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결과
방송통신 융합환경과 급변하는 멀티미디어 매체의 발달로 얻게 되는 편리함과 효율성의 증대 효과만큼 그에 상응하는 부작용을 예방하고, 분쟁에 대비하여 법령을 정비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고 절실한 당면 과제이다. 그러나 그 중요성이 높은 만큼 균형성 ...
1. 연구결과
방송통신 융합환경과 급변하는 멀티미디어 매체의 발달로 얻게 되는 편리함과 효율성의 증대 효과만큼 그에 상응하는 부작용을 예방하고, 분쟁에 대비하여 법령을 정비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고 절실한 당면 과제이다. 그러나 그 중요성이 높은 만큼 균형성과 합리성을 견지하는 데 있어서 심도 깊은 연구가 선행되지 않고서는 섣부른 입법 및 개정이 초래할 사회적 파장이 큰 분야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팀은 소형 연구단계에서 얻은 성과를 통해 기초적인 동향의 파악 및 일부 문제의 해결을 이루었다고 판단하며, 연구기간 동안 게재한 논문과 학술대회 등을 통한 네트워킹의 결과 축적된 연구역량으로 관련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지속함으로써 보다 우리 사회에 적용가능하고 유의한 결론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는 본 연구팀의 3년간 연구 논문 게재 성과이다.
(1) 글로벌 인터넷 거버넌스의 규범적 검토 -ICANN에 의한 Domain Name System 규제를 중심으로-, 정보법학, 2014.08
(2) 정보헌법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의쟁점,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4.06
(3) The constitution and the Future of Internet Self-Regulation,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4.03
(4) The Status of Reviews by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014.03
(5) 방송시장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공영방송 재원구조의 개선에 관한 연구, 법학논총, 2013.12
(6)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NS)규제의 원칙에 대한 시론적 고찰, 미국헌법연구, 2013.12
(7) 중국의 미성년자 보호를 위한 법제에 대한 체계적 해석과 재구조화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2013.06
(8) 인터넷실명제 위헌결정과 공동체자율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토지공법연구, 2013.05
(9) 방송법 제9조에서 허가·승인·등록의 법적 의의에 관한 연구, 성균관법학, 2013.09
(10) 제한적 본인확인제 위헌결정에 따른 대안모색, 토지공법연구, 2013.05
(11) 새 정부의 진흥정책이 유료방송시장에 미치는 영향 : 중점관리효과와 경로의존성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2013.06
2. 활용방안
본 연구팀은 융합적 연구를 시도한 바, 헌법, 행정법, 국제법과 언론학, 아동·청소년학이 맞닿은 미디어 관련 규제에 있어서 시대착오적이거나 부조리하거나 혹은 흠결이 있는 법령을 개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따라서 그 방향성이 모호하거나 일관적이지 않을 수 있는 융합적 연구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고, 소정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법학 이론 연구에 중점을 두어 자칫 탁상공론이 되기 쉬운 법학 연구에 있어서 실무적으로 언론학과 아동청소년학을 접목시킬 수 있었기에 팀의 연구력이 유·무형으로 향상되었고, 연구의 독창성이 제고되었다. 또한 국내외 100회 이상의 학술대회 및 컨퍼런스의 참여성과는 연구팀의 연구 역량과 의지를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할 수 있으며, 이같은 연구역량은 향후 후속연구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팀이 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를 통한 3년간의 융·복합적 연구 성과와 축적된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더욱 발전시켜왔고, 당초의 계획대로 방송통신규제 및 멀티미디어규제에 관한 정책과 입법에 이미 기여하였거나 후속 연구의 초석을 다지는 기초 연구를 수행한 만큼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정책입안과 법령 제개정에 기초연구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