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와 한반도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3A2033926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남수중
연구수행기관 국립공주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황상연(공주대학교)
최형규(政策硏究大學院大學)
오대원(한남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위안화가 미국 달러를 대신할 수 있는 기축통화(Key Currency)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가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임
    o 위안화가 달러를 대신하여 기축통화의 지위까지는 도달하기 어렵더라도 국제통화 및 지역통화로서의 영향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점점 증가하고 있음
    o 특히 중국은 위안화의 국제화를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위안화의 국제적 위상에도 상당한 변화가 예상됨. 실제 주변국을 중심으로 중국 위안화의 영향력이 과거보다 확대되고 있다는 사례도 제시됨
    - Eichengreen(2011)은 각국의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 중에서 미국 달러가 차지하는 비중이 60%로 하락하여 세계 유일의 ‘과도한 특권’을 잃을 운명에 처해 있다고 주장함
    o 그 이유는 세계경제가 다극화되고 세계 통화와 금융제도 또한 다극화되어 가고 있어 미국이 과거처럼 더 이상 세계경제를 지배할 수 없기 때문이며 국제통화였던 달러의 지위 역시 다른 통화에 양보할 수밖에 없다는 것임
    o 그는 달러가 결국에는 유럽의 통화인 유로, 시간이 흐른 뒤에는 중국의 위안과 함께 국제통화의 자리를 공유할 것이라고 예측함
    - 단기간내에 위안화가 달러를 대신하지 못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아진 위상에 따른 영향력 확대에 미리 대비해야 할 것임
    - 따라서 먼저 1단계(3년 소형 과제)의 중국 위안화에 관한 연구 목적은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 정책과 사례, 위안화 환율 및 환율제도 개혁 전망, 중국 금융발전과 위안화 국제화의 우선순위 분석 등의 연구를 통해 현 단계에서 위안화가 국제적인 기축통화로 성장하기 위한 대내외 경제 여건을 분석하여 전망하는 것임
    - 본 연구는 학제간 융복합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우선 국제통화체제에 관한 연구는 경제학을 기초로 하여 분석하더라도 국제정치학, 국제금융, 역사학, 지역학의 분야를 결합하여야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임
    o 중국 위안화의 부상과 국제통화체제의 재편 과정은 경제학의 방법론을 사용해서 국제경제구조를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작업을 통해 드러난 국제관계의 권력 메카니즘은 국제정치학의 기법을 활용하여야 해석이 가능함
    - 선행 연구들은 부족한 중국 통계 자료의 특성이 반영되었겠지만 계량적 모형을 활용한 실증분석이 제시되지 못하였는바, 본 연구는 초기 단계부터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국제기축통화로 발전)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거쳐 실증분석 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 기대효과
  • -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동아시아 통화협력, 국제통화체제 개편이 결합된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이기 때문에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o 우선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를 실증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은 학문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저명 국제 학술지 게재 가능성이 매우 높음
    o 또한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하는 중국 정부가 참고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의 유용성도 매우 높기 때문에 중국 학계와의 교류를 확대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됨
    o 중국 위안화의 적정 환율 추정은 향후 환율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인바, 중국의 환율제도 개혁을 예측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되며, 환율 변동의 거시경제적 영향 및 아시아 통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논문은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쟁이 되던 분야로서 국제적인 유명 학술지 China and World Economy, China Economic Review 등에 게재되기 어렵지 않음
    o 중국의 외환보유액 결정요인 및 영향에 대한 분석, 중국의 자본 유출입의 요인별 분해, 금융발전과 국제화 우선순위 문제 등도 중국정부가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로서 중국 현지 및 세계 유명 학술지 게재뿐 아니라 정책적인 시사점도 예상됨
    - 그동안 중국경제, 금융, 위안화에 대한 단일 학문 수준의 개별적인 연구는 존재했으나, 위안화 국제화 연구에 중점을 두고 국제통화체제 재편 가능성에 대해 학제간 융합을 활용한 연구들은 많지 않음
    o 국제통화체제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국제경제학적 접근법뿐 아니라 국제정치학적 접근법을 활용해야만 이해할 수 있고 해석이 가능한 분야임.
    o 미국 다음으로 G2가 된 중국은 장기적으로 통화 가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국제준비통화를 구축하여 특정 통화의 보유에 따른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프랑스, 러시아 등 다수 국가들이 미 달러 중심의 국제통화체제 개편 주장에 동조하는 경향이 있음. 그러나 중국이 준비하고 있는 중장기적인 위안화 국제화 및 금융시장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영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은 미흡함
    o 중국이 최근 금 구매 비중을 확대하는 등 변화하는 국제통화체제에 대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향후 글로벌 위기의 재발과 달러의 불안정성이 확산될 경우에 과거의 선진국들과는 차별화된 대책을 제시하고 추진할 수도 있음
    - 본 연구는 학술적인 가치 이외에도 국가 차원의 비젼 제시와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o 한국의 입장에서는 중국정부가 준비하는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 전략, 향후 글로벌 위기 재발시 대응 정책, 금융시장 발전 전략과 환율제도 개혁 전망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대비책이 필요함
    - 차세대 융복합 사회과학 연구자의 육성에도 기여
    o 본 연구 과제는 경제학적인 접근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국제질서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어 국제정치학, 국제금융, 지역학 등 다양한 학문들이 서로 융합해야 연구가 지속 가능한 분야임
    o 중국 금융 전문가이면서 국제통화체제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한국 국내 전문인력의 양성에도 본 연구의 목적이 있음
    -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금융, 외환론, 중국경제론 등의 교과목을 강의하기 위한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어 향후 대학원 및 대학 교육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연구요약
  • - 1년차 연구: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 내용과 의미를 분석: 이론적 논의와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함. 위안화 국제화의 의미와 추진내용을 조사하고 위안화 무역결제 확대와 채권시장 개방 현황을 분석함.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논의를 통해 위안화 국제화의 가능성을 점검해 보기위하여 화폐 국제화의 가능성을 가치저장수단으로서의 국제저축통화(준비통화 및 투자통화 Reserve Currency․Investment Currency) 모형을 개선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함. 위안화 국제화의 가능성과 의미를 분석함. 화폐국제화의 수요는 표시수단으로서의 국제기축통화(Anchor Currency) 수요와 지급수단으로서의 국제거래통화(Vehicle Currency․Invoice Currency) 수요 및 가치저장수단으로서의 국제저축통화(Reserve Currency․Investment Currency)수요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시차종속변수를 제외하여 위안화 국제화를 추정하기에 적합하도록 모형의 설명력을 높였으며 선행연구의 로그변환모형에 로그차분변수 모형을 이용한 분석을 병행하여 통계적인 신뢰성을 높임. 본 연구는 Chinn and Frankel(2005)을 이용하여 화폐국제화의 공적수요를 예측하는 준비통화 모형(Reserve Currency Model)을 설정함.또한 LIM(2006)을 근거로 화폐국제화의 민간수요를 예측하는 투자통화모형(Investment Currency Model)을 설정함. 실증분석 모형을 통해 국제저축통화의 공적수요(준비통화모형)와 국제저축통화의 민간수요(투자통화모형)를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국제투자통화에 대한 분석결과에 따라서 위안화가 국제화 될 경우를 가정하여 규모를 추정할 수 있음.
    - 2년차 연구: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환율제도 유연화 전망: 먼저 본 연구에서는 Dunaway and Li(2005)가 정리한 것을 참고하여 거시경제균형접근법(macroeconomic balance approach), 구매력평가 접근법 및 확장된 구매력평가접근법(extended PPP)으로 구분하여 기존문헌을 활용하여 위안화의 저평가정도를 추정함. 위안화 실질가치 변동이 중국의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개도국 통화의 실질가치의 상승이 해당국 경제의 침체로 연결될 것인가는 분명하지 않음. 전통적인 이론에 의하면 일국통화의 대외실질가치 상승은 경기 침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하나, 일련의 연구자들이 통화가치 하락이 경기침체를 유발(contractionary devaluation)한다는 사례를 발견함(Kamin and Rogers, 2000; Frankel, 2005 등). 두 번째, 위안화의 실질가치 변동이 아시아 각국의 통화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 위안화 대 달러화 환율의 변동이 제한적으로 변동되기 때문에 위안화의 아시아 통화가치에 대한 영향이 제약되고 있다는 점도 강조되고 있으나, 중국경제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 통화가치의 결정에서 위안화의 역할이 증대될 것이라고 전망. 본 연구에서는 Frankel and Wei(1994)의 방법을 사용해서 위안화의 아시아 통화에 대한 영향을 평가함. 그리고 세 번째, 중국의 환율제도가 실제 어떠한 변수들의 영향으로 인해 선택되었는가를 계량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함. 환율제도의 선택은 거시경제정책의 자율성, 자본이동을 촉진하는 국제 유동성, 통화가치의 신뢰성의 3가지를 추구하나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모순이 있음. 중간단계의 환율제도를 선택한 중국의 정책 딜레마를 분석하여 위안화 국제화의 한계를 예측하고 전망
    - 3년차 연구: 위안화 국제화의 경로 의존성 평가: 우선 중국의 외환보유액 통화 구성과 국제적 환류의 의미를 분석하고, 외환보유액 축적 동기 및 결정요인을 실증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적정 수준의 외환보유액 추정하고 국부펀드 활용에 따른 글로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두 번째, 기존 연구에서는 심도있게 다루어지지 않은 중국 자본유출입 흐름을 세계 공통요인, 아시아 (또는 동아시아) 지역 공통요인, 중국 국가 고유의 요인으로 분해하고 각각의 영향력을 분석함. 세 번째, 현재 중국정부는 금융시장의 발전과 자유화를 통해서 국제화를 추진하기보다는 먼저 무역 대금결제 등 실물 경상부문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음. 과거 주요 통화의 국제화 과정을 정량적으로 종합하는 한편, 중국의 현재 실물경제와 금융시장 상황을 기초로 ‘중국형’ 통화의 국제화 발전단계를 제시하려고 함. 중국의 위안화 국제화 과정이 과거의 일반적인 경로를 따를지 아니면 낙후된 금융부문의 자유화, 환율제도 유연화, 자본항목 자유화 보다 앞서서 통화 국제화를 진전시킬지 등 우선순위를 분석함. 이론적인 측면, 역사적인 경험, 그리고 중국경제 환경을 종합하여 위안화의 국제화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는 없어 본 연구가 관련 연구에 상당부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위안화가 미국 달러를 대신할 수 있는 기축통화(Key Currency)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가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임
    - 단기간내에 위안화가 달러를 대신하지 못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아진 위상에 따른 영향력 확대에 미리 대비해야 할 것임
    o 본 연구의 1단계에서는 중국 위안화 연구에 초점을 두고, 위안화가 기축통화의 한축을 담당하기 위한 대내외 요인들을 검토하고 기축통화의 성립 요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함
    o 1단계 소형 연구에서는 중국 위안화를 중심에 두고 일국 통화의 국제화 및 기축통화로의 성장 가능성에 관한 모든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임
    - 소형과제의 연구실적은 2012년 선정 당시 연구계획(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에 제시된 연구목표를 초과 달성하였으며, 위안화 국제화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는 동시에 수요측면(demand side)의 국제화 가능성을 검토한 논문은 해외 유수한 저널에 게재됨(Renminbi in Ordinary Economies: A Demand-side Study of Currency Globalization, China & World Economy / 1–.21, Vol. 23, No. 3, 2015.) 이외에도 학술지(등재지)에 11편의 논문이 게재됨
    -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모두 연구과제의 아젠다인 ‘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와 한반도’의 주제에 부합하고 소형과제 주제인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에도 적합하고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음
    - 연구 실적들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이 선행연구와 차별화되어 모두 창의적이고 우수함, 위에 언급한 논문 이외에 제출된 실적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중국 위안화 환율변동의 영향 분석(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필요한 환율제도 유연화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 4편,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중국정부의 개혁 내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 논문 3편, ▲중국경제와 위안화의 대외적 영향력 평가 관련 2편, ▲중국 금융시장 분석과 한-중 금융협력 2편 등이 있음
    - 따라서 소형 연구과제의 실적은 계획 및 목표와 일치하고 초과 달성함
    o 1단계 소형 연구에서는 중국 위안화를 중심에 두고 일국 통화의 국제화 및 기축통화로의 성장 가능성에 관한 모든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임
    o 특히 1-2년차 연구목표는 위안화 국제화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위안화 환율제도의 유연화와 실질 가치 변동의 영향을 실증분석 모형을 통해 분석하는 것임
    o 3년차 연구목표는 위안화 국제화의 추진 전략과 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추진 방향과 영향을 추정 및 전망하는 것임
    o 위안화 국제화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면서 수요측면(demand side)의 국제화 가능성을 검토한 논문은 해외 유수한 저널에 게재됨
    o 홍콩의 위안화 역외금융시장 발전 가능성을 분석한 연구실적은 위안화 국제화의 첫 단계 동시에 시범지역에 대한 효용성을 추정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임
    o 특히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환율제도의 유연화와 실질 가치 절상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연구계획 및 목표와 부합함
    o 3년차에 계획했던 연구 과제는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는 중국정부의 정책을 평가하고 주변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어 연구목표를 달성함
    - 연구목표 달성이 아젠다 및 연구주제의 기준에 적합하고 필요 및 수요에 부합함
    o 연구 기간 내에 달성한 실적 모두가 연구 아젠다인 ‘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와 한반도’와 소형 연구주제인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에 적합하고 연구 수요에 부응하는 것들임
    o 한-중 사이의 금융 및 경제협력에 대한 분석 뿐 아니라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한국측 수요에 대한 분석은 중국정부의 국제화 전략과 정책을 예측하는 한편, 한국정부의 대응전략 수립에도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됨
  • 영문
  •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are to predict and will analyze how it can be obtained the status of a Key Currency in China's yuan may replace the US dollar.
    At first, these studies focused on researching Chinese yuan, the yuan should review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responsible for the reserve and investment currency and proceed with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a key currency requirements.
    First step in the research will continue to study all the basic internationalization and growth potential of a country's currency as a reserve currency with a focus on Chinese yuan. 1-2 years in particular research will aim to analyze the empirical model through a flexible and practical impact of the changes in value of the RMB exchange rate regime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e basic research on RMB internationalization. 3-year study will aim to evaluate the strategies and policies promoting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yuan to estimate the impact and prospects and future direction.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small research project is consistent with the plans and objectives and to achieve more than. Papers examine the possibility o internationalization of the demand side, while clean up the theoretical discussion of renminbi internationalization (demand side) is published in leading international journals("Renminbi in Ordinary Economies: a Demand-side Study of Currency Globalization", China & World Economy / 1-.21, Vol 23, No. 3, 2015). It will be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e data analysis of the potential offshore renminbi financial development laboratory in Hong Kong renminbi internationalization little time to estim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ilot areas. In particular, the paper empirically analyzes the impact of the exchange rate regime more flexible and substantial appreciation of the need to promote the RMB internationalization is to comply with the study plan and goals. 3-year research project is also planned to evaluate the government's policy to promote the yuan's internationalization and to analyze the impact on neighboring countries to achieve the study goals.
    All research results achieved within the period of time that is suitable for the research agenda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and a small research topic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Chinese renminbi research' and those that meet the research needs. These are useful for Korea side to forecast the Chinese government'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nd policy and analysis of financial and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위안화가 미국 달러를 대신할 수 있는 기축통화(Key Currency)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는가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임
    - 소형과제의 연구실적은 2012년 선정 당시 연구계획(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에 제시된 연구목표를 초과 달성하였으며, 위안화 국제화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는 동시에 수요측면(demand side)의 국제화 가능성을 검토한 논문은 해외 유수한 저널에 게재됨(Renminbi in Ordinary Economies: A Demand-side Study of Currency Globalization, China & World Economy / 1–.21, Vol. 23, No. 3, 2015.) 이외에도 학술지(등재지)에 11편의 논문이 게재됨
    -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 모두 연구과제의 아젠다인 ‘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와 한반도’의 주제에 부합하고 소형과제 주제인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에도 적합하고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음
    - 연구 실적들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내용 등이 선행연구와 차별화되어 모두 창의적이고 우수함, 위에 언급한 논문 이외에 제출된 실적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면 중국 위안화 환율변동의 영향 분석(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필요한 환율제도 유연화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 4편, ▲위안화 국제화를 위한 중국정부의 개혁 내용과 효과에 대한 연구 논문 3편, ▲중국경제와 위안화의 대외적 영향력 평가 관련 2편, ▲중국 금융시장 분석과 한-중 금융협력 2편 등이 있음
    - 따라서 소형 연구과제의 실적은 계획 및 목표와 일치하고 초과 달성함
    o 1단계 소형 연구에서는 중국 위안화를 중심에 두고 일국 통화의 국제화 및 기축통화로의 성장 가능성에 관한 모든 기초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것임
    o 특히 1-2년차 연구목표는 위안화 국제화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위안화 환율제도의 유연화와 실질 가치 변동의 영향을 실증분석 모형을 통해 분석하는 것임
    o 3년차 연구목표는 위안화 국제화의 추진 전략과 정책을 평가하고 향후 추진 방향과 영향을 추정 및 전망하는 것임
    o 위안화 국제화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면서 수요측면(demand side)의 국제화 가능성을 검토한 논문은 해외 유수한 저널에 게재됨
    o 홍콩의 위안화 역외금융시장 발전 가능성을 분석한 연구실적은 위안화 국제화의 첫 단계 동시에 시범지역에 대한 효용성을 추정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임
    o 특히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기 위해 필요한 환율제도의 유연화와 실질 가치 절상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연구계획 및 목표와 부합함
    o 3년차에 계획했던 연구 과제는 위안화 국제화를 추진하는 중국정부의 정책을 평가하고 주변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어 연구목표를 달성함
    - 연구목표 달성이 아젠다 및 연구주제의 기준에 적합하고 필요 및 수요에 부합함
    o 연구 기간 내에 달성한 실적 모두가 연구 아젠다인 ‘동북아 국제질서 변화와 한반도’와 소형 연구주제인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연구’에 적합하고 연구 수요에 부응하는 것들임
    o 한-중 사이의 금융 및 경제협력에 대한 분석 뿐 아니라 위안화 국제화에 대한 한국측 수요에 대한 분석은 중국정부의 국제화 전략과 정책을 예측하는 한편, 한국정부의 대응전략 수립에도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됨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동아시아 통화협력, 국제통화체제 개편이 결합된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이기 때문에 학문적, 사회적 기여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됨
    o 우선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를 실증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은 학문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저명 국제 학술지 게재 가능성이 매우 높음
    o 또한 위안화의 국제화를 추진하는 중국 정부가 참고할 수 있는 모형으로서의 유용성도 매우 높기 때문에 중국 학계와의 교류를 확대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전망됨
    o 중국 위안화의 적정 환율 추정은 향후 환율 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인바, 중국의 환율제도 개혁을 예측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되며, 환율 변동의 거시경제적 영향 및 아시아 통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논문은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쟁이 되던 분야로서 국제적인 유명 학술지 China and World Economy, China Economic Review 등에 게재되었으며, 추가 게재 예정
    o 중국의 외환보유액 결정요인 및 영향에 대한 분석, 중국의 자본 유출입의 요인별 분해, 금융발전과 국제화 우선순위 문제 등도 중국정부가 관심을 두고 있는 분야로서 중국 현지 및 세계 유명 학술지 게재뿐 아니라 정책적인 시사점도 타의 추종을 불허할 것으로 예상됨
    - 그동안 중국경제, 금융, 위안화에 대한 단일 학문 수준의 개별적인 연구는 존재했으나, 위안화 국제화 연구에 중점을 두고 국제통화체제 재편 가능성에 대해 학제간 융합을 활용한 연구들은 많지 않음
    o 국제통화체제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국제경제학적 접근법뿐 아니라 국제정치학적 접근법을 활용해야만 이해할 수 있고 해석이 가능한 분야임. 특히 중국은 사회주의적 정치체제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한편, 이행기 경제체제와 아시아적 경제발전 모델과의 유사성도 보이고 있어 중국 정치, 경제의 특수성을 이해하지 않을 경우, 중국의 국제적 행위를 해석하고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음
    - 본 연구는 학술적인 가치 이외에도 국가 차원의 비젼 제시와 전략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평가됨
    - 차세대 융복합 사회과학 연구자의 육성에도 기여
    o 본 연구 과제는 경제학적인 접근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국제질서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어 국제정치학, 국제금융, 지역학 등 다양한 학문들이 서로 융합해야 연구가 지속 가능한 분야임
    -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금융, 외환론, 중국경제론 등의 교과목을 강의하기 위한 교재로도 활용될 수 있어 향후 대학원 및 대학 교육에도 크게 기여할 것임
  • 색인어
  • 중국, 위안화(RMB), 통화 국제화, 환율제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