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성장과 발육발달이 거의 완성된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문항반응이론(IRT: 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해 미래 비만이 될 가능성(비만잠재력)을 재는 검사를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20~30대 성인이 40대 이후 비만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 ...
이 연구의 목적은 성장과 발육발달이 거의 완성된 한국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문항반응이론(IRT: 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해 미래 비만이 될 가능성(비만잠재력)을 재는 검사를 개발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 20~30대 성인이 40대 이후 비만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에 시달릴 가능성을 평가하여 예방을 위한 정보를 제시할 수 있는 컴퓨터개별적응검사(CAT: Computerized Adaptive Test)를 개발하여 점수환산표 및 예방책을 제시할 매뉴얼을 완성하는 것이다.
기대효과
현대사회 비만질병율은 증가되고 있으며 비만예방을 위한 비만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외 적지 않은 연구들이 비만유발 요인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 크게 식습관, 신체활동, 유전적, 그리고 심리적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
현대사회 비만질병율은 증가되고 있으며 비만예방을 위한 비만유발 요인에 관한 연구들이 다양한 측면에서 수행되고 있다. 그동안 국내외 적지 않은 연구들이 비만유발 요인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 크게 식습관, 신체활동, 유전적, 그리고 심리적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비만관련 연구들의 궁극적인 목적은 현재 자신의 비만유발 요인들을 미리 파악하고 예방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데 있다. 비만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한 컴퓨터개별적응검사(CAT)는 아직까지 국내외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연구과제다. CAT는 문항반응이론(IRT)을 적용하여 컴퓨터화된 지필검사의 단점을 보완한 방법으로 검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를 통해 미래 비만의 성향 및 잠재성을 지니고 있는 사람을 측정해 낼 수 있다면 개인의 의료비용 감소는 물론 국가차원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이다. 개개인의 비만잠재력(비만이 될 가능성)을 측정해 낼 수 있는 문항반응이론의 장점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연구방법의 적용으로 비만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개별적응검사 개발이 가능하다. 이는 비만을 에방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으로 그 파급효과는 물론 체육 과학의 목표 중 하나인 인류 건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CAT의 양과 질을 높이기 위해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통한 다양한 방법으로 타당성을 확보할 것이다. 최종적으로 검사 시스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컴퓨터개별적응검사 시스템을 실용 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토대로 비만을 예방하는데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요약
이 연구의 목적은 개개인의 비만 잠재력(미래 비만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개별적성검사 개발과 예방책이 포함된 매뉴얼과 점수 환산표 제작이며, 이 과제의 수행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기대효과 (1) 전국 ...
이 연구의 목적은 개개인의 비만 잠재력(미래 비만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한 컴퓨터개별적성검사 개발과 예방책이 포함된 매뉴얼과 점수 환산표 제작이며, 이 과제의 수행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기대효과와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1) 기대효과 (1) 전국적으로 개개인의 비만 잠재력을 측정하고 예방책을 마련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2) 아동 및 청소년 용 비만 예측 검사지로 확대할 수 있으며,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적극적 방안으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2) 활용방안 (1) 병원, 학교, 보건소, 복지관, 그리고 인터넷을 통해 국민 모두가 자신의 비만 잠재력이 어느 정도인지 쉽게 그리고 미리 파악할 수 있어 조기에 자신의 생활습관을 건강한 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2) 선진국에 이러한 프로그램을 상품화시켜 보급시킴으로써 스포츠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성인에게 적합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개발하였고 실제 활용이 가능하도록 컴퓨터기반검사(CBT)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컴퓨터기반검사(CBT)로 실제 활용하기위해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로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hyper t ...
이 연구는 한국성인에게 적합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개발하였고 실제 활용이 가능하도록 컴퓨터기반검사(CBT)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컴퓨터기반검사(CBT)로 실제 활용하기위해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로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hyper text marup language)와 서버스크립트 언어(PHP: 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를 이용하였다. 윈도우(windows) 건강포털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입력을 받아 계산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또한 비만위험률(%)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문항반응이론분석(IRT)이 가능한 Bayesian 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추정되는 결과의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내용타당화 측면에서 40문항, 4점척도가 결정되었고, 구인타당도 검증에서 실시한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6요인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조사 검사자료로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6요인 19문항(신체활동 4문항, 식습관 3문항, 간식습관 3문항, 식탐 3문항, 심리요인 3문항, 유전요인 3문항)으로 나타났다. 컴퓨터기반검사는 현재 인터넷 건강 포털 사이트 주소(http://www.ezday.co.kr/miz/health/diet_poll.html?q_left_menu=miz_diet)에서 사용자입력을 받아 비만위험률(%)이 산출되도록 설계하였다. 더 나아가 실제 응답자의 비만위험률(%)을 통계적으로 산출하기 위해 문항반응이론의 Rasch 모형을 적용하였다. 요인별로 비만위험율이 어느정도인지 수리적으로 제시해 주었다.
영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testing to measure obesity risk factor for Korean adults.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tudy accomplished pilot test(N=445) and real test(N=1115).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elopment of computer based testing to measure obesity risk factor for Korean adults. To increase validity and reliability, This study accomplished pilot test(N=445) and real test(N=1115).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consultation of content and measurement experts, the 40-item Obesity Risk Measurement Scale was generated. The 21-item was analy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SPSS program. The result was the 21-item consists of six factors(physical activity, meal habit, sneck, gluttony, heredity, psychology) constructed. The 19-item was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ough AMOS program. Rasch measurement computer program, Bayesian 1.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shows obesity risk percentage statistically.
연구결과보고서
초록
이 연구는 한국성인에게 적합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개발하였고 실제 활용이 가능하도록 컴퓨터기반검사(CBT)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응답자에게 추정된 요인(신체활동, 식습관, 심리, 유전)별로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 IRT)을 적용하여 비만비험율( ...
이 연구는 한국성인에게 적합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개발하였고 실제 활용이 가능하도록 컴퓨터기반검사(CBT)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또한 응답자에게 추정된 요인(신체활동, 식습관, 심리, 유전)별로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 IRT)을 적용하여 비만비험율(%)을 통계적으로 추정한 결과를 제안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비만위험측정척도를 컴퓨터기반검사(CBT)로 실제 활용하기위해 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로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HTML: hyper text marup language)와 서버스크립트 언어(PHP: personal hypertext preprocessor)를 이용하였다. 윈도우(windows) 건강포털 웹사이트에서 사용자입력을 받아 계산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또한 비만위험률(%)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문항반응이론분석(IRT)이 가능한 Bayesian 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추정되는 결과의 모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내용타당화 측면에서 40문항, 4점척도가 결정되었고, 구인타당도 검증에서 실시한 탐색적요인분석 결과 6요인 2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조사 검사자료로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6요인 19문항(신체활동 4문항, 식습관 3문항, 간식습관 3문항, 식탐 3문항, 심리요인 3문항, 유전요인 3문항)으로 나타났다. 컴퓨터기반검사는 현재 인터넷 건강 포털 사이트 주소(http://www.ezday.co.kr/miz/health/diet_poll.html?q_left_menu=miz_diet)에서 사용자입력을 받아 비만위험률(%)이 산출되도록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현대사회 컴퓨터,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필검사가 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로 개발된 컴퓨터기반검사(http://www.ezday.co.kr/miz/health/diet_poll.html?q_left_menu=miz_diet) 는 실제 비만위험속성을 측정하는데 실용화될수 있다.
현대사회 컴퓨터, 스마트폰이 대중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필검사가 주로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로 개발된 컴퓨터기반검사(http://www.ezday.co.kr/miz/health/diet_poll.html?q_left_menu=miz_diet) 는 실제 비만위험속성을 측정하는데 실용화될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