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지식청년영화에서 나타나는 소녀 이미지 연구 ―<슈슈>ㆍ<미인초>ㆍ<산사나무 아래>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the girls’ image in Educated Youth Films ― based on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6693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박민수
연구수행기관 영남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는 지청 소녀를 다룬 세 편의 영화를 통하여 서사 재현방식은 어떻게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관계를 맺는지 살펴보고자한다. 특히 소녀를 중심으로 문혁의 외상(trauma)으로 인한 순결의식과 자아, 사회관습과의 갈등, 그리고 텍스트의 평범함 이면에 숨어있는 난해함,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논리를 인과론적으로 추측해 내기위해 공간, 알레고리, 상징, 은유, 멜로드라마 장르, 향수의식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문혁 지청을 제재로 하는 다수의 영상 텍스트와 그것을 둘러싼 기존의 논의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다. 첫째, 문혁은 금기로써 접근하기가 쉽지 않으며, 관방에서 평가에 대한 담론의 확산을 저지한다는 점이다. 둘째, 일반적으로 제작되는 영화는, 특히 TV드라마는 관방의 계획에 의해 문혁을 공적담론으로 치장하여 지배이데올로기를 강화하기위한 계몽적인 입장에서 다루었다. 셋째, 과거와 현재를 교차하면서 중국의 발전상을 환기하거나, 문혁으로 인한 정신적인 외상을 개인의 가족사로 환유하는 방식으로 축소하였다. 대표적 지청드라마인 1995년의 <죗값(孽債)>에서 하방시절 雲南의 변방에서 낳았던 자식이 도시로 돌아간 지청 아버지를 찾는 신파성이 그러한 예에 속한다. 넷째, 이와 같은 텍스트에서 다루어지는 개인은 어른의 신분에 머물러 있거나, 남성이라는 성별에 치우쳐져 있었다. 영화 텍스트에서 다루어지는 소녀의 형상, 그리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청 소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던 게 사실이다.
    본 연구는 상기 언급한 한계를 고려하여, 세 편의 영화를 통하여 문혁의 외상을 가지고 있는 지청 소녀들에 대한 담론의 확장을 시도하려고 한다. 이데올로기의 광기에 노출된 나약하고 여린, 어른도 아이도 소년도 아닌 중간자적 위치인 소녀의 시선과 함께하면서, 그녀의 자아와 몸이 정치폭력의 공간에서 어떻게 분열되고 파괴되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 기대효과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그동안 경계에 머물러있던 지청영화의 소녀를 호환함으로써 영화연구자들에게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예시로써 작용하며 후속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소녀의 정신과 신체 즉, 순결의식과 자아, 사회관습 등의 프리즘을 통하여 문혁의 傷痕이 어떻게 각인되었는가를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문혁을 제재로 하는 텍스트에서 본의를 숨기기 위해 포석한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논리를 공간, 알레고리, 상징, 은유 등의 기호학적 영화분석을 통해 해체하는 모형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멜로드라마 장르 분석을 통하여 지청영화가 사회적 담론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밝힐 것이다. 멜로드라마는 낭만적 사랑으로 결합하려는 두 사람과 그 결합을 방해하는 힘의 충돌이 이야기의 근간을 이루는 장르이며, 여기서 힘이란 신분, 계층, 계급,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등의 사회관습, 모순과의 갈등이다. 영화를 통하여 당시의 사회, 문화적 담론을 가늠할 수 있다.

    2) 학제 간 연구 분야:
    멜로드라마 장르가 이데올로기가 대중문화의 영역으로 중심이동을 하는데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것을 밝힐 수 있다. 즉 문혁이 傷痕에서 향수로 소비되는 대중문화 현상을 영화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영화와 대중문화간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으리라 본다.
    지청영화의 소녀 형상에 대한 분석은 영화와 이데올로기의 범주를 벗어나 현재 중국의 정치, 문화 등과 관련된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영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중국학, 정치학, 사회학, 문화학, 여성학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청 소녀의 형상, 문혁과 지청의 상산하향운동, 영화 기호학, 멜로드라마 장르, 디아스포라 작가에 대한 다양한 고찰은 중국학과 관련된 수업에서 강의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양의 차원에서 개설되는 강의에서 영화를 통하여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요약
  • 이들 영화에는 영화적 장치로서 유난히 순결에 대한 함의적, 외연적 메타포들이 많다. 이들은 서사와 일정한 유추관계를 가지며 영화를 긴장관계로 몰고 파편화해 가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아버지의 부재'라는 형식이 파행적인 역사전개의 폭력성을 반영하거나 젊은 세대의 삶을 이끌 수 있는 전통의 부재 혹은 이념의 부재를 의미한다. 文秀을 돌보는 老金이 가지고 있는 고장 난 라디오와 낡은 총은 세상과 단절된, 거세되고 무기력한 아버지의 정체성을 대변하며, <슈슈>와 <산사나무 아래>에서도 아버지는 부재하거나 병들어 있다.
    <슈슈>에서 하방의 공간이 문혁의 신체에 대한 폭압으로 나타난다면, <미인초>에서는 광기와 사랑이 혼재하는 중의적 공간이다.
    <슈슈>(1998), <미인초>(2003), <산사나무 아래>(2010)에서 나타나는 소녀들은 세계의 모순과 정치폭력을 넘어서고자 분투하지만 억압된 현실로부터의 완전한 해방을 이끌어내지는 못한다. 이는 소녀의 한계라기보다는, 손쉽게 극복될 수 없는 모순의 폭압성이 얼마나 강도 높은 것인가를 반증하는 것이다.
  • 한글키워드
  • 문화대혁명, 지식청년 영화, 소녀, 트라우마, 향수, 금기, 알레고리, 슈슈, 미인화, 산사나무 아래
  • 영문키워드
  • Cultural Revolution, Educated Youth Film, Girl, Trauma, Nostalgia, Taboo, Allegory, Xiu Xiu: The Sent-Down Girl, The Foliage, Under the Hawthorn Tree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글은 ‘지식청년’(Educated Youth)의 하방(Down to the Countryside)을 다룬 세 편의 영화, <天浴>(1998), <美人草>(2003), <山楂樹之戀>(2010)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영화의 분석을 통하여 이데올로기의 광기에 노출된 나약하고 여린, 어른도 아이도 소년도 아닌, 중간자적 위치인 소녀의 시선과 함께하면서, 그녀의 자아와 몸이 정치폭력의 공간에서 어떻게 분열되고 파괴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대혁명(Cultural Revolution)의 폭력이 내면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소녀의 순결의식과 자아, 사회관습과의 갈등을 밝혔다. 한편, <山楂樹之戀>은 다른 두 편의 영화에 비해 문화대혁명에 대한 비판의식이 희박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1990년대에 이르러 ‘트라우마’에서 ‘노스탤지어’의 소비로 진화함을 상기하면서, 문화대혁명의 주제의식이 대중문화와 맞물려 세 편의 영화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고 발전해 나가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天浴>는 원시적인 자연에서 토착 남성의 성적욕망을 통하여 정치폭력을 환기하고 있다. <美人草>는 하방한 Yunnan(雲南) 오지의 공간을 자아의 심연으로 은유하면서 멈춰버린 시간과 정체성을 그리고 있다. <산사나무 아래>는 문화대혁명의 트라우마를 대중적 노스탤지어(소비)로 비틀어 보여주고 있다. 문화대혁명은 개인적 트라우마의 범주에서 확장하여 1970년대가 발산하는 사회적 모순과 노스탤지어로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 영문
  • This writing had research subjects as three pieces of movies titled <Xiu Xiu(天浴)>(1998), <The Foliage(美人草)>(2003), <The Love of the Hawthorn Tree(山楂樹之戀)>(2010), which addressed Down to the Countryside in 'Educated Youth.'
    Through analyzing these films, it examined how her ego and body are disrupted and destroyed in the space of political violence while being together with a sight of a girl in the man-in-the-middle position, not weak and fragile senior, child, and boy, who are exposed to madness of ideology.
    And it clarified a girl's sense of virginal purity, ego, conflict with social custom through the process that the violence of Cultural Revolution is internalized. In the meantime, it is a fact that <The Love of the Hawthorn Tree(山楂樹之戀)> is rare in critical mind about Cultural Revolution. However, it could examine with which method the thematic consciousness of Cultural Revolution proceeds with being revived and developed in three pieces of movies with gearing into popular culture while recalling that it is evolved into consumption of 'nostalgia' from 'trauma' with reaching the 1990s.
    <Xiu Xiu(天浴)> is arousing political violence through a native man's libido in primitive nature. <The Foliage(美人草)> is depicting the stopped time and identity while giving a metaphor to the wild space in Yunnan(雲南) Down to the Countryside with abyss of ego. <The Love of the Hawthorn Tree> is showing trauma of Cultural Revolution by twisting as nostalgia(consumption). The Cultural Revolution is expanded from the category of individual trauma and is being evolved into social contradiction and nostalgia of being emitted by the 1970s.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글은 ‘지식청년’(Educated Youth)의 하방(Down to the Countryside)을 다룬 세 편의 영화, <天浴>(1998), <美人草>(2003), <山楂樹之戀>(2010)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영화의 분석을 통하여 이데올로기의 광기에 노출된 나약하고 여린, 어른도 아이도 소년도 아닌, 중간자적 위치인 소녀의 시선과 함께하면서, 그녀의 자아와 몸이 정치폭력의 공간에서 어떻게 분열되고 파괴되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대혁명(Cultural Revolution)의 폭력이 내면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소녀의 순결의식과 자아, 사회관습과의 갈등을 밝혔다. 한편, <山楂樹之戀>은 다른 두 편의 영화에 비해 문화대혁명에 대한 비판의식이 희박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1990년대에 이르러 ‘트라우마’에서 ‘노스탤지어’의 소비로 진화함을 상기하면서, 문화대혁명의 주제의식이 대중문화와 맞물려 세 편의 영화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되고 발전해 나가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天浴>는 원시적인 자연에서 토착 남성의 리비도를 통하여 정치폭력을 환기하고 있다. <美人草>는 하방한 Yunnan(雲南) 오지의 공간을 자아의 심연으로 은유하면서 멈춰버린 시간과 정체성을 그리고 있다. <산사나무 아래>는 문화대혁명의 트라우마를 대중적 노스탤지어(소비)로 비틀어 보여주고 있다. 문화대혁명은 개인적 트라우마의 범주에서 확장하여 1970년대가 발산하는 사회적 모순과 노스탤지어로 진화하고 있는 중이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1) 연구결과의 학문적 기여:
    본 연구는 그동안 경계에 머물러있던 지청영화의 소녀를 호환함으로써 영화연구자들에게 새로운 분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예시로써 작용하며 후속연구를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소녀의 정신과 신체 즉, 순결의식과 자아, 사회관습 등의 프리즘을 통하여 문혁의 傷痕이 어떻게 각인되었는가를 고찰할 것이다. 그리고 문혁을 제재로 하는 텍스트에서 본의를 숨기기 위해 포석한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논리를 공간, 알레고리, 상징, 은유 등의 기호학적 영화분석을 통해 해체하는 모형을 남길 수 있을 것이다.
    멜로드라마 장르 분석을 통하여 지청영화가 사회적 담론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밝힐 것이다. 멜로드라마는 낭만적 사랑으로 결합하려는 두 사람과 그 결합을 방해하는 힘의 충돌이 이야기의 근간을 이루는 장르이며, 여기서 힘이란 신분, 계층, 계급,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등의 사회관습, 모순과의 갈등이다. 영화를 통하여 당시의 사회, 문화적 담론을 가늠할 수 있다.

    2) 학제 간 연구 분야:
    멜로드라마 장르가 이데올로기가 대중문화의 영역으로 중심이동을 하는데 지렛대의 역할을 하는 것을 밝힐 수 있다. 즉 문혁이 傷痕에서 향수로 소비되는 대중문화 현상을 영화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영화와 대중문화간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할 수 있으리라 본다.
    지청영화의 소녀 이미지에 대한 분석은 영화와 이데올로기의 범주를 벗어나 현재 중국의 정치, 문화 등과 관련된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영화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중국학, 정치학, 사회학, 문화학, 여성학 연구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3) 교육과의 연계 활용: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청 소녀의 이미지, 문혁과 지청의 상산하향운동, 영화 기호학, 멜로드라마 장르, 디아스포라 작가에 대한 다양한 고찰은 중국학과 관련된 수업에서 강의교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교양의 차원에서 개설되는 강의에서 영화를 통하여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연구자는 2009년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여러 대학교에 출강하면서 교양과목인 <현대중국의 이해>와 <중국영화 맛보기>, 전공과목인 <중국연극과 영화>, <영상중국어> 등의 과목에서 중국영화와 대중문화에 대한 지식을 학생들에게 전달하였다. 만약 시간강사 지원 과제에 선정이 된다면, 연구 과제를 수행하면서 얻게 된 결과물을 학생들에게 더욱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
  • 색인어
  • 문화대혁명, 지식청년영화, 상흔, 노스탤지어, 소녀, 천욕, 미인초, 산사나무 아래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