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대학 국제화 과정과 전개에 대한 비판적 분석: 대학 구성원의 경험과 행위전략을 중심으로
A critical analysis on the process and development of international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the experience and strategy of university members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4078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민경
연구수행기관 대구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이 연구는 한국 대학 국제화의 의의와 한계를 대학 구성원들인 교수들과 학생들의 경험과 행위전략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980년 이후 서구사회를 시작으로 가파르게 진행되어 왔던 신자유주의적 글로벌 담론은 국내에도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해 왔다. 세계화는 서구사회에서 경제적인 영역을 중심으로 1980년대 이후 전개되어 왔지만 그 영향력은 경제적인 영역을 넘어 문화, 사회, 교육, 정치 등 국가와 사회, 개인의 차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미치고 있다.교육의 장에서도 세계화에 대한 대응방식으로서 다양한 차원의 이론적, 실천적 논의와 모색이 이루어져 왔다. ‘교육 국제화’, ‘글로벌 경쟁력’, ‘글로벌 인재’ '글로벌 역량' 등 세계화, 국제화를 둘러싼 한국사회 교육담론들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기반하고 있다.지난 10여 년간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는 국제간 협력과 경쟁력 강화 등 고등교육의 성장과 변화를 견인시켜 온 것이 사실이다. 영어강좌의 확대, 외국인 유학생과 교수 영입으로 인한 대학인적 구성원의 글로벌화, 교환학생과 해외 인턴십 프로그램 등 대학간 국제 교류의 확대, 국제학술대회 등 연구의 국제교류, 국제화를 테마로 한 제2캠퍼스 설립에 이르기까지 대학의 국제화는 양적 질적으로 팽창되고 심화되어 왔다. 그러나 국제화의 의의와 목적, 그리고 각 대학 현실에 알맞은 형태로 추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 목소리도 높다. 이 연구는 대학 국제화의 중심적 행위자인 교수들과 학생들은 대학 국제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는지, 자신들의 개인적 삶과 연관하여 어떤 변화를 가져왔고, 이를 어떻게 의미화 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대학 국제화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학 국제화를 당위적인 사안으로 전제하고, 국제화를 위한 방법이나 조건 등에 대해 주로 연구관심을 기울여 왔다. 따라서 대학국제화의 실질적인 주체이자 대상인 대학구성원들은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해석하는지, 그리고 어떤 행위전략을 구사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처럼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행위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한국 대학국제화의 현주소를 비판적으로 성찰함으로써 보다 바람직한 대학 국제화 방향성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대학국제화가 주요 행위자에게 어떤 의미를 구성하고 있는지 밝히는 일은 고등교육 국제화에 대한 일반적이고 거시적인 접근이 간과할 수 있는 경험적 현상으로서 의의와 한계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대학의 국제화 현상과 결과를 경험적으로 검토하여 대학에서의 국제화 방향성을 재조정하고 비전을 재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연구요약
  • 이 연구는 대학 국제화의 의의와 한계를 행위자들의 경험과 해석에 의해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대학 국제화의 주체이자 대상인 행위자들은 글로벌, 국제화 담론을 어떻게 해석하고 경험하는지를 탐구하여 신자유주의적 글로벌 담론에 의한 대학국제화가 이들에게 작동되는 방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질문과 목적은 해석학적 관점에 기반을 둔 경험적 연구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에 위치한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여 행위자적 측면에서 대학의 국제화 과정에 전개에 대한 의의와 한계를 분석할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이 연구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고등교육체제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을 제도적, 구조적 차원을 엄어 행위자들의 경험과 해석에 의해 분석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대학구성원인 교수들과 학생들을 심층인터뷰하여 그동안 한국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를 어떻게 개념화 하고 경험했는지를 탐구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과정과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국제화를 둘러싼 국내외 연구문헌과 실천적 전략을 분석하여 대학국제화 흐름과 전재과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서울과 지방 대학에 재직중인 대학교수들을 인터뷰하여 대학국제화 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인적인 대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을 인터뷰하여 대학국제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의미화하는지를 고찰하였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scourse and reality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by the experience of actors,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That aims to discuss the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focusing on how university professors and students make sense of their own experience in a global context where the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 overwhelms as a dominant discourse and policy. Based on the result, I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internationalization in the Korean university context..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이 연구는 세계화의 진전으로 인한 고등교육체제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 한국사회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 담론과 현실을 제도적, 구조적 차원을 엄어 행위자들의 경험과 해석에 의해 분석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대학구성원인 교수들과 학생들을 심층인터뷰하여 그동안 한국에서 진행되어 온 대학국제화를 어떻게 개념화 하고 경험했는지를 탐구하여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과정과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국제화를 둘러싼 국내외 연구문헌과 실천적 전략을 분석하여 대학국제화 흐름과 전재과정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서울과 지방 대학에 재직중인 대학교수들을 인터뷰하여 대학국제화 정책에 대한 평가와 개인적인 대응전략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생들을 인터뷰하여 대학국제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의미화하는지를 고찰하였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이 연구는 대학국제화에 대한 연구가 주로 제도적, 구조적 차원에서만 이루어지고, 구체적인 행위자들이 이를 어떻게 경험하고 의미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현실을 감안할 때 대학구제화 담론을 거시적인 정책적 차원 뿐 만 아니라 미시적 경험에 의해 그 의의와 한계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연구결과, 한국사회에서 이루어져 온 대학국제화 담론은 주로 양적 평가에 의해서 주도되고, 구성원들의 합의과정이 생략되면서 대학구성원인 행위자들이 대학현장에서 경험하는 방식은 정책적 방향성과 다르게 드러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국제화 방향성을 재조정하고 비전을 검토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색인어
  • 대학국제화, 세계화, 대학교수, 대학생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