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의사소통의 사회 연결망: 실험, 패널조사, 데이터마이닝을 통해서 본 SNS의 구조와 선거국면에서의 효과 The Social Network of Political Communication: Investigating the Structure and Electoral Impact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Using Experiments, Panel Surveys, and Data Mining Methods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한 전자 의사소통매체의 급속한 발전과 이러한 매체의 정치적 이용의 확산은 한편으로는 민주주의 정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환영받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정치적 양극화와 정치의 과열을 부추기는 것으로 인식되 ...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한 전자 의사소통매체의 급속한 발전과 이러한 매체의 정치적 이용의 확산은 한편으로는 민주주의 정치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환영받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정치적 양극화와 정치의 과열을 부추기는 것으로 인식되어 우려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소셜미디어 정치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과연 SNS가 정치적 의사소통을 위해서 얼마나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정치적 쟁점들에 대한 시민의 입장과 선거에서의 후보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시민사회와 미디어, 정치엘리트 간의 정치적 의제 설정 권력에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엄밀한 경험적 연구는 크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전자 의사소통매체에 대한 정치학을 비롯한 제반 사회과학의 관심은 이러한 필요를 반영하고 있으나, 주로 묘사적인 연구와 사회연결망의 시각화가 주는 인상에 의존하고 있고, 정치학의 중요한 전통과의 관계가 충분히 규명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해서 1) 2012년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패널 설문조사와 SNS사용양태 및 효과 측정, SNS 공간으로의 실험적 개입, SNS를 정치적 의사소통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적 플랫폼으로 이용하는 등의 혁신적인 연구방법을 통해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2) 정치행태이론, 사회연결망 분석기법과 게임이론의 전략적 의사소통이론을 결합하여 정치적 의사소통과 선거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며 3) 이러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심의민주주의론과 정치심리학, 합리적 선택이론의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을 비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기대효과
이러한 연구는 몇 가지 측면에서 독창적이며 또한 학문적으로나 현실 정치에서의 중요한 주제를 이해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기여는 사회연결망을 통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다양한 지적인 전통을 종합하여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이러한 연구는 몇 가지 측면에서 독창적이며 또한 학문적으로나 현실 정치에서의 중요한 주제를 이해하는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기여는 사회연결망을 통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다양한 지적인 전통을 종합하여 학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에 거의 시도 되지 않았던 방법들, 즉 동일한 연구대상 집단에 대한 패널 설문조사, 정치적 의사소통 모니터링, 실험적 개입의 결합, 전략적 의사소통과 사회연결망 분석의 결합, 사회연결망 상의 정보 교환에 대한 행태주의 게임이론에 입각한 실험 사회과학적인 접근 등을 통해서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에 새로운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그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독창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학문적 사회적 기여가 기대된다. 먼저 학문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현재 전국 대표 표본을 대상으로 (주로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관성적으로 의존하는 한국 사회과학의 선거 연구 한계를 극복하고 그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거시적 자료의 정확성이 (방송사의 선거출구조사 조차)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한편으로는 물론 이러한 조사의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다른 한편, 본 연구에서처럼 선거과정에서의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정치적 행위자들의 미시적 상호작용과 이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SNS의 등장으로 활발해진 시민적 정치 의사소통과 그의 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함의가 정치적 이해관계와 이념에 따라서 근거없이 재단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사회적으로 제시하여 SNS 정치참여의 건설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의 전 과정에는 학자가 되고자하는 다수의 대학원생들이 참여할 것이며, 이미 이러한 연구에 다년간의 경험을 축적한 세 명의 교수들과 긴밀하게 공동의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학생들은 본 연구를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선진적 방법론 – 시계열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 게임이론과 실험 방법론 – 등을 공동연구의 과정에서 습득하게 될 것이다. 또한 책임연구자과 공동연구자가 진행하는 대학원 수업을 이 연구의 진행과 일정부분 결합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의 내용과 현실의 연구가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연구요약
시민들 간의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민주주의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정치학의 긍정적인 대답은 두 가지의 지적 전통으로부터 가능하다. 첫째는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는 심의 ...
시민들 간의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민주주의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정치학의 긍정적인 대답은 두 가지의 지적 전통으로부터 가능하다. 첫째는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는 심의민주주의론 의 입장이다. 두 번째는 정치적 의사소통이 시민들의 정치정보화 비용을 줄여주어 정보화의 집합행동 문제를 극복하게 해준다고 보는 정치행태론과 정치심리학의 연구들이다.
이처럼 활발한 정치 의사소통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견해가 옳다면 최근 십여 년 동안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활성화된 인터넷 등 정보통신매체를 매개로 한 시민적 정치토론의 활성화는 민주주의의 희망으로 환영받아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을 매개로 한 정치적 의사소통과 정치 참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한 정치적 의사소통이 입장의 강화에 집중하며, 의사소통의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참여자들의 통제력이 강화됨에 따라 유유상종의 경향이 생겨 이견에 자연스럽게 노출될 기회를 차단하고, 집단심리와 결합하여 정치적 관용의 확산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 기술을 매개로 한 정치적 의사소통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은 그것이 상당한 효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의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그 현실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는 매우 부족하다. 효과에 대한 측정을 위해 전제가 되어야 할 소셜미디어 상의 정치적 의사소통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사회연결망적인 분석이 근래 들어서 시작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형태에 대한 묘사적인 연구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정치적 의사소통의 현실 정치, 특히 선거에 대한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기존의 한국 선거연구가 크게 의존해 왔던 전국 대표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컬럼비아 학파적 선거연구의 사회연결망적 접근과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정치행태론 및 합리적 선택이론을 종합한 혁신적인 선거연구, 정치 의사소통 연구의 방법을 특히 2012년 대통령선거 국면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험적인 자료에 입각한 연구를 사회연결망적 분석 방법과 게임이론의 전략적 의사소통이론, 심의민주주의론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이러한 이론적 전통들을 경험적 증거에 입각하여 평가하고 종합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과제들은 다음과 같다.
1. 2012년 대통령 선거시기 (2012년 9월 ~ 12월)에 전국적 대표성을 지닌 트위터 사용자들에 대한 패널 설문조사와 설문조사 참여자들의 트위터 활동 모니터링, 참여자들의 트위터 활동에 대한 현장실험적 개입을 결합한 대규모의 자료를 수집하여 SNS를 통한 정치적 정보의 미시적 생산, 소비, 그리고 전파와 정치적 설득의 전 과정을 분석한다.
2. 정치적 의사소통의 내용과 효과, 유권자의 정견과 후보자 선호 형성에 의사소통 연결망의 구조가 발휘하는 영향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2012년 대통령 선거 시기를 배경으로 20대 청년 유권자를 초점집단(focus group)으로 설정하여 패널 설문조사와 페이스북 상의 실험을 결합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 연구는 2012년 선거에서 청년층의 후보자 선호 형성에 대한 연구라는 추가적인 의미를 지닌다. 3. SNS의 등장으로 인한 의제설정권력의 이동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2012년 대통령 선거 시기에 (1) 정치권 담론의 의제, (2) 기성언론의 의제, (3) SNS 담론의 의제, 그리고 (4) 대중의 의제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다.
4. 집합적 선택에 대한 공간모형, 투표상황에서의 전략적인 선호집계, 그리고 신호주기에 비해 비용이 들지 않는 ‘값싼 말’을 통한 전략적 정보전달에 관한 게임이론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전략적 의사소통 연구와 사회연결망 분석을 결합시키는 게임이론의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5. 행태주의 게임이론에 입각한 사회과학 실험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연결망과 전략적 의사소통에 대한 실험 연구를 진행한다. 현실 데이터로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부분들, 즉 의사소통 사회연결망 형성의 내재성, 정보에 대한 투자의 합리성, 정보의 왜곡, 그리고 다양한 의사소통 환경 및 절차가 집합적 선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적 방식을 활용한다.
6. 앞의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치행태와 정치심리학의 관점에서 진행된, 특히 컬럼비아 학파의 전통에 입각한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 전략적 정보교환에 대한 게임이론적 연구, 그리고 심의민주주의론의 규범적인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재조명하고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새로운 분석의 틀로 종합한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국문
시민들 간의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민주주의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심의민주주의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시민들의 정치정보화 비용을 줄여주어 정보의 부족에 ...
시민들 간의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민주주의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여 심의민주주의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시민들의 정치정보화 비용을 줄여주어 정보의 부족에 따른 정치참여의 어려움을 극복하게 해 줄 수 있다. 이처럼 활발한 정치 의사소통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견해가 옳다면 최근 십여 년 동안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활성화된 인터넷 등 정보통신매체를 매개로 한 시민적 정치토론의 활성화는 민주주의의 희망으로 환영받아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인터넷을 매개로 한 정치적 의사소통과 정치 참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한 정치적 의사소통이 입장의 강화에 집중하며, 의사소통의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참여자들의 통제력이 강화됨에 따라 유유상종의 경향이 생겨 이견에 자연스럽게 노출될 기회를 차단하고, 집단심리와 결합하여 정치적 관용의 확산을 저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정치적 의사소통의 현실 정치, 특히 선거에 대한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기존의 한국 선거연구가 크게 의존해 왔던 전국 대표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연결망적 접근과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정치행태론 및 합리적 선택이론을 종합한 혁신적인 선거연구, 정치 의사소통 연구의 방법을 특히 2012년 대통령선거 국면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험적인 자료에 입각한 연구를 사회연결망적 분석 방법과 게임이론의 전략적 의사소통이론, 심의민주주의론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이러한 이론적 전통들을 경험적 증거에 입각하여 평가하고 종합한다.
영문
Can lively political communication among citizen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democratic politics? Lively political communication may contribute overcoming the lim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oward mature deliberative democracy. In addition, poli ...
Can lively political communication among citizens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democratic politics? Lively political communication may contribute overcoming the limit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oward mature deliberative democracy. In addition, political communication among citizens might reduce the information costs and, thus,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political participation due to limited political information. If the above is true, the exploding political discussions on the internet over the recent years is a welcome news that enhances the hope for democratic politics. However, there are also worries about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via internet. Online communication may simply reinforce the existing biases of citizens and promote not cross-cutting political discussions, but gathering of the identically opinionated factions. This may lead to strengthening of collectivist psychology and reduction of tolerance. Our study employs a series of innovative research methods to study political communication during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and 2014 local elections. We overcome the usual methods of surveys on representative sample by emphasizing the social network approach, political behavior, and rational choice theories. We combine empirical data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strategic communication of game theory, and the theories of deliberative democrac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시민들 간의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민주주의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정치학의 긍정적인 대답은 두 가지의 지적 전통으로부터 가능하다. 첫째는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는 심의 ...
시민들 간의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은 민주주의 정치의 발전에 기여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정치학의 긍정적인 대답은 두 가지의 지적 전통으로부터 가능하다. 첫째는 활발한 정치적 의사소통을 대의제 민주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으로 보는 심의민주주의론 의 입장이다. 두 번째는 정치적 의사소통이 시민들의 정치정보화 비용을 줄여주어 정보화의 집합행동 문제를 극복하게 해준다고 보는 정치행태론과 정치심리학의 연구들이다. 이처럼 활발한 정치 의사소통의 긍정적 역할에 대한 견해가 옳다면 최근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활성화된 인터넷 등 정보통신매체를 매개로 한 시민적 정치토론의 활성화는 민주주의의 희망으로 환영받아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첨단의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한 정치적 의사소통이 입장의 강화에 집중하며, 의사소통의 사회적 연결망에 대한 참여자들의 통제력이 강화됨에 따라 유유상종의 경향이 생겨 이견에 자연스럽게 노출될 기회를 차단하고, 집단심리와 결합하여 정치적 관용의 확산을 저해할 수도 있다. 인터넷 기술을 매개로 한 정치적 의사소통의 긍정적 또는 부정적 효과에 대한 논쟁은 그것이 상당한 효과를 내고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의 정치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그 현실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는 매우 부족하다. 효과에 대한 측정을 위해 전제가 되어야 할 소셜미디어 상의 정치적 의사소통의 구조와 내용에 대한 연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사회연결망적인 분석이 근래 들어서 시작되고 있기는 하지만 그 형태에 대한 묘사적인 연구에 머물고 있다. 본 연구는 정치적 의사소통의 현실 정치, 특히 선거에 대한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 기존의 한국 선거연구가 크게 의존해 왔던 전국 대표 표본에 대한 설문조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컬럼비아 학파적 선거연구의 사회연결망적 접근과 정치적 의사소통에 대한 정치행태론 및 합리적 선택이론을 종합한 혁신적인 선거연구, 정치 의사소통 연구의 방법을 특히 2012년 대통령선거 국면에서의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적용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경험적인 자료에 입각한 연구를 사회연결망적 분석 방법과 게임이론의 전략적 의사소통이론, 심의민주주의론에 입각하여 해석하고 이러한 이론적 전통들을 경험적 증거에 입각하여 평가하고 종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그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독창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학문적 사회적 기여가 기대된다. 먼저 학문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현재 전국 대표 표본을 대상으로 (주로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관성적으로 의존하는 한 ...
연구결과의 학문적․사회적 기여도: 본 연구는 그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 독창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학문적 사회적 기여가 기대된다. 먼저 학문적으로 볼 때, 본 연구는 현재 전국 대표 표본을 대상으로 (주로 여론조사 기관에 의뢰한) 설문조사에 관성적으로 의존하는 한국 사회과학의 선거 연구 한계를 극복하고 그 내용과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거시적 자료의 정확성이 (방송사의 선거출구조사 조차) 의심스러운 상황에서 한편으로는 물론 이러한 조사의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하겠지만 다른 한편, 본 연구에서처럼 선거과정에서의 유권자들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정치적 행위자들의 미시적 상호작용과 이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SNS의 등장으로 활발해진 시민적 정치 의사소통과 그의 민주주의 정치에 대한 함의가 정치적 이해관계와 이념에 따라서 근거없이 재단되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사회적으로 제시하여 SNS 정치참여의 건설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력양성 및 교육과의 연계 활용 방안: 본 연구의 전 과정에는 학자가 되고자하는 다수의 대학원생들이 참여할 것이며, 이미 이러한 연구에 다년간의 경험을 축적한 세 명의 교수들과 긴밀하게 공동의 연구를 수행할 것이다. 학생들은 본 연구를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선진적 방법론 – 시계열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 게임이론과 실험 방법론 – 등을 공동연구의 과정에서 습득하게 될 것이다. 또한 책임연구자과 공동연구자가 진행하는 대학원 수업을 이 연구의 진행과 일정부분 결합시켜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의 내용과 현실의 연구가 어떻게 결합되는지를 경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