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개인과 공동체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 소셜미디어 기반 접근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3A2033291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송민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최항섭(국민대학교)
유영진(Temple Univ.)
김희웅(연세대학교)
이상용(한양대학교)
곽기영(국민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온라인 사회연결망을 대표할 수 있는 분석대상으로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사회를 통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국의 사회적 자본 수준은 OECD 회원국 중 22위로서 특히 ‘신뢰’분야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2009) 또한 현재 한국 사회는 경제활력의 저하, 공동체 의식의 약화와 더불어 다양한 영역에서 사회분열이 일어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스마트 기기를 통해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온라인 접속이 가능해지면서 그 분열의 폭과 정도가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 상에서의 집단 따돌림 형태인 ‘스마트 불링(Smart Bullying)’, ‘신상 털기 및 마녀사냥’, ‘편 가르기’, ‘인신공격 및 편파적 정보 맹신경향’ 등이 온라인 상에서 나타나는 사회분열의 대표적인 예이다. 따라서 사이버공동체 상의 사회적 자본, 나아가 사이버공동체를 기반으로 하는 현실공동체에서의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통한 사회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개인과 개인 사이의 교류를 급격하게 증가시키는 소셜미디어가 단순히 기술로서가 아닌 사회 구성원들 간의 통합 및 신뢰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 영향들에 대한 논의는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를 다양한 분야에 걸친 융복합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의 올바른 사회연결망, 즉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 구현을 위한 다양한 분석 실행 및 활용방안 제시를 목표로 한다. 먼저, (1) 소셜미디어 속 방대한 양의 텍스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분열 및 통합 관련 특징을 분석 및 평가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2) 소셜미디어 상의 사회적 자본을 측정, 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소셜미디어 컨텐츠, 서비스적 측면의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도출된 요인 및 조건을 파악함으로써 (3) 소셜미디어의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과 경제 예측에 대한 소셜미디어의 활용가능성 또한 확인해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학문적, 실무적, 인력양성 및 교육연계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생물학적 개념인 생태학 및 생태계 관련 연구를 소셜미디어 기반의 사이비공동체라는 새로운 사회과학 분야에 접목시킨 새로운 영역을 창출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분열 요인들을 사회적 자본 이론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된 관점을 가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사회학, 경제∙경영학, 정보시스템, 법학 등 여러 분야에 걸친 융복합 연구 진행을 통한 시너지 효과 및 다양한 후속연구가 창출되는 학문적 기여가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사회통합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 구현을 위한 이론적 배경 정립뿐만 아니라 실제로 적용 가능한 소셜미디어 컨텐츠 및 서비스 개발에 실무적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더불어 소셜미디어별로 차별화된 역할을 조명함으로써 이를 반영한 사회통합 기여 모델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각 세부과제에서의 실무적 기여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사회분열의 원인과 특징을 분석하는데 쓰이는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 시스템(데이터마이닝 기법 사용)은 정치적 여론 동향 파악, 제품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며, 경제학적 분석을 통한 소셜미디어 정책안 제시는 실제 기업 또는 민간, 정부 기관 등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행복한 개인과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구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인력양성 및 교육연계 측면에서는 다양한 학제적 배경을 갖춘 연구진 네트워크에 기반한 발전적인 연구역량 강화를 기대한다. 연구보조원으로 참여하는 대학원생의 자발적 연구능력 함양을 비롯하여 정기적 연구 세미나 실시, 국내 및 국제 학술대회 참여를 통해 융복합 연구의 활성화와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이와 같은 융복합 연구의 시너지 효과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연구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데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사회적 기여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시스템의 다양한 적용 가능
    소셜미디어 관련 컨텐츠 및 서비스 개발과 관리에 도움
    경제학적 분석을 통한 효과적 정책안 제시 가능
    행복한 개인과 더불어 사는 사이버 공동체 구현에 기여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사회통합을 위한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를 구현하기 위해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연구를 확장시켜 나가고자 한다. 전체 연구는 세 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사이버공동체 분석 및 평가: Big Data Analytics
    소셜미디어의 이용자와 그들을 둘러싼 네트워크, 그 안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사회분열을 야기시키는 요소를 분석 및 평가하고자 한다. 본 단계에서는 방대한 양의 소셜미디어 데이터를 수집,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 및 분석하기 위해 오픈 소스와 각 과정에 맞는 세부적인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분열 현상을 계량적으로 측정한다. 기존의 것과 다른 새로운 기준을 도입한 보다 의미 있는 온라인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해 다양한 세부 분석(이용자 및 컨텐츠의 성향 평가, 토픽 및 논조 변화 추적 등)을 수행할 것이고, 이는 소셜미디어의 개방성을 잃지 않으면서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인식변화를 통해 이루어지는 건전한 온라인 환경을 조성하는 적용 방법으로 확장될 것이다.

    (2) 소셜미디어 기반 더불어 사는 사이버 공동체 연구
    본 단계는 사회연결망의 확산을 불러일으킴으로써 의사소통의 확대, 정보의 활발한 교류를 촉진하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사회통합이 진전될 경우, 사회적 자본이 증가하고 나아가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구현의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1)의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통합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각각의 사회적, 개인적, 컨텐츠, 서비스 영역 요인에서 사회통합을 위한 소셜미디어의 긍정적 활용에 끼치는 영향력과 이를 통한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한다.

    (3) 사이버공동체 생태계를 위한 소셜미디어 정책연구 및 경제학적 분석
    본 단계에서는 소셜미디어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양상의 변화와 그로 인한 기존 정치, 사회, 경제분야의 변화 인식을 기반으로 소셜미디어와 정치와의 관계 분석 및 개인정보 프라이버시 피해를 측정한다. 소셜미디어 데이터의 세밀한 감정분석을 통해 소셜미디어가 정치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인구통계학적 조건이 달라짐에 따라 나타나는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소셜미디어 상의 개인정보의 가치측정(컨조인트 분석방법론)을 통해 소셜미디어의 프라이버시 피해를 계량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나아가 과거 사례들을 비교 분석하여 소셜미디어에서 발생 가능한 이용자간 분쟁조정 및 해결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한국 사회는 21세기 들어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면서 사회적 자본 수준의 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이러한 분열의 문제가 사이버 상으로 확산되면서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분열 현상의 가속화를 초래하고 있다.
    소셜미디어가 단순히 기술이 아닌 사회 구성원들 간의 통합, 신뢰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 영향들에 대한 논의는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팀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통합과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 구현을 위한 방안 및 관련 정책 이슈를 연구하였다. 1년차에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구현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을 위한 연구 진행함으로써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의 구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실험 연구[1,2],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셜미디어의 토픽변화를 추적하는 연구[3,4]를 진행하였으며, 소셜미디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사고 접근을 통한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 연구[5,6]를 진행하였다. 2년차에는 토픽모델링 기법, 동시출현 단어 분석 및 내용기반 동시인용 기법 등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법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소셜미디어 기반 더불어 사는 사이버 공동체 구현방안 정립을 목표로 경제학적, 정보시스템적, 사회학적 관점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들로는 2012년 한국 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연구[7,8], 사회분열 현상을 대처하기 위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9], 소셜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 활용한 글로벌 금융시장 네트워크 분석 연구[10,11], 페이스북 유저들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12]가 있다. 3년차에는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구현을 위한 정책 마련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이버 공동체인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및 이용자 행태에 대한 학제적인 연구[13,14,15,16]와 소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경제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17,18]를 수행하였다.
    3년 동안 활발하고 적극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SSCI급 논문 11편, 국내등재학술지(KCI급) 32편을 출판하는 고무적인 연구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또한 국제적 수준의 학술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으며, 이를 통해 구축된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통해 학제적 융합연구를 진행하고 중형단계로 성장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1] 박자현, & 송민. (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2] Jeong, D. H., & Song, M. (2014). Time gap analysis by the topic model-based temporal technique. Journal of informetrics, 8(3), 776-790.
    [3] 진설아, 허고은, 정유경, & 송민. (2013).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토픽 변화 추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285-302.
    [4] 배정환, 한남기, & 송민. (2014).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지능정보연구, 20(2), 109-122.
    [5] Kwahk, K. Y. (2013). Exploring the Roles of Social Exchanges in Using Information Systems.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Behavioral, Educational, Economic, Business and Industrial Engineering, 7(9), 2507-2510.
    [6] 손정은, 장윤정, 이소현, & 김희웅. (2013). 시스템사고 접근을 통한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 연구: 소셜미디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5(2), 21-40.
    [7] 배정환, 손지은, & 송민. (2013).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 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19(3), 141-156.
    [8] Song, M., Kim, M. C., & Jeong, Y. K. (2014). Analyzing the political landscape of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Twitter. Intelligent Systems, IEEE, 29(2), 18-26.
    [9] Choi, H. (2013).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media. Bangko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
    [10] 김대식, & 곽기영. (2013). 소셜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활용한 글로벌 금융시장 네트워크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38(4), 11-33.
    [11] 김창식, & 곽기영. (2015). 지식공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0, 51-74.
    [12] Choi, H. (2013). Interprétation théorique de l'exhibitionnisme sur Facebook: Lipovetsky, Goffman, Beck et Maffesoli. Sociétés, (3), 107-116.
    [13] Song, M., Yang, C. C., & Tang, X. (2013). Detecting evolution of bioinformatics with a content and co-authorship analysis. SpringerPlus, 2(1), 1-11.
    [14] Jeong, Y. K., Song, M., & Ding, Y. (2014). Content-based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Informetrics, 8(1), 197-211.
    [15] Song, M., Kim, S., Zhang, G., Ding, Y., & Chambers, T. (2014). Productivity and influence in bioinformatics: A bibliometric analysis using PubMed centr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2), 352-371.
    [16] 김하진, & 송민. (2014).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학회지 연구동향 파악. 정보관리학회지, 31(1), 99-118.
    [17] 박준형, & 곽기영. 특허 인용 관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셜네트워크분석 관점.
    [18] 윤지현, & 곽기영. (2015). 연구논문: 기업 SNS 사용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에 관한연구. 지식경영연구, 16(1), 143-170.
  • 영문
  • In this 21st century, the sense of community of the Korean society has been weaken while facing the economic and social problems due to drop in the social capital standards. Due to the supply of smart devices, the problem of digital divide is diffused in the cyberspace and is causing an acceleration of the social inequality phenomenon through social media.
    This research project wants to know if the social media has effects to the sophisticated technology that integrates the society’s members and to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them. If that is the case, it is urgently the time for the research regarding the magnification as an important issue of whether the discussion about those influences can be developed.
    The research team studied about the ways and related polic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social integration and the cohesive ecology of the cyber community through social media. In the first year, through studies about the methodology, we prepared the research’s footing about the cohesive ecology of the cyber community and through studies regarding ways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of a community, we conducted early studies about the realization of the cohesive ecology of the cyber community. As representative researches, we proceeded with the experimental study using different text mining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in order to analyze big data[1,2], the study on the tracing of social media’s topic changes using Twitter data[3,4], and the study on methods to increase the social capital, primarily based on social media users, through systems thinking approach[5,6]. During the second year, we progressed with the studies on the usage of different techniques for analyzing big data such as topic modeling techniques, word co-occurrence analysis and content-based co-citation techniques, and diverse studies with a goal to establish ways for the realization of the cohesive ecology of the cyber community based on social media from the viewpoints of economics, information systems, and sociology. Specific studies include the Twitter analysis regarding the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7,8], methods on social unification to solve the social inequality phenomenon[9], network analysis on the global finance market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pproach[10,11], and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cebook users[12]. In the third year, we did studies on the planning phase of polici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cohesive ecology of the cyber community. We also did interdisciplinary studies about the cyber community social network’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ser types[13,14,15,16] and study on the deduction of economic analysis results targeting social networks[17,18].

    [1] 박자현, & 송민. (2013).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0(1), 7-32.
    [2] Jeong, D. H., & Song, M. (2014). Time gap analysis by the topic model-based temporal technique. Journal of informetrics, 8(3), 776-790.
    [3] 진설아, 허고은, 정유경, & 송민. (2013).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토픽 변화 추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0(1), 285-302.
    [4] 배정환, 한남기, & 송민. (2014).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트위터 이슈 트래킹 시스템. 지능정보연구, 20(2), 109-122.
    [5] Kwahk, K. Y. (2013). Exploring the Roles of Social Exchanges in Using Information Systems. World Academy of Scien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Behavioral, Educational, Economic, Business and Industrial Engineering, 7(9), 2507-2510.
    [6] 손정은, 장윤정, 이소현, & 김희웅. (2013). 시스템사고 접근을 통한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 연구: 소셜미디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15(2), 21-40.
    [7] 배정환, 손지은, & 송민. (2013).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2012 년 한국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지능정보연구, 19(3), 141-156.
    [8] Song, M., Kim, M. C., & Jeong, Y. K. (2014). Analyzing the political landscape of 2012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Twitter. Intelligent Systems, IEEE, 29(2), 18-26.
    [9] Choi, H. (2013).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media. Bangkok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science.
    [10] 김대식, & 곽기영. (2013). 소셜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활용한 글로벌 금융시장 네트워크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38(4), 11-33.
    [11] 김창식, & 곽기영. (2015). 지식공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30, 51-74.
    [12] Choi, H. (2013). Interprétation théorique de l'exhibitionnisme sur Facebook: Lipovetsky, Goffman, Beck et Maffesoli. Sociétés, (3), 107-116.
    [13] Song, M., Yang, C. C., & Tang, X. (2013). Detecting evolution of bioinformatics with a content and co-authorship analysis. SpringerPlus, 2(1), 1-11.
    [14] Jeong, Y. K., Song, M., & Ding, Y. (2014). Content-based author co-citation analysis. Journal of Informetrics, 8(1), 197-211.
    [15] Song, M., Kim, S., Zhang, G., Ding, Y., & Chambers, T. (2014). Productivity and influence in bioinformatics: A bibliometric analysis using PubMed central.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5(2), 352-371.
    [16] 김하진, & 송민. (2014).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통한 국내외 정보학 학회지 연구동향 파악. 정보관리학회지, 31(1), 99-118.
    [17] 박준형, & 곽기영. 특허 인용 관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셜네트워크분석 관점.
    [18] 윤지현, & 곽기영. (2015). 연구논문: 기업 SNS 사용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에 관한연구. 지식경영연구, 16(1), 143-170.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한국 사회는 21세기 들어 공동체 의식이 약화되면서 사회적 자본 수준의 하락으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으로 이러한 분열의 문제가 사이버 상으로 확산되면서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적 분열 현상의 가속화를 초래하고 있다.
    소셜미디어가 단순히 기술이 아닌 사회 구성원들 간의 통합, 신뢰형성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그 영향들에 대한 논의는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팀은 소셜미디어를 통한 사회통합과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생태계 구현을 위한 방안 및 관련 정책 이슈를 연구하였다. 1년차에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구현에 대한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공동체의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을 위한 연구 진행함으로써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의 구현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빅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텍스트마이닝 기법과 토픽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실험 연구, 트위터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셜미디어의 토픽변화를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소셜미디어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시스템사고 접근을 통한 사회적 자본 증대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2년차에는 토픽모델링 기법, 동시출현 단어 분석 및 내용기반 동시인용 기법 등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법을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소셜미디어 기반 더불어 사는 사이버 공동체 구현방안 정립을 목표로 경제학적, 정보시스템적, 사회학적 관점의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들로는 2012년 한국 대선 관련 트위터 분석 연구, 사회분열 현상을 대처하기 위한 사회통합 방안 연구, 소셜네트워크 분석 접근법을 활용한 글로벌 금융시장 네트워크 분석 연구, 페이스북 유저들의 특징을 분석한 연구가 있다. 3년차에는 더불어 사는 사이버공동체 구현을 위한 정책 마련 단계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사이버 공동체인 소셜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 및 이용자 행태에 대한 학제적인 연구와 소셜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경제적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활발하고 적극적인 연구 활동을 통해 SSCI급 논문 11편, 국내등재학술지 32편을 출판하는 고무적인 연구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 3년 동안 진행된 사회적 자본 측면에서의 사이버공동체 생태계 구현을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실제적용 및 후속 연구 주제를 발굴하고 중형과제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국인 도덕성” SSK사업팀과의 협력을 통해 본 연구팀의 운영지속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한국인 도덕성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신경과학적, 발달심리학적 연구를 통합하여 다각적으로 파악하는 연구팀과 융합하여 넓게는 경제학적, 사회학적 관점까지 포함한 연구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소셜미디어 기반 접근 측면으로 집중하여 더 깊이 있는 학제적 연구를 진행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문헌정보학, 사회학, 정보시스템학, 경영학, 심리학 분야에 걸친 사회과학적 융합분석 패러다임 제시하고, 연구 주제를 확장하여 다양한 후속연구를 창출하는 학술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색인어
  • 소셜미디어, 사이버공동체, 텍스트마이닝, 네트워크 분석, 사회적 자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