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변경지역의 구조적 변동에 관한 연구
Socio-economic dynamics of Coffee Frontier in Central Highland, Vietnam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공동연구지원사업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2S1A5A2A03034237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2 년 (2012년 09월 01일 ~ 2014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조영국
연구수행기관 협성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공동연구원 현황 김두철(岡山大學)
정수열(상명대학교)
이상율(대구가톨릭대학교)
이승철(동국대학교)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베트남 중부 고원지대의 커피변경지역의 장소성 및 그 변화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커피변경지역이란 명칭은 미개발지이던 곳이 커피산업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지는 변경이라 해서 붙인 이름이다. 공식 명칭은 아니나 학술문헌에도 사용될 만큼 널리 사용된다.
    변경(frontier)은 국경(borderland)과 다르게 일정한 영역을 가진 공간 단위이다. 변경은 원래 한 국가의 정치적 지배력이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는 지역이면서, 경제적으로도 국가 경제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지역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래서 저개발국의 경우 도시주변부에도 변경이 존재할 수 있다. 20세기 후반부터 변경은 인구의 정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인구가 희박한 국가 영토의 한 부분이란 의미를 넘어서 다양한 의미로 규정된다. 주변지역을 넘어서 중간지대(in-between), 정치적으로 완충지대, 경제적으로 개발을 통한 막대한 잉여의 생산지역(vent for surplus), 공동체 해체가 격렬하게 진행되는 지역 등 변경을 묘사하는 다양한 비유적 표현이 동원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최근에 변경은 글로벌상품사슬과의 직접 연계, 자원개발자본의 각축장 등 글로벌 자본주의경제의 치열한 현장이 되고 있다. 또 변경은 국가의 발전주의 전략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공간이 되었다. 따라서 변경은 선진국의 대도시권과 일부 신산업지대, 개발도상국의 신흥공업지역과 더불어 현 단계 글로벌 자본주의 경제의 핵심 장소로 부각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베트남 중부 고원지대도 아시아의 대표적인 변경지역 중의 하나이다. 중부 고원지대는 캄보디아 국경에 인접해있으며, 베트남의 주류 민족집단과 다른 소수민족들이 거주하는 삼림지대였다. 프랑스 식민지시대부터 이 지역을 개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지고,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홍강 델타지역을 비롯한 저지대의 과밀 인구를 해소하기 위해 저지인의 이주정책이 집중된 지역이었다. 1986년 이후에는 베트남 정부가 개방정책(Doi Moi)으로 전환하면서 삼림개발과 커피재배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농업변경지대(agricultural frontier)이다. 20세기말부터 베트남은 세계 2위의 커피원두수출국으로 성장하였는데, 그 핵심지역이 바로 중부고원지대이다. 그래서 이 지역을 'coffee frontier'라는 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현재 이곳에는 삼림개발과 커피수입을 위한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진출해있고 베트남 정부의 정치적, 경제적 전략의 핵심지역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형적 성장 이면에는 소수민족의 거주지역의 해체, 격렬한 계층분화, 심각한 환경문제의 발생 등 오늘날 변경지역의 특성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는 지역이다.
    베트남 중부고원지대를 비롯한 아시아 주요 변경지역의 역동적 변화 양상에 대한 학문적 관심도 최근 집중되고 있다. 이는 글로벌 자본들이 이 지역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면서 현 단계 세계자본주의 경제의 뜨거운 현장이 되고 있다는 인식이 널리 펴져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경제학, 사회학 그리고 지리학 등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아시아 변경지역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000년 ‘Asia Pacific Viewpoint 41(1)'와 2009년 'The Geographical Journal 15(2)' 두 저널이 아시아 변경지역에 대한 연구 특집호를 발행한 것도 이 분위기를 반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외에도 많은 개별 논문들이 2000년대 들어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지리학자들이 현 단계 글로벌 경제의 뜨거운 현장 중의 한 곳이며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베트남 중부고원지대의 변경지역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전세계 관련 분야의 지식생산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근본 취지를 갖고 기획된 것이다.
    학술적 차원이 아니라 국가의 위상과 관련하여서도 지리학의 해외지역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구미의 지리학계뿐만 아니라 일본의 지리학계는 상당히 오래전부터 해외지역 연구를 활발히 추진해왔다. 그러나 국내의 지리학계는 국가의 위상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외지역연구에서 취약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국가의 위상에도 불구하고 국제학술대회에서 국내 사례 연구발표에 치중하는 편협한 학문풍토를 드러내고 있다. 더구나 최근 우리 정부는 개발도상국에 대한 개발원조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피원조국가에 대한 기초 정보 제공에 지리학계는 아무런 기여를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연구기획은 이러한 반성에서 출발하여 해외지역 연구의 경험을 쌓고, 동시에 해당 지역 연구를 계속 추진할 수 있는 학문적 네트워크를 시급히 구축함으로써 향후 본격적인 해외지역 연구를 위한 토대를 쌓고자 하여 추진된 것이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 본격적인 지역 연구의 모델 제시: 본 연구는 향후 지리학계가 지역연구 분야를 수행할 때 연구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연구모델이라 함은 연구틀,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연구 기획 측면에 있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주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델을 제시해줌으로써 상대적으로 취약한 국내 지리학계의 지역 연구 수준을 한 단계 높이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베트남 변경지역에 대한 이해 제고: 베트남 변경지역은 최근 연구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는 만큼 여전히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지역의 급격한 변화 추세를 고려할 때, 연구는 극히 미진하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베트남 변경지역은 자본주의시장제도를 막 도입한 전환경제 체제 하의 변경지역이므로 다른 변경지역과의 차별성도 있다. 따라서 베트남 변경지역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국내외 관련 분야의 지식 축적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 아시아 변경지역 연구를 위한 이론적 분석틀 제공: 현재 지리학 분야에서 변경지역 연구를 할 때, actor-network 접근, 글로벌상품사슬 개념, 다규모적 접근(multi-scalar analysis)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 최근에는 관계론적 접근(relational approach)이라는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접근틀을 염두에 두고 현장을 분석하여 각각의 적실성에 대한 검토를 하게 될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아시아적 맥락에서 변경지역을 하는데 적절한 분석틀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2 사회적, 정책적 기여
    ◦ 우선 우리나라가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해외개발원조사업을 하는데 지리학적 연구방식이 가지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베트남 중부고원지대라는 특수한 지역에서만 유효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여러 지역에 두루 적용할 수 있다고 본다. 특히 지리학적 접근법이 해외개발원조사업을 실시할 때, 사업발굴, 사업추진방식 결정에 큰 도움을 주게 될 것이다.
    ◦ 변경을 포괄적으로 정의하면, 한 국가의 주류 정치, 경제에서 벗어나 있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통일 후 북한도 남한의 관점에서 보면 변경 지역이 될 수 있다. 다른 학문분야에서도 개방체제 하의 베트남을 연구하여 북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시사점을 얻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도 통일 후 북한 사회의 통합 전략을 마련하는데 일정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방안
    ◦ 인력양성 측면: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보조원들을 베트남 현지조사에 최대한 동참시키려 한다. 이는 졸업 후 진로 설계 시 장차 지역전문가나 본격적인 해외지역연구인력으로 성장하는데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 형성된 베트남 현지 인력과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추후 질 높은 개별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므로, 해외연구지역전문가로서 손색이 없는 인력으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 교육과의 연계 방안: 이 연구의 결과물은 중등학교 세계지리 교육 및 대학 교양강좌 시 중요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연구 종료 후 내용 보강과 기술 수준을 고쳐 교양교재나 일반인을 위한 교양서적을 시도할 계획이다.

  • 연구요약
  • 본 연구기획의 연구내용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번째 부분은 베트남중부고원지대 변경 틀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두번째 부분은 커피변경지역으로 성격 변화에 결정적 작용을 한 커피산업의 구조적 특성과 그 생산지리에 관한 부분이다. 세번째 부분은 최근의 커피산업 구조 변동이 미치는 사회경제적 영향을 다룬 부분이다. 연도별 연구내용구성과 세부연구주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1차년도 연구내용
    ◦ 중부고원지대에 있어서 변경개발정책의 전개와 그 배경: 이 세부연구주제는 개방이후 베트남 정부가 취해온 변경정책을 평가하는 것이다. 중부고원지대의 지역성을 형성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미친 제도적 장치들을 평가한다. global-national-local 관계, 다중스케일 관점을 적용하여 정책의 변화 양상 및 배경 그리고 중부고원지대에서의 수용 양상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 사례지역에 있어서 변경개발의 지역적 전개양상: 본 세부연구주제는 세부연구주제 1을 사례 지역의 맥락에서 시기적 변화, 다양한 지역적 전개 양상을 구체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각종 변경정책이 변경 개발의 공간적 전개 양상과 개별 촌락의 공간구조에 어떤 작용을 하였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이 점은 변경개발 과정의 구체적 象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최근 이주동향과 이주자의 이주과정에 관한 연구: 이주시기, 이주동기에 따른 이주자 유형을 구분하고, 시기별 이주자 유형의 동향과 각 유형별 구체적 이주동기, 이주과정, 이주 및 이주 후 적응 양상 및 이주 자원 측면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주자 유형의 특성 차이와 그들의 사회적 관계망 사이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변경지역의 장소성을 만드는 핵심 요소인 이주 현상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커피산업의 구조변동 : 글로벌상품사슬과 중부고원지대의 커피 변경지역간의 결합은 이 지역의 성격 변화에 결정적 작용을 하여왔다. 특히 최근에는 세계적 커피업체의 직접 진출과 베트남커피가공업체의 해외진출 등 새로운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역의 커피산업구조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게 된 배경을 탐구한다. 그리고 이것이 이지역의 생산지리에 어떤 작용을 하게 될 것인지 논의하고자 한다.
    ◦ 커피산업 관련 제도적 기구의 역할과 관계구조 분석: 본 세부연구는 커피변경지역의 생성과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기구들의 역할과 관계구조를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제도적 기구들간의 관계구조 뿐만 아니라 세계적 커피기업 및 생산자들과의 관계까지 분석하여 중부고원지대 커피변경지역에서의 제도적 기구의 역할을 평가하고자 한다.
    2. 2차년도
    ◦ 생산조직화, 노동조직 그리고 커피재배지역의 발달: 커피생산지역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에는 생산조직화 현상, 독특한 노동조직의 존재가 보고되고 있다. 현재 베트남중부고원지대에는 이에 대한 보고가 없다. 그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그 존재가 커피재배지역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반대로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 배경을 탐구하고자 한다
    ◦ coffee bust 시기에 있어서 소규모 생산자의 적응전략: 커피가격 하락에 따른 생산자의 적응전략을 탐구한다. 여기서는 소규모 생산자들의 생계자산의 종류, 규모 보다는 가능한 생계자원에 대한 접근 능력 및 그 제약요인 등 소규모 생산자의 생계활동의 지속가능성 측면(sustainable livelihood approach)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자 한다.
    ◦ 커피변경지역에 있어서 소수민족사회의 적응 양태: 본 세부연구에서는 소득격차 측면 보다는 사회적 배제 측면에 주목하여 소수민족의 존재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소수민족의 사회적 관계 특성을 분석하고, 주류민족집단의 그것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발생하는 배경은 무엇인지 등을 밝혀 사회적 배제가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밝힌다.
    ◦ 커피변경지역에 있어서 전통적 삼림관리 방식의 변화 양상: 세부연구주제 8이 커피재배 발달이 소수민족사회 혹은 소수민족마을의 사회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것이라면, 세부연구주제 9는 자원 측면에 포커스를 맞춘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지역을 대상으로 전통적 삼림자원 관리 방식의 존재 양태와 그 변화 기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부고원지대 장소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한 축인 인간-환경관계의 변화 전망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커피변경지역의 장소성 해석: 본 세부연구은 위의 세부연구들을 종합하는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즉 중부고원지대 커피변경지역의 장소성 형성에 기여하는 다양한 주체들의 행동 및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중부고원지대의 장소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해석하고자 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세계적 커피생산지역, 일명 커피변경지역을 대상으로, 변경개발 및 커피산업의 발전을 통해 지역의 구조적 변동 상을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지역연구이다. 주 연구지역은 중부고원지대 5개 성 가운데 커피산업이 가장 발달한 닥락(Dak Lak)성으로 하였고, 2012년부터 2014년까지 9개 마을 농가 및 커피수출업체에 대한 설문조사, 농민, 중개상인, 업체관계자 그리고 공무원 등 다양한 주체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제 분야로 나뉘어 각각 구체적인 세부 연구가 수행되었다.
    첫째, 지역의 장소성 형성과 변동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커피생산지리 변화과정과 그 배경, 커피재배의 발달에 따른 토지유동성 발생과정과 함의, 토지소유 제도화 양상의 국지적 다양성과 그 발생 메카니즘 등을 연구하였다.
    둘째, 지역사회의 구조 변동 측면을 탐구하기 위해, 이주민의 유입과정과 그 공간적 다양성 측면과, 민족집단간 그리고 집단내 사회경제적 격차의 발생과 심화 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셋째, 지역 커피가치사슬의 구조적 특성을 탐구하기 위해, 지역커피산업의 가치사슬 내에서 커피중개상의 기능 분석 및 평가, 지속가능한 커피생산에 있어서 가치사슬 내 다양한 주체간 연계 관계 및 그 함의가 연구되었다.
    넷째, 커피가격 하락기에 있어서 커피농가의 적응 전략을 탐구하기 위해, 농가의 다양한 적응 전략들을 파악하고, 핵심전략 중의 하나인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프로그램 수용과정과 그 함의를 분석하였다.
  • 영문
  • his research explored so-called coffee frontier in the Central Highland of Vietnam, which is one of the world major coffee producing areas. The research falls in the realm of foreign area study, which investigates the various changes of the frontier through the development plans and the growth of coffee industry. The case study area is Dak Lak, the largest coffee-producing province among the five in the Central Highland. The research team selected the 9 villages in the province and interviewed and surveyed various actors including coffee farmers, middlemen, businessmen, workers, and government officers.
    This research has the four sub-topics as follows:
    In order to the locality and its change in the case study area, the research studied how the geography of coffee production, land ownership have changed, Second, the research explored the migration processes of the ethnic Kinh from the lowland and socio-economic disparity among a ethnic group and across the ethnic line. The third topic is about coffee value chain. The research focuses on the middlemen and evaluates their roles in the growth of the coffee industry. Also, We studied the linkages among the various actors in the value chain for the transition to certified coffee production. Fourth, the research studies the surviving strategies of the coffee farmers with the emphasis on the certified/sustainable coffee program. in the coffee bust when the coffee price decline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베트남 중부고원지대 세계적 커피생산지역, 일명 커피변경지역을 대상으로, 변경개발 및 커피산업의 발전을 통해 지역의 구조적 변동 상을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지역연구이다. 다음과 같은 9개 세부주제를 정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은 중부고원지대 5개 성 가운데 커피산업이 가장 발달한 닥락(Dak Lak)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세부주제 1 '베트남 닥락성에서의 커피생산지리 변화과정과 그 배경'(1차년도 주제)에 대한 연구는 이 지역의 장소성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거시적으로 설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커피생산시스템의 변화, 농민의 토지보유 및 커피생산 참여 과정을 분석하여 세계커피시장의 작용 이외에도 변경적 특수성, 전환기적 특성 요인도 큰 영향을 미쳤음을 밝혔다.
    세부주제 2 '베트남 닥락지역의 커피재배와 토지유동성' 연구(1차년도)는 커피생산의 급속한 성장에 따른 토지유동성 증가가 주류민족과 소수민족 집단의 생업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커피산업의 발전은 농가의 토지소유 욕구, 특히 주류민족 이주자들의 토지점유를 촉진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소수민족 원주민의 관습적 토지이용 방식이 무시되면서 소수민족의 주변화가 이루어졌음을 밝혔다.
    세부주제 3 '커피재배의 확대와 토지소유 제도화의 공간적 차이' 연구(2차년도)는 <세부주제 2>를 심화시킨 연구로 토지소유 제도화 양상의 국지적 다양성과 그 발생 메카니즘을 설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특성이 다른 3개의 사례 마을을 대상으로 국가체제로의 역사적 편입과정, 근대적 토지소유제도의 도입 과정 그리고 이에 대한 민족별 대응 방식 등을 비교,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관습적 토지소유의 ‘제도화’가 통치기구의 중심으로부터의 ‘물리적 거리’와 자원의 가치에 따라 상이하게 전개되며, 나아가 토착소수민족의 ‘저항’ 방식과 강도가 국지적 다양성을 낳게 하는 또 다른 배경이 되었음을 밝혔다.
    세부주제 4 '베트남 닥락성 커피생산에서 이주의 역할'(1차년도 연구) 연구는 커피생산지역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이주민의 유입과정을 분석한 연구로 사례마을 조사를 통해 두 가지 이주유형, 즉 계획이주와 자발적 이주 사이의 연계 현상의 존재를 밝히고, 아울러 연계관계가 국지적 맥락(민족 구성, 정주시기, 정부정책, 이주유입시기 등)에 따라 상이하게 구현되었음을 밝혔다.
    세부주제 5 '민족집단간 사회경제적 격차의 발생 및 심화 과정'(2차년도 주제) 연구는 민족 집단 간 그리고 개별 집단 내 사회경제적 격차의 국지적 다양성과 그 배경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민족집단간 사회경제적 격차의 발생 메카니즘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 특성이 다른 5개 마을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격차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을의 입지적 특성, 거주분리 정도, 그리고 이동성 제약 정도 3가지 측면에 따라 사회경제적 격차 양상이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밝혔다.
    세부주제 6 '베트남 닥락성의 커피중개상인' 연구(1차년도 연구)는 지역의 커피가치사슬의 주요 이해관계자인 중개상인의 역할과 의미를 탐구한 연구이다. 커피농가, 중개상인, 수출가공업체 간 연계관계를 분석하여 지역의 커피산업발전에 중개상인이 긍정적 기능을 하고 있음을 밝혔다. 즉 중개상인은 시장촉진자 역할 및 지속가능한 커피 생산을 확대시키는 매개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주제 7 '지속가능한 커피생산시스쳄 구축에 있어서 제도적 구조 분석' 연구는 지역의 커피가치사슬 내 다양한 주체간 관계와 행위 특성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커피생산시스템 구축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커피산업의 경쟁력 강화 전략으로서 지속가능한 커피생산시스템 구축을 하는데 있어서 이해관계자간 가치 공유가 제대로 실현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해관계자간 가치가 공유되는 제도적 구조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세부주제 8 '베트남 닥락 지방의 커피 생산과 변화, 그 의미' 연구는 커피 가격 변화에 따른 소규모농가의 적응전략을 분석한 연구이다. 농가는 출하시기조절 등을 통한 판매가격 차별화, 작물다변화, 그리고 지속가능한 커피와 같은 품질 전략 등을 추구하고 있음을 밝혔다.
    세부주제 9 '농가의 지속가능한 커피프로그램 수용과정과 함의' 연구는 커피가격 하락기 농가의 핵심 적응 전략 중의 하나인 지속가능한 커피생산 프로그램의 수용과정과 그 영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닥락에서의 지속가능한 커피생산 확대는 농가의 자발적 적응의 산물이 아니라 시장기구에 의해 유도되었으며, 지속가능한 커피프로그램은 농가의 생산과정 및 경영성과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나, 참여는 우연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논문발표
    본 연구를 통해 총 9편의 학술논문을 생산하였다. 5편은 이미 게재되었고, 나머지 4편은 투고 혹은 투고준비 중에 있다. 생산된 논문 중 6편은 국내 전문학술지(등재지)에 게재되었거나 게재될 예정이고, 또 2편은 SSCI 급 해외 학술지 투고를 준비하고 있으며, 나머지 1편은 scopus급 해외학술지에 투고를 준비하고 있다.
    2. 심포지엄 및 워크샵 자료집 발간
    1차례 국제심포지엄과 2차례 베트남 학자와의 워크샵을 실시하여 각각 자료집을 생산하였다.
    3. 학술발표
    해외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 5편의 논문 발표가 이루어졌다.

    4. 활용방안
    대학 및 대학원의 해외지역지리 강좌에 수업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 단행본 발간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베트남 학자들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학술연구 및 해외개발원조 사업에의 참여를 도모할 계획이며 아울러 학문후속세대의 지역전문가 양성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 색인어
  • 베트남, 커피산업, 커피생산, 커피농가, 소수민족, 변경지역, 가치사슬, 전환경제, 중부고원지대, 닥락, 계획 이주, 자발적 이주, 토지유동성, 중개상인, 국영기업, 해외투자기업, 적응전략, 작물다변화, 지속가능한 커피, 관행생산 커피, 가치공유공간, 사회경제적 격차, 거주지 분화, 이동성, 지리적 맥락, 도급계약제, 협력생산제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