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인 문화인지 구조
한국인의 문화인지와 시각적 사고에 관한 연구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3A2033783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모영
연구수행기관 선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소희(한국교통대학교)
이병준(부산대학교)
박지연(서울제일대학원대학교)
신혜은(숭의여자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기존의 교육체계에서 강조하는 비시각적 사고교육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한국적 실제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을 밝혀 21C 변화된 사회에서 필요로 하고 사용될 수 있는 한국적인 문화인지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시각적 사고가 왜 필요한지,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 시킬 수 있는 지, 그리고 문화인지는 어떠한 메커니즘을 가지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아직까지 경험 과학적으로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은 시각적 사고의 인지 기제와 시각 사고의 패턴을 분석하기 위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고 연령, 세대별, 문화별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인의 문화인지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시각적 사고능력과 문화인지력 향샹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논의 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장기적인 프로젝트로 진행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첫째, 시각적 사고에 대하 이해는 인간 인지와 문화예술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둘째, 최근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는 예술치료에 대한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문화인지와 문화적 학습기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비공식적, 무형식적 인지과정을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것이다.
    넷째, 문화인지 담론을 통해 드러날 분석기제인 신체성, 미메시스, 연행성, 의례 등은 비공식적 , 무형식 인지과정을 분석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다섯째,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의 중요성을 밝혀냄으로써 한국교육에서 이미지 학습과 시각적 사고의 중요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끌고 갈 수 있을것이다.
    여섯째,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실천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일곱째, 대인관계를 포함하여 심리적 건강의 분제에 비언어적 경험에 의한 인삭과정이 긴말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입증해 보임으로써 심리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고할 수있을 것이다.
  • 연구요약
  • 기존 교육체계의 비시각적 사고교육을 문제점을 드러네고 한국적 실제에서 작동하는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한 장기적 집단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먼저, 1단계(소형)연구에서는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의 개념적, 분석적,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 생활세계에서 작동원리를 확인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1년차 연구주제는 문화인지와 시각적 사고의 개념과 기능, 작동원리이며 2년차 연구주제는 일상생활에서의 문화인지와 시각적 사고의 작동국면이 된다. 3년차에는 직업세계에서의 문화인지와 시각적 사고의 작동국면을 주제로 직업세계에서 시각적 사고가 얼마나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고 어떠한 문화적 학습을 통해 문화인지 구조가 생성되고 있는지를 밝힐 것이다.
    제2단계(중형)연구는 세대별, 집단별로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가 어떻게 작동하는가를 밝히는 실증적인 연구단계로 1단계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가 생애주기별, 세대별, ㅂ교문화적 관점에서 어떻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 지를 밝힐 것이다.
    제3단계(대형)연구는 실용적인 지식을 산출하고 확산하는 단계로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구안되고 시범적으로 적용된다. 그 후에는 적용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여 힌국인들의 시각적 사고와 문화인지 행태에 맞는 교육이 제안 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연구요약문
    본 연구는 한국인의 문화인지와 시각적 사고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문화인지구조를 밝히는 연구이다. 문화인지에 대한 기초연구에 초점을 둔 1차년도에서 연구팀은 기존의 인지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심리학에 국한하지 않고 학제적 접근을 사용하여 문화과학․기호학․인류학․교육학 등의 연구 성과를 접목하여 인간의 인지가 작동되는 문화적 분석토대를 생성하려는 작업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 속에 세계 학문담론에서 존재하는 문화적 학습이론, 문화발달이론,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문화인지의 이론체계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기반 속에 한국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문화인지의 지점들을 분석하여 그 매커니즘을 드러내었다. 특히 공감, 소비, 학습, 의사소통, 그림책과 같은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활동영역들에서 나타나는 문화인지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3차년도에는 한국인의 직업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문화인지의 접점들을 분석하여 그 특성들을 드러내었다.
  • 영문
  •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cultural cognition structure of Korean people by analyzing the cultural cognition and visual thinking of Korean people.
    In the first year of the study which focused on the basic study of cultural cognition, the research team applied the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stead of limiting the existing academic approach toward cognition to psychology and combined the research outcomes from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cultural science, semiotics, anthropology, and pedagogy to create a foundation for cultural analysis on which the human cognition operates and developed the foundation of theoretical system for cultural cognition through the review of cultural learning theory, cultural development theory,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so forth.
    In the second year of the study, the cultural cognition points operating in the everyday life of Korean people were analyzed based on the foundation developed in the first year of study and showed its mechanism. Particularly, the aspects of cultural cognition appearing in the specific area of activity in everyday life such as sympathy, consumption, learning, communication, and picture book were analyzed.
    In the third year of the study, the contact points of cultural cognition operating in the occupational life of Korean people and showed their characteristic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인의 문화인지와 시각적 사고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문화인지구조를 밝히는 연구이다. 문화인지에 대한 기초연구에 초점을 둔 1차년도에서 연구팀은 기존의 인지에 대한 학문적 접근을 심리학에 국한하지 않고 학제적 접근을 사용하여 문화과학․기호학․인류학․교육학 등의 연구 성과를 접목하여 인간의 인지가 작동되는 문화적 분석토대를 생성하려는 작업을 해왔다. 이러한 노력 속에 세계 학문담론에서 존재하는 문화적 학습이론, 문화발달이론, 문화-역사적 활동이론 등에 대한 검토를 통해 문화인지의 이론체계의 토대를 구축하였다. 2차년도에는 1차년도의 기반 속에 한국인의 일상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문화인지의 지점들을 분석하여 그 매커니즘을 드러내었다. 특히 공감, 소비, 학습, 의사소통, 그림책과 같은 구체적인 일상생활의 활동영역들에서 나타나는 문화인지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3차년도에는 한국인의 직업생활 속에서 작동하는 문화인지의 접점들을 분석하여 그 특성들을 드러내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를 통해서, 우리의 많은 지식들이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가운데 직접 체험하고 이해하는 마음의 작용으로서의 인지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새로운 문화인지의 개념에 따르면 기존의 인지 개념에 기초하고 있는 많은 사회제도와 생각의 틀에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의 인지개념에 기초하는 있는 교육제도와 실천의 측면에서도 변화가 요청되고, 상담 및 치료기법에서도 커다란 변화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많은 정보통신기기의 디자인과 콘텐츠의 개발에서도 이와 같은 마음의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경향은 최근의 광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제품의 기능에 대한 설명을 강조함으로서 소비자의 이성과 사고에 호소하기 보다는, 제품 사용의 감성적이고 체험적인 측면을 강조함으로서 소비자의 마음을 움직이려는 광고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문화인지에 대한 논의는 우리가 매일 매일 상호작용하는 대상들과 주변 환경들이 더욱 풍요롭고 의미있게 지각되기 위해서 어떻게 다르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도 유익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결과의 구체적인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인지개념에 기초하는 있는 교육제도와 실천의 측
    면에서도 변화를 요청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
    - 문화인지에 대한 이해는 최근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는 예술치료(Art Therapy)에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임
    - 문화인지와 문화적 학습기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비공식적, 무형식적 인지과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임
    - 문화인지 담론을 통해 드러날 분석기제인 신체성, 미메시스, 연행성, 의례 등은 비공식적, 무형식 인지과정을 분석하는 매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함
    -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실천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크게 기여함
    - 심리적 건강의 문제에 비언어적 경험에 의한 인식 과정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입증해 보임으로써 심리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임
  • 색인어
  • - 문화인지 - 시각적 사고 - 지각인지 - 문화적 경험 - 문화적 학습 - 체화인지 - 문화예술교육 - 질적연구방법론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