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삶의 질과 행복
스마트워크와 삶의 질: 일하는 방식의 전환 - 그 의미와 과정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한국사회과학연구(SSK)지원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3A2033474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3 년 (2012년 09월 01일 ~ 2015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희준
연구수행기관 연세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이정우(연세대학교)
박준기(연세대학교)
Theresa A. Pardo(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1)스마트워크: “일”의 변화에 대한 학술적·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프레임워크 필요
    스마트워크는 지식정보사회, 고령화 사회, 그리고 복지 사회로의 변화에 있어, 개인과 조직, 사회에 “일”의 변화를 중심으로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실제 비즈니스 분야에서 다국적 기업들을 중심으로 첨단 ICT기술을 이용하여 근무방식의 변화가 실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학술적으로 그 정의가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재택근무나 유연근무, 원격근무와 같은 스마트워크의 전신으로 여겨지는 제도들에 대하여 장애인이나 여성 근로자, 근무 만족과 같은 일부 분야에 국한되어 연구가 수행되고 있어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분석틀이 매우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 스마트워크의 전신이라고 할 수 있는 근무 제도들을 취합ㆍ분석하고 미래형 개념들을 융합하여 앞으로의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 정의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 정의를 바탕으로 관련된 잠재변인들을 찾아내어 구조화하고 분석함으로써 스마트워크가 제도로서 뿐만 아니라 일과 삶의 방식으로 정착하는데 근간이 되는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2) 산업사회, 정보사회를 넘어 스마트 사회에서의 “일”에 대한 의미 분석 필요
    정보 사회에서 지식 기반 사회로, 그리고 지식 기반에서 또 다른 미래형 스마트 사회로 전이하여 가는 사회적 과정에 있어서 스마트워크는 현대 사회 생활의 초점이 되고 있는 “일”의 변화상을 파악하기에 최적화된 키워드이자 모델이다. 산업 사회에서는 산업화에 따라서 공장이 생기고 단순 반복 작업은 기계에 의해 자동화 되었다. 후기 산업사회로 변화하면서 여기에 지식 정보 기술이 같이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반복적 업무의 자동화는 더욱 가속화되었고, 인간의 “일”은 많은 변화를 겪는다. 정보사회가 도래하면서 당연시 여겨지던 과거의 많은 직종들이 사라지고, 같은 직종이라 해도 업무 방식 자체가 변하였다. 스마트 사회로의 변화가 시작되고 있는 현재, 앞으로 “일”이 어떻게 변화할지, 그 과정에서 어떠한 직종이 생기고 사라질지, 일의 변화에 따라 삶의 어떠한 변화가 초래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이 제시하는 방향성의 초점에는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욕구가 내재되어 있다. 지식 기반 사회에는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지식 근로가 주를 이룰 것이고 이러한 근로자들에게는 스마트워크가 적합하다는 주장들이 각종 스마트워크 관련 서적들과 제안 논문들(Lee et al. 2007; Kvande, 2009)을 통해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실증적으로 분석한 학술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 사회에 적합한 일의 특징, 그에 따른 효율적인 근무방식으로서의 스마트워크, 스마트워크로 인해 초래되는 삶의 변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3) 스마트워크 활성화 과정에서 예측과 조정을 위한 실증적 모델 부재
    ICT가 업무에 활용되면서, 그리고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기기들의 대중화와 더불어 일과 업무는 변화하고 있고, 이러한 변화와 함께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다양하게 발달되어 나갈 가능성이 기술적으로 열리고 있다. 최근 IBM, Microsoft와 같은 다국적 기업들과 우리나라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스마트워크를 제도화 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있으나 아직까지 그 확산속도가 기대만큼 빨라 보이지는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의 실제적 실행과 구축을 둘러싸고 있는 기술 외적인 사회적ㆍ제도적 요인들과 변화들에 대해서는 아직 우리의 이해가 일천한 상황이다.
    근로자의 성향이나 자질과의 관련성, 조직의 관리 방식 및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현행 인사조직 지원제도의 적합성, 성과평가와의 관련성 등 “일”의 변화에 수반하거나, 수반하여야 하는 부분들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도 실증분석이 필요하고 새로운 제도나 정책의 효과를 예견하는 데 있어서도 실증분석이 필요하다. 관련 사례의 수집과 분류, 증상의 원인과 해결책 등, 기술외적인 환경 요소들에 대한 심층 조사의 결과들은 우리가 원하는 삶의 질을 달성할 수 있는 행복한 사회의 모습과 과정을 제시할 수 있는 증거 기반 정책 (evidence-based policy)의 토대를 제공하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기대효과
  • 1)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토대 구축

    스마트워크와 일의 변화, 삶의 질에 대한 이론적ㆍ실천적 연구와 학제 간 상호 교류를 통해 축적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사회과학 연구 경쟁력을 향상 시키는 학술적 기여를 할 것이다. 또한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스마트워크를 통한 체계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사회 실천적인 기여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장기적으로 연구자의 국제 교류와 스마트사회연구개발단의 성장을 통해 한국적 경험을 바탕으로 축적된 학문적ㆍ실무적 연구 성과를 다른 선진국가의 연구진과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 스마트워크, 스마트사회에 대한 학제간 연구의 활성화

    이제까지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연구들은 재택근무에 적합한 가구 디자인이나 도시 환경, 여성이나 장애인에 대한 연구에 국한되어 부분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최근 관심이 증가하면서 보안 기술이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정책 제안 연구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대부분 공급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공학, 또는 행정학 분야에 치우쳐져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제 ICT의 발달과 함께 도래한 융합의 시대를 맞이하여 다학제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워크와 스마트 사회에 대한 연구는 정보학, 산업 공학과 같은 사회과학의 융합형 학문 분야에서 수행되는 것이 적합하다고 본다. 스마트워크는 현재의 단순한 근무형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일의 변화를 초래하여 삶의 질이 변화시키는 사회변동 측면에서 연구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회과학의 각 분야 간의 학제간 연구가 필수적이며, 연구를 수행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행정학, 정책학, 경영학 및 심리학, 인문학의 방법론과 이론의 통섭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3) 스마트워크에 대한 소셜인포메틱스 관점의 대응방안 제시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를 통해 앞으로 다가올 스마트 사회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스마트사회는 정보화를 넘어서 지식기반 사회로 전이될 것이라고 예견되고 있는바, 스마트워크에 대한 심층 연구를 통해 개인, 조직, 사회 차원에서 업무와 기술이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변화하는 방향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예측의 기반을 마련해 줄 수 있으며,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국제협력 강화

    본 연구팀은 연구초기 단계에서부터 해외 대학 소속의 외국인 연구자를 공동연구자로 포함하여 국제적인 공동연구를 추구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은 우리나라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개념으로, 스마트 기술 선도국가인 우리나라가 전자정부, u-City등의 성과들과 함께 대표적인 ICT융합 개념으로 국제사회를 선도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성과의 단계별 해외 저명 학술지 투고, 국제협력으로 섭외된 UN 경제사회부(UNDESA), Center for Electronic Government,, UNU IIST, UCI(UC at Irvine)의 CRITO, SUNY at Albany의 CTG, 중국의 사회과학원 등의 기관과의 긴밀한 협조 및 정보교류, 공동연구 추진, 중장기적으로 스마트사회 연구개발의 지속 성장을 통한 국제협력연구센터 설립과 워크숍 등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5)기타 기대효과
    스마트워크라는 용어는 국내의 공공부문에서 선도적으로 개발한 신조어로서 이를 뒷받침할 학술적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참여 연구원들은 이러한 학술적 흐름을 예견하고 소규모 그룹으로서 관련 연구를 진행하여 오고 있었다. 아울러 전략적으로 국내 스마트 워크 포럼의 발족에 참여하여 기업과 공공의 참여를 독려하는 활동을 하고 있고 이미 많은 사례를 수집하였다. 또한 국내ㆍ외 저술 활동을 할 예정인데, IGI Global Press를 통하여 edited book series on “Smart Work”를 2년차와 3년차에 출간할 계획으로 있다. 1, 2, 3단계의 각 단계별로 SSCI와 SCI의 저널에 매년 연구자당 1편씩 발표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최종적인 목적으로는 국제 연구그룹을 형성하여 학술적 조류를 만들어 내고자 하는 바 소형단계 3년간은 기초 문헌 연구 및 조사ㆍ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국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산 중 국제협력에 40%이상 집중적으로 투여할 것이며 전술적으로 초기 2년 동안은 저명 국제학술대회에 스마트워크 트랙이나 세션, 튜토리얼을 제안하여 승인받아 구성 진행하여 연구 여론을 모을 것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연구프레임워크에 따라 수행되며, 각 세부 주제/연차별로 연구자 4인이 공동연구를 수행한다. 소형 1차년도 단계에서부터 해외 대학에서 관련된 연구센터의 센터장을 연구원으로 포함하여 국제 협력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1) 1차년도 Theories for and of Smart Work
    1차 년도에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스마트워크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고 개념을 정립하고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도출한다. 국내ㆍ외 문헌 6,000여건을 중심으로, 개별 연구자의 연구 분야에서 스마트워크 또는 스마트워크의 전신인 재택근무, 유연근무, 원격근무, 그리고 근로자의 삶과 일의 균형, 조직 생산성 향상, 성과 중심 주의 등의 다양한 키워드에 대한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해 수행한다. 체계적인 문헌 연구(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메타 에스노그라피/분석(Meta Ethnography/Analysis) 방법론을 활용한다.
    2) 2차년도 Work and Task: Typology and Modularizing
    1차년도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적으로 설정된 업무, 기술, 개인, 조직 제도 및 관리 등의 차원들에 관련된 변수들의 분류와 영향 관계에 대하여 스마트워크를 수행한 조직에 대한 사례 연구(Case study), 설문 조사(Survey)를 통한 실증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유형과 영향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각의 사례와 연구조사는 국내ㆍ외의 우수한 스마트워크 추진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국제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3) 3차년도 System and Deploy: Governing Framework
    소형단계의 연구를 통해 스마트워크 적합 업무 특성, 스마트워크 환경별 최적의 스마트워크 기술,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에 따른 스마트워크의 형태 및 업무 협업 스타일, 근로자 개인의 삶과 일의 균형, 조직 및 사회 차원에서 성과 중심 주의 문화 및 스마트 도시 등의 연구 결과들이 각 세부 주제별로 도출될 것이 예상되는 바, 소형 마지막 3차 년도에서 이들을 종합하여 스마트워크 발전 모델, 성공적인 스마트워크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과 같은 종합 프레임워크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4) 대외적으로 스마트워크 포럼에 적극 참여하여 연구 성과를 홍보하고 관련 타 분야와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스마트워크를 중점 사업으로 추진하는 정부 산하기관, 선도적으로 제도화 및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는 통신사업자, 해외에서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이미 제도화하여 수행하고 있는 다국적 기업 및 학계를 포함한 타 연구기관들과의 긴밀한 정보 교류 및 연구 결과 공유를 통해 본 연구과제의 성과를 극대화 하고자 한다. 또한 매년 국제 학술세미나 세션을 주도하여 본 연구의 단계별 성과 발표 뿐만 아니라 각국의 뛰어난 연구자들과의 교류에 힘쓰고자 한다.
    5) 중ㆍ대형 연구 단계
    중형연구 단계의 주제는 “스마트 사회”로서 소형 단계에서 수행된 스마트워크를 중심으로 근로자로서의 개인 이외의 삶과, 공공 부문의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행정으로 그 연구의 범위와 규모를 확대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사회연구개발단”을 연세대학교 산하에 발족하여 연구와 교육을 진행하면서 국제적인 저술과 논문의 출간에 주력할 것이다. 주요 결과물로는 단계별 연구 결과물들을 시리즈로 해외 저명 학술지에 게재하고, 관련 연구들을 모아서 Edited Book을 출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형 단계의 대 주제는 중형 단계의 연구주제인 스마트 사회를 중심으로 타 사회과학 분야에서 추진해 온 교육, 문화 등의 주제들과 융합한 형태인 “스마트 시대(Smart Era)”로 제시해 보았다. 이 단계에서 국제 협력연구센터(가칭: Institute of Technology and Future Society)로 탈바꿈을 하고, 아울러 연구센터의 개소 기념 국제워크숍을 개최하여 관련 연구자들로부터 국제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6) 국제협력계획
    본 연구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스마트 관련 국내ㆍ외 연구 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연구 성과 교류 및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초기 소형단계에서부터 해외 대학 소속의 외국인 교수를 공동연구원으로 선정하여 수행하도록 연구팀을 구성한 것이 본 연구진의 강점이다. 아울러서 현재까지 확보되어 있는 연구자들의 네트워크도 강화할 예정인데, 지금까지 본 연구과제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협력의지를 보이고 있는 국제 기관들은 다음과 같다. (UN 경제사회부(UNDESA),Center for Electronic Government,, UNU IIST(United Nations University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oftware Technology, 마카오 소재),SUNY at Albany의 CTG(Center for Technology in Government), UCI(UC at Irvine)의 CRITO(The Center for Research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Organizations), 중국의 사회과학원)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Smart Work)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스마트워크의 속성을 기술의 활용과 업무의 변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협업 스타일의 변화, 그리고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 조직 차원의 성과 중심 관리와 조직 학습 등의 세부 주제로 분류하고 연구를 진행함. 연구의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스마트워크'를 키워드로 하여 그 의미와 미래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스마트워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음 여섯 가지 관점을 도출함: Task, Technology, Time, Place, People, Organization.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여섯 가지 관점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각 연구원들이 두 가지씩의 차원들을 연계시켜 문헌과 이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고, 이에 대한 실증과, 사례를 분석함. 연구의 큰 맥락은 Task & Technology, Time & Place, People & Organization으로 분류하였으며, 성공적인 연구의 완수를 위하여 각 해당 내용들은 그들에 적합한 이론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자 함. 아울러,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연구(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 정리, 스마트워크 분석, 일의 변화 분석, 영향 요인 변수 추출 및 프레임 워크 구성 등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함. 체계적인 문헌 연구는 기존 선진 연구자들에 의해 정리된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선행 연구들은 어떠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실시하였음. 또한, 이론적 모델들을 실증 분석하기 위해 실제 사례 연구 방법(Case study)과 스마트워크 근로자 및 관리자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실증 분석 데이터들을 수집함. 마지막으로, Analytical & Analogical Reasoning 방법과 메타 신서시스(Meta-Synthesis)방법을 이용하여 각 주제별, 연차별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융합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성공적인 스마트워크의 도입과 성과 관리 및 발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의 단계에서는 분석 결과로 나온 요인 인과관계를 바탕으로 전문가 및 관련 업계 종사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종합하고 연구결과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의미들을 도출하였음. 본 연구를 결과를 활용하여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스마트워크 분야의 새로운 학술 이론 제시할 수 있으며, 실증 분석을 통한 학문의 발전을 이루는데 필요한 실무적, 정책적 제언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 또한 기존 연구의 결과 검증 및 적용뿐만 아니라 새로운 이론의 발굴을 통해 사회과학 분야의 학술적인 공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고 연구 생산 및 연구결과 확산 활동을 통해 학문적 관심을 촉발하며 관련 연구들의 활성화를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또한 사회적 측면에서 연구를 통한 정책을 개발 및 제안하여 미래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이상적인 일의 구성과 근로자 및 정보 관리, 변화로 인해 초래되는 다양한 사이드 효과 등에 대한 예측과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창조경제, 청년실업, 여성경력 단절, 고용 없는 경제성장, 근로자 일과 삶의 균형, 지식근로자 관리, 정보시스템 발전 방향 등의 사회적 문제들에 대하여 정책적인 해답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마지막으로, 미래형 연구인력 양성에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었음. 본 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급 전임 연구 인력과 연구원 보조로 참여하는 학위과정 학생들이 연구결과물을 공유하면서 학위논문을 포함한 연구 실적을 산출하였으며, '일과 직업' 연구 분야의 차세대 사회과학자 육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임
  • 영문
  • This research established the main concept based on analyzing antecedent researches about Smart Work, And classify detailed subjects of Smart Work attributions such are: conjugate technology and task alteration, transition of cooperation style based on time and places, and individual business and balance of life, organization's performance-based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ational learning, etc. To materialize this research, we tried to grasp meanings and futurity using keyword "Smart Work" and examin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tecedent studies related to Smart Work. By doing so, we could deduct 6 perspectives directly related to Smart Work: Task, Technology, Time, Place, People, and Organization. On the basis of 6 mutually related perspectives, each researchers linked dimensions of both literature and theory to process this research and analyze empirical and case studies. The main context of this research is classified into Task & Technology, Time & Place, and People & Organization. For successful research accomplishment, we are trying to conjugate suitable theory and methodology for analyzing each related contents. Furthermore, overall persp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pply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implement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organize concept of Smart Work, analyze Smart Work, analyze task alteration, extract influenced constraint factors and construct framework. The purposes of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re: to organize the existing concept of Smart Work based on advanced researcher's work, understand recent research trend, and analyze limitations of antecedent researches. Also, to empirically analyze theoretical models, we collected empirical analysis data through methods such as case study and interview by Smart Work employees and supervisors. Lastly, we are trying to propose guideline for successful Smart Work adoption, performance management and development by applying Analytical & Analogical Reasoning method and Meta-Synthesis method to deduct framework from converged each subjects and annual research outcomes. To exploit this research outcome, it could possibly propose new scientific theory in Smart Working field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quality of life, and it can support practical and policy proposal which are needed for academic develop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Additionally, this research could not only applied and verified the outcome of existing research, but also expecting to accomplish academic contribution through finding new theory in social science field, trigger of academic interest through diffusion of research outcome and production, and revitalize related researches. Moreover, the outcome could develop and propose the policy through sociological research to arrange ideal work formation, management of labors and information, forecast and direction of reaction towards various side effects from alteration by expecting to provide political solution towards social issues such as: creative economy, young unemployment, job discontinued women, economic growth with unemployment, labor's work and balance of life, knowledge worker management, and information system direction of improvement. Lastly, the result aids the arrangement of fostering futuristic research manpower. The participants of this project; full-time doctoral researchers and research assistant master's degree students shared their research outcomes to produce research results including thesis, and directly contribute to foster next generation social scientists in "work and job" research field.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Smart Work)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을 정립하고 기술의 활용과 업무의 변화, 시간과 공간에 따른 협업 스타일의 변화, 그리고 개인의 일과 삶의 균형, 조직 차원의 성과 중심 관리와 조직 학습 등의 세부 주제를 연구하고자 하였음
    연구의 내용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스마트워크'를 키워드로 연구하여 그 의미와 미래상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한 결과, 스마트워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다음 여섯가지 관점을 도출함: Task, Technology, Time, Place, People, Organization
    상호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여섯가지 관점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에서는 각 연구원들이 두가지씩의 차원들을 연계시켜 문헌과 이론 연구를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고, 이에 대한 실증과, 사례를 분석함. 또한 국제협력에 있어서는 맡은 차원에 관계없이 공동으로 협업할 수 있도록 연구를 구성함
    연구의 큰 맥락은 Task & Technology, Time & Place, People & Organization으로 분류하였으며, 성공적인 연구의 완수를 위하여 각 해당 내용들은 그들에 적합한 이론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자 함
    아울러, 전체적인 관점에서의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 연구(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방법을 이용하여 스마트워크에 대한 개념 정리, 스마트워크 분석, 일의 변화 분석, 영향 요인 변수 추출 및 프레임 워크 구성 등의 이론적 고찰을 실시함. 이를 위해 질적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메타 에스노그래프(Meta-Ethnography)와 실증 연구의 통계적인 측정치들을 취합하여 총괄 분석하는 메타 어낼러시스(Meta-analysis)방법을 병행하여 수행하였음
    또한, 이론적 모델들을 실증 분석하기 위해 실제 사례 연구 방법(Case study)과 스마트워크 근로자 및 관리자 인터뷰 및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통해 실증 분석 데이터들을 수집함
    마지막으로, Analytical & Analogical Reasoning 방법과 메타 신서시스(Meta-Synthesis)방법을 이용하여 각 주제별, 연차별 연구결과들을 종합하고 융합한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성공적인 스마트워크의 도입과 성과 관리 및 발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본 연구를 결과를 활용하여 워크사이언스의 새로운 학술 이론 제시와 실증을 통한 학문의 발전을 이루는데 필요한 실무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으며, 이는 기존 연구의 검증 및 적용뿐만 아니라 새로운 이론의 발굴을 통해 사회과학 분야의 학술적인 공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되고 연구 생산 및 연구결과 확산 활동을 통해 학문적 관심을 촉발하며 관련 연구들의 활성화를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또한 사회적 측면에서 연구를 통한 정책을 개발 및 제안하여 미래 지식정보사회에서의 이상적인 일의 구성과 근로자 및 정보 관리, 변화로 인해 초래되는 다양한 사이드 효과 등에 대한 예측과 대응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창조경제, 청년실업, 여성경력 단절, 고용 없는 경제성장, 근로자 일과 삶의 균형, 지식근로자 관리, 정보시스템 발전 방향 등의 사회적 문제들에 대하여 정책적인 해답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됨
    마지막으로, 미래형 연구인력 양성에 기틀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었음. 본 과제에 참여하는 박사급 전임 연구 인력과 연구원 보조로 참여하는 학위과정 학생들이 연구결과물을 공유하면서 학위논문을 포함한 연구 실적을 산출하였으며, '일과 직업' 연구 분야의 차세대 사회과학자 육성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임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1차 년도에는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워크와 관련된 용어를 정의하고 개념을 정립하고자 함. 본 연구과제 제안을 위해 사전적으로 수집된 국내ㆍ외 문헌 6,000여건을 중심으로 하여, 개별 연구자의 연구 분야에서 스마트워크 또는 스마트워크의 전신인 재택근무, 유연근무, 원격근무, 그리고 근로자의 삶과 일의 균형, 조직 생산성 향상, 성과 중심주의 등의 다양한 키워드에 대한 기존 문헌 분석을 통해 수행하였음. 연구에 주로 쓰인 방법론으로는 체계적인 문헌 연구(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메타 에스노그라피/분석 (Meta Ethnography/Analysis) 방법론을 활용함. 위 연구 수행 내용의 결과로 기초 연구 사례들과 문헌들을 정리한 프레임워크를 스마트워크와 관련한 기초연구를 실시하여 확립함. 해당 프레임워크는 차년도 연구를 위한 세부분야를 Work Design, Work informatics, Work Behavior로 분류하는 데에 활용되었으며 역할 분담 및 추가 검색 필요성을 검증할 수 있는 연구의 기틀로 활용됨
    1차 년도의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일의 변화상에 대하여 업무와 기술 관점,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에 따른 협업 스타일, 그리고 개인 삶의 질과 조직성과 주의 관점 등 세 가지 주제별로 연구를 수행함. 특히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개념적으로 설정된 업무, 기술, 개인, 조직 제도 및 관리 등의 차원들에 관련된 변수들의 분류와 영향 관계에 대하여 스마트워크를 수행한 조직에 대한 사례 연구(Case study), 설문 조사(Survey)를 통한 실증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유형과 영향관계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함. 각각의 사례와 연구조사는 국내ㆍ외의 우수한 스마트워크 추진 조직을 대상으로 하여 국제적인 연구를 수행함. 연구 수행 계획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워크의 방대한 스마트워크의 범위를 고려한 프레임워크를 정리 한 후 세부 연구는 분야별로 순차적으로 접근할 계획을 수립함. 또한 스마트워크라는 용어보다는 Transformation of Work이나 Changing Nature of Work이라는 용어까지 포함하여 저널과 저서의 테마를 정리하고자 함. 이렇게 정리된 용어를 통해 스마트워크의 국제적 트랜드를 고려한 “Changing Nature of Work via ICT”라는 이름을 활용하여 국제 워크샵을 수행하고 국제학술대회의 트랙들을 운영함. 이는 스마트워크라는 직접적인 용어보다 학술적인 용어를 활용하여 좀 더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낸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국제적인 평판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됨
    3차년도 연구 수행 내용으로는 앞서 1, 2차 년도에 탐색한 이론적 모델과 실증 분석을 바탕으로 검증된 스마트워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종합하는 과정을 수행함. 또한, 프레임워크 구축에 필요한 다양한 방법론들을 활용하여 기존에 3분류로 나누었던 각 세부 주제별로 수행된 연구결과들에 대한 결과를 융합하여 스마트워크에 대한 종합적인 프레임워크를 도출함. 아울러, 소형 단계에서의 연구를 통해 스마트워크 적합업무 특성, 재택ㆍ모바일ㆍ스마트워크 센터 등 각각의 스마트워크 환경에서 최적의 스마트워크 기술과 시간과 공간의 유연성에 따른 스마트워크의 형태 및 업무 협업 스타일, 근로자 개인의 삶과 일의 균형, 조직 및 사회 차원에서 성과 중심주의 문화 및 스마트 도시 등의 연구 결과들을 각 세부 주제별로 도출하여, 소형 마지막 3차 년도에서 이들을 종합하여 스마트워크 발전 모델, 성공적인 스마트워크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과 같은 종합 프레임워크를 수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음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분야에 적용해볼 수 있음. 우선, 학술/이론의 개발, 실무적 정책 가이드라인 제시, 그리고 대형 연구센터 준비 등 세가지 목표를 이루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음
    먼저, 한국 사회의 일과 직업 및 삶의 현실에 대한 진단을 해볼 수 있음. 특히, ICT와 사회구조 변화에 따른 일과 직업의 현실 및 미래를 분석하여 이론 개발 및 실무적 해결방안 모색해보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음. 또한, 국내 워크사이언스 연구의 구심점 역할을 유지할 수 있음. 이를 통해, 미래의 일과 직업에 대한 심화연구를 통해 워크사이언스 이론화 및 학술적, 지적 기반을 조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 있음. 아울러, 국제네트워크 구성 및 활성화에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음. 예를 들면, 영문 웹사이트 및 뉴스레터 운영을 통해 다음 연구단계에서는 글로벌 워크사이언스 연구센터로 발돋움할 기반을 조성하는 데에 크게 활용될 수 있음
  • 색인어
  • 워크사이언스, 정보통신기술(ICT), 일과 직무의 변화, 잡크래프팅, 삶의 질, 사회변동, 직업이동, 직업사회화, 직업부분문화, 원격업무, 유연화 업무, 업무의 변화, 일의 속성 변화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