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하철 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 비교대조 -서울과 도쿄를 사례로-
Comparative Study of Linguistic Landscape Used in Subway Campaign Poster in Seoul and Tokyo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330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이순형
연구수행기관 경북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최근 공공공간에서의 글말, 즉 가시화된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언어경관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언어경관은 언어와 사회와의 복잡한 관계를 가시화하여 시대의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시대적 특징이나 그 지역이나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여 실현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쇼지(庄司2009a)의 언어경관 언어표시의 분류 요소 가운데 설치장소는 공공교통기관내부이고, 주로 경고・주의환기의 내용을 담으며, 표시물은 포스터의 형태로 제시되어 있는 지하철의 캠페인포스터를 대상으로 한국과 일본의 언어경관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캠페인포스터는 그 나라나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와 영향을 미치면서, 매너나 에티켓의 향상이나 현상개선을 요구하는 내용을 담으며 사회정세의 변화는 물론, 시대적 상황이나 문화적 특성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언어경관 중의 하나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종래 대대수의 연구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언어경관의 다언어화나 다문자화가 한국과 일본의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에도 그대로 적용되는지, 아니면 이노우에(井上2007)의 지적처럼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의 경우 공적표지에 해당되므로 언어경관의 언어적다양성을 찾아보기 힘들 것인지,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에 나타난 언어경관의 실태 파악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언어경관에 대해 사회언어학적관점에서 공통점과 상이점을 중심으로 비교,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의 동향에서도 확인된 것처럼 한국의 언어경관에 관한 연구는 물론 한국과 타국과의 대조연구 또한 연구 결과가 풍성하지는 못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활발한 연구 성과를 올리고 있는 일본과 이제 막 연구의 시작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는 한국의 언어경관을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언어경관 연구가 국제화 추세의 흐름 탓인지 다언어화와 다문자표기에만 초점이 맞춰진 종래 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 언어속성은 물론이고 언어표현형식, 전달내용, 다언어화의 타입, 언어경관의 패턴 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려고 한다.
  • 기대효과
  • 언어경관은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가시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가 서구화, 국제화 다민족화, 아시아화 등으로 진행되면 언어경관 또한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민감히 반영하여 각 시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사회적인 기여가 기대된다.
    1. 흔히 언어는 사회활동의 산물이고 언어사용상황은 사회상황의 축소판이라고 한다. 본 연구가 계획대로 진행되면 경관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를 고찰하는 것에 의해 그 사회적 형성과정을 해명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2. 일본의 언어문화에 의해 형성된 언어경관과 한국의 언어문화에 의해 형성된 언어경관에 나타난 특징을 분명히 하여 한일 양국의 언어문화를 비교, 대조할 수 있다는 점은 사회언어학, 대조언어학적, 대조문화학적 등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3. 정적인 텍스트의 언어연구가 아니라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언어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언어동태 파악이나 언어문화변용의 실태를 객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활용가치는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4.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 언어경관에 나타난 전달내용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현상분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5.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 언어경관에 나타난 다언어화를 통해 자국인을 위한 언어서비스인지, 외국인까지 염두에 둔 절충형의 언어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변화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연구요약
  • 최근 한국과 일본 양국의 언어경관은 급변하고 있다. 국제결혼 등에 의해 한국어나 일본어를 제 1언어로 하지 않는 사람들이 급증함에 따라 다문화공생사회가 도래하였으며, 외국인관광객의 증가와 인터넷과 모바일의 보급으로 국제화사회와 정보화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눈에 보이는 가시적인 언어경관 또한 급속한 변화를 계속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과 일본 모두 자국어 이외에 영어는 물론 아시아언어 등 외국어 사용이 많아져 자연스럽게 다언어 사용이 급증하게 되었다. 이러한 언어경관의 추세는 매일의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친근감 있고 알기 쉬운 정보를 제공하는 공익캠페인포스터에서도 예외가 아니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4가지 주안점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1. 종래 언어경관의 연구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다언어화와 다문자화가 한국과 일본의 공익 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 언어적 속성(언어 종, 문자종, 표기법)을 사회언어학적관점에서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2. 한국과 일본의 공익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의 전달내용(금연, 좌석양보, 소음, 휴대폰예 절, 우측보행, 안전선준수, 뛰어들기승차 등)을 리스트하여 사회언어학적관점에서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3. 언어경관의 표현형식을 분석, 고찰하기 위하여 김순임(2011)의 분류기준에 따라 한국과 일본의 공익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에 나타난 표현형식(직접, 간접, 복합, 문체, 부가정 보 등)의 다양성을 사회언어학적관점에서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4. 만약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에 다언어화가 발견된다면 사회적 변화의 진행 상황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과 일본의 공익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에 나타난 다언어화 가 쇼지(庄司2009), 박하우스(Backhaus2011)등에서 제시한 다언어화의 타입(서구화, 국제 화, 다민족화, 아시아화)중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를 비교, 대조하고자 한다.
    ∎연구 조사 개요 및 방법
    1. 조사 대상 철도노선
    양국의 수도인 서울과 도쿄 도심에서 이용객이 많은 노선과 특히 외국인의 이용이 많은 도쿄역과 서울역을 통과하는 노선과 도시의 도서남북을 통과하는 노선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경우는 서울 중심지를 원형으로 통과하는 2호선과 거의 남북으로 달리는 1호선과 동서롤 달리는 5호선을 조사대상으로 삼았다. 한편 일본의 경우 도쿄중심지를 원형으로 통과하는 JR야마노테선(JR山手線)과 남북으로 달리는 유락쵸선(有楽町線)과 동서로 달리는 긴자선(銀座線)을 조사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2. 조사 대상 포스터
    한국과 일본의 지하철 내부에 게시되어 있는 캠페인포스터의 언어경관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3. 조사 순서
    ①한일 양국의 조사대상 지하철 내부에 게시된 포스터를 직접 사진으로 찍어 저장한다.
    ②저장된 사진에 나와 있는 언어표현을 Excel파일에 입력하여 데이터화한다.
    ③입력된 데이터 자료를 근거로 분류기준을 검토하고 수집한 항목을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한다.
  • 한글키워드
  • 언어경관, 사회언어학적관점, 지하철, 캠페인포스터, 다언어화의 타입, 언어적속성, 언어종, 문자종, 표기법, 전달내용, 표현형식, 비교연구, 서울, 도쿄
  • 영문키워드
  • Linguistic Landscape,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 Subway, Campaign Poster, Type of Multilingualism, , Linguistic Attribute, Linguistic Kind, Character Type, Notation, Communication Contents, Comparative Study, Seoul, Tokyo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최근 일본에서는 공공공간에서의 글말, 즉 가시화된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언어경관 연구가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언어경관은 언어와 사회와의 복잡한 관계를 가시화하여 시대의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시대적 특징이나 특정 지역, 나아가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며 실현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언어경관의 선구적 연구자인 쇼지(庄司2009)와 롱(Long2010)의 연구에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도 언어경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라는 언어경관에 주목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는 전철 내부에 설치된 것이며, 주로 이용객에 대한 경고・주의 환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는 그 나라나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의식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는 전철 내부에서 지켜야 할 매너나 에티켓, 그리고 현장 개선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대적으로 끊임없이 요구하므로 사회 정세의 변화는 물론, 시대적 상황이나 문화적 특성을 가장 간결하고 분명한 형태로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의 기능으로 보건대, 일본과 한국이라는 공간에서 설치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분석하면 일본과 한국의 언어생활의 차이점이나 공통점이 매우 극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일본과 한국의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비교 분석하는 것에 의해 쇼지(庄司2009)와 롱(Long2010)의 연구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언어경관의 다언어화나 다문자화가 일본이나 한국의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에도 그대로 적용되는지, 아니면 공적 표지에는 언어적 다양성을 찾기가 어렵다고 강조한 이노우에(井上2007)의 주장대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라는 공적 표지에서도 언어경관의 언어적 다양성을 찾아보기 힘들 것인지가 본 연구에 의해서 극명하게 드러날 것으로도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라는 언어경관에 대해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공통점과 상이점을 중심으로 비교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본 연구자는 다언어화와 다문자표기에만 초점이 맞춰진 종래 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 언어 속성(언어종, 문자종, 표기법)은 물론이고 언어 표현 형식, 전달 내용, 다언어화의 유형, 언어경관의 패턴 등을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상당한 부분까지 밝혀냈다. 상이점을 예로 들면 일본은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에서 다언어화 표기가 상당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단언어 표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쇼지(庄司2009)와 롱(Long2010), 그리고 이노우에(井上2007) 등의 연구로 대표되는 선행연구의 동향을 보면, 언어경관 그 자체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 또한 매우 풍요로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추세에 힘입어 본 연구자는 아직 연구가 시도된 적이 없는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 고찰을 통해 언어경관 연구에 나름 일조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그리고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대조 분석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내에서의 언어경관 연구도 거의 전무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경관 연구의 태동을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본 연구자는 확신하고 있다.
  • 영문
  • Recently, in Japan, written language in public space, ie, the study of language landscape that target language characters visualized is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Language landscape is one in which to visualize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language, and receiving sensitive to changing times, and age characteristics, a particular region, is implemented to reflect the culture of the country further. In the study Long (2010), focusing on the point that there is that campaign posters of subway of the language landscape, this study, language and campaign posters of subway and Shoji (2009) is a pioneering researcher of language landscape I began to focus on the landscape. It has been installed in the train, the subway poster campaign referred to here, he includes the contents of the warning • alert for passengers primarily. Therefore, campaign posters of subway is able to influence the behavior and consciousness of people living in the area or country. And, because it requires constantly anachronistic in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the site,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of course, campaign posters subway, a cultural characteristic times and situations and etiquette, manners and should be followed on a train It can be and has been reflected in the form short and clear most. In terms of the function of campaign posters of subway like this, if the analysis of the campaign posters of the subway that was installed in the space of Japan and South Korea, to thos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in language life of Japan and South Korea appear to scrupulously very is expected. In addition, the study Long (2010), multi-character of Multi-Lingual or of the language landscape that has been generalized subway of South Korea and Japan and Shoji (2009)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ampaign posters of subway of South Korea and Japan The official label, or be directly applied to the campaign posters, find the linguistic diversity to claim Inoue (2007) emphasized difficult, language in public label called campaign poster of subway and whether or not difficult to find a linguistic diversity of the landscape, and Sasareru expected to appear in scrupulously by this study.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compare and contrast ab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om the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 about the language and landscape of campaign posters subway in Japan and South Korea.
    In order to make a difference with previous studies keyed focus on only a multi-letter symbols and multilingual, of course, language representation, this study, delivery (language type, character type, notation) language attribute currently to center content type, multi-lingual, and patterns of language landscape, a significant portion of up to reveal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Japan and South Korea. Taking the example of the differences, the fact of multilingual notation of campaign posters of the subway while being carried out many Japanese, language notation just that overwhelmingly Korea, and the like.
    If you look at the trend of previous research, represented by research and Shoji (2009) Long and (2010), and Inoue (2007), research on language landscape itself has been conducted very active, the research results also ver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richness. The empowered to these trends, this study is convinced that we can the sake of research as soon as help of language landscape through the campaign poster discussion of subway never research has been attempted yet. And, studies have tried to analysis from the sociolinguistic point of view the campaign posters of subway is almost nil circumstances, research that was contrastive analysis the campaign posters of the subway there is no 's situation. In addition, because the study of language landscape in Korea is also a state of near-total absence, as it has a very significant in terms In this study, that can become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quickening of the language landscape study of South Korea, this I'm sure in the study.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최근 일본에서는 공공공간에서의 글말, 즉 가시화된 문자언어를 대상으로 한 언어경관 연구가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언어경관은 언어와 사회와의 복잡한 관계를 가시화하여 시대의 변화를 민감하게 받아들이며, 시대적 특징이나 특정 지역, 나아가 나라의 문화를 반영하며 실현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언어경관의 선구적 연구자인 쇼지(庄司2009)와 롱(Long2010)의 연구에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도 언어경관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라는 언어경관에 주목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는 전철 내부에 설치된 것이며, 주로 이용객에 대한 경고・주의 환기의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는 그 나라나 지역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의식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는 전철 내부에서 지켜야 할 매너나 에티켓, 그리고 현장 개선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대적으로 끊임없이 요구하므로 사회 정세의 변화는 물론, 시대적 상황이나 문화적 특성을 가장 간결하고 분명한 형태로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의 기능으로 보건대, 일본과 한국이라는 공간에서 설치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분석하면 일본과 한국의 언어생활의 차이점이나 공통점이 매우 극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일본과 한국의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비교 분석하는 것에 의해 쇼지(庄司2009)와 롱(Long2010)의 연구에서 일반화되고 있는 언어경관의 다언어화나 다문자화가 일본이나 한국의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에도 그대로 적용되는지, 아니면 공적 표지에는 언어적 다양성을 찾기가 어렵다고 강조한 이노우에(井上2007)의 주장대로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라는 공적 표지에서도 언어경관의 언어적 다양성을 찾아보기 힘들 것인지가 본 연구에 의해서 극명하게 드러날 것으로도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라는 언어경관에 대해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공통점과 상이점을 중심으로 비교 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본 연구자는 다언어화와 다문자표기에만 초점이 맞춰진 종래 연구와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해 언어 속성(언어종, 문자종, 표기법)은 물론이고 언어 표현 형식, 전달 내용, 다언어화의 유형, 언어경관의 패턴 등을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상이점과 유사점을 상당한 부분까지 밝혀냈다. 상이점을 예로 들면 일본은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에서 다언어화 표기가 상당수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한국은 단언어 표기가 압도적으로 많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쇼지(庄司2009)와 롱(Long2010), 그리고 이노우에(井上2007) 등의 연구로 대표되는 선행연구의 동향을 보면, 언어경관 그 자체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연구 성과 또한 매우 풍요로움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추세에 힘입어 본 연구자는 아직 연구가 시도된 적이 없는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 고찰을 통해 언어경관 연구에 나름 일조를 기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그리고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며, 지하철 캠페인 포스터를 대조 분석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한국내에서의 언어경관 연구도 거의 전무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경관 연구의 태동을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의를 지니는 것으로 본 연구자는 확신하고 있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언어경관은 언어와 사회와의 관계를 가시화한 것이기 때문에 사회가 서구화, 국제화 다민족화, 아시아화 등으로 진행되면 언어경관 또한 이러한 시대의 흐름과 변화를 민감히 반영하여 각 시대를 측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사회적인 기여가 기대된다.
    1. 흔히 언어는 사회활동의 산물이고 언어사용상황은 사회상황의 축소판이라고 한다. 본 연구가 계획대로 진행되면 경관에 나타난 언어사용 실태를 고찰하는 것에 의해 그 사회적 형성과정을 해명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2. 일본의 언어문화에 의해 형성된 언어경관과 한국의 언어문화에 의해 형성된 언어경관에 나타난 특징을 분명히 하여 한일 양국의 언어문화를 비교, 대조할 수 있다는 점은 사회언어학, 대조언어학적, 대조문화학적 등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3. 정적인 텍스트의 언어연구가 아니라 실제적이고 객관적인 언어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언어동태 파악이나 언어문화변용의 실태를 객관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활용가치는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4.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 언어경관에 나타난 전달내용을 통해 한국과 일본의 사회현상분석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5. 지하철 공익캠페인포스터 언어경관에 나타난 다언어화를 통해 자국인을 위한 언어서비스인지, 외국인까지 염두에 둔 절충형의 언어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한국과 일본의 사회적 변화의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색인어
  • 언어경관, 사회언어학적관점, 지하철, 캠페인포스터, 다언어화의 타입, 언어적속성, 언어종, 문자종, 표기법, 전달내용, 표현형식, 비교연구, 서울, 도쿄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