정보격차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이 분야의 연구를 세계적 수준으로 확산 - 우리나라의 세계적인 인터넷, IT기술, 그리고 정보화 기술을 정보취약 계층인 고령층에게도 제공함으로써 쏠림 현상을 해소하는 방안에 대한 세계적인 주도권 유지 - 전 세계가 관심을 갖기 시작한 고령층 특화 정보통신 기기 개발에서 특허권 선점 기회
사회적 측면으로는: - 정보복지지도를 제공함으로써 현재 이용자 뿐 아니라 잠재적 이용자와 예상 이용자들에게 정보격차 해소의 기회 제공함으로써 정보분배의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사회 모든 구성원들이 쉽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진정한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는데 일조 - 고령층 특화된 콘텐츠의 통합관리로 경제적 비용절감 효과와 이용자들에게는 One-stop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 - 고령층을 위한 정보격차 해소 센터가 운영되면 고령층의 이중소외(사회소외와 정보소외)와 우울증과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기회제공 - 정부가 추진중인 실버IT산업육성과의 연계하여 고령층에 특화된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부족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음 - 한국형 고령층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정보활용이 기대되어 자발적인 사회 공동체 참여가 기대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