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N-D 생태계와 콘텐츠 융복합: 복잡계이론 관점에서 Contents-Platform-Network-Device Ecological System and Contents Conver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lexity Theory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으로 IT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이들이 서로 융합되는 환경하에서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인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어떠한 진흥체계와 거버넌스 구조를 가져가느냐에 따라 무한경쟁, 글로벌 ...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으로 IT 패러다임이 확산되고, 이들이 서로 융합되는 환경하에서 콘텐츠의 전략적 가치가 더욱 증가하고 있다. 비즈니스 모델의 핵심인 콘텐츠산업 육성을 위해 어떠한 진흥체계와 거버넌스 구조를 가져가느냐에 따라 무한경쟁, 글로벌 시대에 국가경쟁력이 좌우될 수 있다. 애플, 구글 등 글로벌 기업들과 선진국들은 콘텐츠와 서비스, 기기를 연계 또는 제휴하는 전략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콘텐츠산업 환경은 플랫폼 사업자 등 유통의 힘의 우위가 지속 되면서 불공정 거래 관행 고착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상생 협력 체계가 부족한 상황이다. 그러나 콘텐츠산업을 IT산업을 이을 국가 성장동력산업으로 육성할 범정부 차원의 전략적 육성과 추진사업은 미약하고, 대형 국책사업 등의 투자에 비해 콘텐츠산업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2011년 콘텐츠 분야 지원은 국가전체예산의 0.2%수준에 불과하여 기존 자동차, IT 등 국가전략산업의 재정투입 비율(2~7%)에 크게 미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사회 간접자본(SOC) 중심투자에서 콘텐츠산업 부분에 국가재정 및 민간 자본을 집중 투입할 필요성이 있다. 콘텐츠정책 진흥체제의 업무통합․조정은 단기적인, 정략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포괄적이고 중장기적인 안목에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콘텐츠의 핵심가치를 분석하고, 현재 논의되고 있는 ICT 거버넌스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 후 콘텐츠산업 생태계 조성․강화를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플랫폼, 네트워크 (인터넷) 중심의 콘텐츠(C)-플랫폼(P)-네트워크(N)-디바이스(D) 부문의 수평적 통합이 지닌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포괄하는 거시적 개념으로서 콘텐츠 중심의 ‘콘텐츠산업 생태계(c-P-N-D에서 C-p-n-d로의 진화)’의 근거 논리를 전개하고자 한다. 특히 C-P-N-D ICT 거버넌스에 관한 이제까지의 논의는 C-P-N-D ICT 생태계가 복잡계이론의 특성을 보이고 있음에도 이에 관한 분석이 없었다는 점에서 융복합 관점인 복잡계이론 관점에서 분석하려는 시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기대효과
어느 한 국가의 국력 (national power)을 말할 때 군사적 제국주의 (military imperialism) 시대에는 군사력이, 경제적 제국주의 (economic imperialism) 시대에는 경제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제 정보시대를 넘어 문화와 창조의 시대에는 문화력, 즉 cultural powe ...
어느 한 국가의 국력 (national power)을 말할 때 군사적 제국주의 (military imperialism) 시대에는 군사력이, 경제적 제국주의 (economic imperialism) 시대에는 경제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이제 정보시대를 넘어 문화와 창조의 시대에는 문화력, 즉 cultural power가 주요한 국력의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지난 20여년이 ICT 중심의 성장전략 시대인 정보사회였다면 이제는 IT를 기반으로 부가가치가 큰 창조산업 (creative industries), 즉 문화를 바탕으로 한 창조적 성장전략 시대인 창조사회라 할 수 있다. 또한 요즈음 싸이나 K-Pop 등이 주도하고 있는 한류등의 문화력이 정보기술력과 결합된다면 엄청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와 같은 소프트파워는 한국의 국격과 국가 브랜드 이미지등을 높일 수 있는 첩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IT 업계나 학계에서는 C-P-N-D ICT 거버넌스만 강조하고 정작 중요한 문화 컨텐츠는 경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진정으로 국력을 향상하려면 ICT를 바탕으로한 정보력과 콘텐츠를 바탕으로 하는 문화력이 융합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
연구요약
싸이의 성공은 뮤직 비디오 강남스타일등의 콘텐츠가 유튜브등의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 사례이다. 이해하기 쉬운 예를 들어보자. 만일 당신이 엄청 빠른 속도의 인터네트 즉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고, 1000만원 상당의 한정판 iPAD 즉 디바이스 ...
싸이의 성공은 뮤직 비디오 강남스타일등의 콘텐츠가 유튜브등의 플랫폼을 통해 유통되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한 사례이다. 이해하기 쉬운 예를 들어보자. 만일 당신이 엄청 빠른 속도의 인터네트 즉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고, 1000만원 상당의 한정판 iPAD 즉 디바이스를 가지고 있다고 하자. 하지만 이렇게 훌륭한 기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콘텐츠가 없다면 별 효용이 없을 것이다. 콘텐츠(C)를 중심으로 하는 ‘콘텐츠산업 생태계(C-p-n-d)는 콘텐츠(C), 플랫폼(P), 네트워크(N), 디바이스(D)를 문화생태계로 묶고, 인적 창의성과 문화기술, 다양성, 문화적 축적이 요구되는 콘텐츠(C) 창작을 초점으로 하여 플랫폼(P), 네트워크(N), 디바이스(D) 등의 유통, 소비체제를 통합하는 방안이다. 따라서 C-p-n-d 중심의 콘텐츠 산업 생태계가 조성되어야만 플랫폼 경쟁시대에서 SW 및 ICT서비스 경쟁력은 강화될 수 있다. 콘텐츠산업 생태계는 문화체육관광부의 주요 기능인 문화예술, 저작권, 문화기술 등을 매개로 하여 콘텐츠의 창조뿐만 아니라 유통체제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더 나아가 ICT 생태계(c-P-N-D)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이는 콘텐츠(C) 생태계의 범주 내에 ICT 생태계(c-P-N-D)가 함께 포함되는 의미 융합의 본격화 이전부터 정립되어 있던 가치사슬모델(c-P-N-D → C-p-n-d)이 변화하는 것이다. 로서 통신, 방송 등 제 분야가 콘텐츠(C)를 중심으로 융합되고, 콘텐츠(C)를 중심으로 C-p-n-d가 결합되어 상호작용이 본격화되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