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한국 EFL 대학생들의 온라인 영어 읽기 시 초인지 유도 전략 클러스터 사용에 끼치는 텍스트 읽기 정도의 영향
Effects of text difficulty on the use of metacogntion-driven strategy clusters in reading online texts in English by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시간강사지원사업
연구과제번호 2012S1A5B5A07037376
선정년도 2012 년
연구기간 1 년 (2012년 09월 01일 ~ 2013년 08월 31일)
연구책임자 김남희
연구수행기관 대구가톨릭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한국 대학생들이 영어로된 온라인 텍스트를 읽을 때 텍스트이 어려움의 정도에 따라 초인지 전략이 어떠한 다른 전략들과 함께-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 (metacognition-driven reading strategy cluster)-사용하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가진다.
    ① 온라인 텍스트의 어려움의 정도가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사용에 영향이 있는가?
    ② 온라인 텍스트의 어렵기의 정도가 어느 정도일 때 가장 초인지유도 클러스터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하는가?
    ③ 온라인 텍스트 어렵기의 정도와 클러스터의 이용에 영향을 끼쳐 궁극적으로 읽기 능력 수준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두 가지 중요한 활용방안을 가지고 있다.
    첫째,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는 2015년까지 초, 중, 고등의 교과서를 디지털 포멧으로 전환한다는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을 발표하였다. 초중고 학생들이 전통적인 종이 텍스트보다 컴퓨터상에서 읽기를 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된다. 디지털 포맷으로 텍스트들이 변경은 인터넷상에서 영어 읽기 자료들을 이용하는 기회가 급속하게 많아지게 할 것이다. 무한한 인터넷상의 읽기 자료들이 EFL 학생들의 영어 읽기에 적절한 수준의 온라인 영어 텍스트를 찾거나 개발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수준이 적절한 텍스트는 영어 읽기 이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초인지를 활발하게 활동하게 하고 초인지의 다른 전략을 함께 자유롭게 읽기 목적에 맞게 유용하게 사용한다.

    둘째 이 연구의 결과로 한국 대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들의 목록을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목록은 전략에 근거한 수업 (strategy-based instruction)시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는 유요한 교육자료로 이용되어 질 수 있다.
  • 연구요약
  • 이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혼합 연구방법(a mixed methods)을 이용한다. 특히 Creswell과 Clark (2007)의 설명적인 디자인 (explanatory design), 좀 더 세부적으로 후속 설명 모델 (follow-up explanation model)을 차용한다.

    양적연구의 겨우 한국에서 영어를 배우는 대학생들 90명이 참여한다. 이 참여자들은 텍스트의 읽기 수준이 다른 두 개의 영어 온라인 텍스트를 읽은 후 두 차례의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 조사지에 답을 하도록 한다. 이 2개의 온라인텍스트는 3가지 기준- 주제, 특징과 읽기 수준-을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온라인 텍스트의 첫 번째 기준은 텍스트의 주제이다. 다양한 배경전공을 가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이 전공과 상관없이 공통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함이 중요하다. 이는 특정 전공의 학생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함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 사용하게 될 읽기 텍스트의 주제는 “온난화 효과 (Greenhouse effect)” 이다. 또한 온라인 텍스트들은 설문지 질문 항목들의 전략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읽기 전략 질문지는 테이블, 표, 그림, 굵은 글씨체나 이탤릭체로된 글을 읽기 이해를 위해 이용하는가를 묻는 질문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징들 가지고 있는 온라인텍스트를 본 연구를 위해 이용한다. 무엇보다 온라인 텍스트를 선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기준은 텍스트의 읽기수준이다. 이 기준은 이 연구의 본 목적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Weaver와 Bryant (1995)는 텍스트의 어려움의 정도가 기억과정의 감독과 통제를 포함하는 초인지적 과정의 일종인 초기억 (metamemory)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연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대학생들의 경우 텍스트이 어려움의 정도가 대학생들의 읽기 수준과 일치하는 12등급일 때 그들의 초기억 능력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텍스트가 너무나 쉽거나 너무나 어려운 경우 그들의 초기억 능력을 예측하기 어려웠다 (p.16). 이들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읽기 수준이 다른 두 개의 온라인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우선 Weaver와 Brayant의 연구에서 보여준대로 대학생들의 읽기 수준과 일치하는 12등급정도의 읽기 수준의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독자들이므로 12등급보다 쉬운 읽기 수준 (7등급) 의 온라인 텍스트를 두 번째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될 온라인 읽기 텍스트는 세 가지 기준, 주제, 특징, 어려움 정도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2개의 온라인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온라인 읽기 어려움의 정도는 Flesh-Kincade 등급 수준으로 각각 13.2 와 6.9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를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서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에 관한 조사지”를 이용한다. 이 조사지는 Kim (2011)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되어 제작되었다. Kim(2011)는 한국 EFL 대학생들이 학문적인 목적으로 온라인 영어 읽기를 할 때 초인지 전략과 동시에 어떤 일반적인 읽기 전략을 사용하는지 즉,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들은 영어 읽기 능력별로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Kim (2011)의 연구 결과에서 상위 읽기 능력 그룹의 학생들이 보고한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를 바탕으로 본 연구 목적을 위한 설문지를 만들었다. 설문지는 총 65개의 질문항목들이 있으며 3개의 하위 그룹- 계획 (planning), 감독(monitoring), 평가 (evaluation)- 별로 각각 19, 29, 32,의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 질문 항목을 담고 있다. 설문지는 각 질문항목마다 1점은 “전혀 사용한 적이 없다”에서 5점 “항상 사용한다”중 선택하도록 하는 5점 리커트 척도유형의 설문지로 개발되었다.

    질적연구의 경우 양적연구 결과상 텍스트 어려움의 정도에 따른 초인지 유도 읽기 전략 클러스터의 이용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는 참여자들중 임의로 4명을 선정한다. 질적 연구 데이터 수집 시에 양적 데이터 수집 시 사용되었던 온난화에 관한 2개의 온라인 읽기 자료를 이용한다. 온라인 읽기를 하는 동안 참여자가 사용하는 전략을 말로서 표현하게 한다. 이러한 전략은 연구자가 관찰 가능할 수도 있지만 관찰 가능하지 않은 전략들을 알 수 있게 한다. 질적 연구 데이터 수집도 양적 연구 데이터 수집 절차와 마찬가지로 2번에 걸쳐 이루어진다. 질적 연구 데이터 수집시 모든 내용은 비디오로 녹화를 하게 된다.
  • 한글키워드
  • 초인지, 초인지 전략, 전략 클러스트, 온라인 읽기
  • 영문키워드
  • metacognition, metacognitive strategy, strategy cluster, online reading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학습자들이 온라인상의 영어 읽기 자료를 읽을 때 텍스트의 읽기의 정도에 따라 초인지 전략이 다른 읽기 전략들과 함께 사용하는 정도에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62명의 한국의 대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읽기 어려움의 정도가 다른 두 가지의 영어 텍스트를 읽고 초인지 전략을 사용할 때 다른 전략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를 묻는 설문조사에 답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한국 대학생들은 읽기의 어려움의 정도가 낮은 텍스트를 읽을 때 초인지 전략과 더불어 다른 전략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영어교사나 교수의 경우 영어 학습자들을 위하여 영어 읽기 자료를 선택을 할 때 텍스트의 어려움의 정도를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초인지를 활성화하고 더 나은 읽기 이해를 위해 더 많은 전략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text difficulty makes an effect on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used along with metacognition when EFL readers read online texts. A total of sixty two EFL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sking what other reading strategies were used along with metacognitive reading strategies when they were reading two online texts with different text difficul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showed more other reading strategies when reading the text with lower text difficulty. It showed that English instructors should consider text difficulty when choosing English reading materials for their target students to activate metacognition more actively and then make more use of reading strategies for better reading comprehension.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학습자들이 온라인상의 영어 읽기 자료를 읽을 때 텍스트의 읽기의 정도에 따라 초인지 읽기 전략 클러스트의 사용에 영향을 끼치는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62명의 한국의 대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읽기 어려움의 정도가 다른 두 가지의 영어 텍스트를 읽고 초인지 전략을 사용할 때 다른 전략을 어느 정도 사용하는지를 묻는 설문조사에 답을 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한국 대학생들은 읽기의 어려움의 정도가 낮은 텍스트를 읽을 때 초인지 전략과 더불어 다른 전략들을 사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영어교사나 교수의 경우 영어 학습자들을 위하여 영어 읽기 자료를 선택을 할 때 텍스트의 어려움의 정도를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초인지를 활성화하고 더 나은 읽기 이해를 위해 더 많은 전략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을 보여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어 학습자들이 두 개의 다른 읽기 어려움의 정도를 가진 텍스트를 읽을 때 초인지 읽기 전략 클러스의 사용의 빈도가 달라짐을 보여주었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의 경우 읽기 어려움의 정도가 낮은 텍스트를 읽을 때 초인지 읽기 전략 클러스를 더 많이 사용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초인지의 경우 영어 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 영어 학습 특히 영어 읽기를 할 때 초인지를 더욱 활성화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영어 교수자의 입장에서는 영어 읽기 수업을 할 때 읽기 자료 선택 시 해당 학생들이 초인지 능력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적절한 영어 텍스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색인어
  • 초인지 전략, 텍스트의 어려움의 정도, 읽기 전략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