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성과물검색
유형별/분류별 연구성과물 검색
HOME ICON HOME > 연구과제 검색 > 연구과제 상세정보

연구과제 상세정보

원격화상교육을 통한 영어교육과 (예비) 교사 교육: 서울 및 수도권 지역 중심으로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for English Education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eoul-Kyonggi Metropolitan Area
  • 연구자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지원시스템에 직접 입력한 정보입니다.
사업명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지원년도 신청 요강 보기 지원년도 신청요강 한글파일 지원년도 신청요강 PDF파일 ]
연구과제번호 2013S1A5A8026113
선정년도 2013 년
연구기간 1 년 (2013년 05월 01일 ~ 2014년 04월 30일)
연구책임자 이현주
연구수행기관 경기대학교
과제진행현황 종료
과제신청시 연구개요
  •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째 초등학교 중심의 원격화상을 통한 영어 교육의 다양성 확보와 질적인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는 것이며, 둘째 대학에서 활용 가능한 원격화상 교육을 통해 새로운 교사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혁신적 교수법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원격화상의 새로운 영어 교육적 방법을 통해 저소득 및 소외 계층의 초등학생들은 새로운 영어교육의 기회를 갖고 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소득 격차로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영어 교육의 기회 제한을 상대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의 영어 실력 향상과 함께 영어교육을 통해 사회 통합적인 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측면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교육적 현실 가운데 글로벌 인재 양성과 학교 교육의 중요성은 끊임없이 강조되어 왔다. 이를 둘러싼 지역간, 학교간의 격차를 줄이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공교육 활성화 및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노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한 사교육 시장은 여러 가지 모양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지역별 학생들의 영어 능력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한국의 교육 현실 속에서 실질적으로 영어 교육은 이미 취학전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초, 중, 고등학생들의 영어교과목에 대한 사교육 시장의 의존도는 상대적으로 다른 과목들 보다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실은 저소득층이나 사회 소외 계층의 학생들과 같이 다양한 영어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학생들에게는 교육적 소외와 기회의 불균형으로 다가오고 있다. 특히 요즘 대두되고 있는 다문화권 학생들과 탈북자 자녀들의 영어교육 기회의 불균형과 영어 실력의 차이는 차후의 대학 진학 및 취업 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사회적 계층 문제(social status)로 이어지는 문제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여지가 있다(최서연, 2012; Pennycook, 1994).
    다른 한편으로 교사 교육적 측면에서 볼 때, 현재 새로운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교육적 환경을 만들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발달은 많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교사들의 역량 개발에 큰 도전을 준다.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발달로 비디오를 이용한 화상교육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도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Müller-Hartmann, 2006). Warschauer (1997)는 이러한 원격협동을 통한 교육에 사용되는 도구를 통해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electronic literacy’를 익힐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이런 원격협동을 통한 문화교류에 사용되는 매체에 대한 인식을 높힐 수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의 수단과 방법을 통해 신기술에 대한 직접적인 사용과 이해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O'Dowd(2007)는 원격협동 교육에서 비디오컨퍼런싱을 포함한 다양한 인터넷 통신 수단이 학습자들의 교육적인 성취도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즉, 인간은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도구 및 물질에 대해 영향을 받기에 어떠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는 가에 따라 학습적 성취도와 결과도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Wang(2004)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비디오컨퍼런싱을 논하면서 외국어 교육에서 상호작용은 깊이 있는 수준의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통신 기술의 진보로 구두 및 시각적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컨퍼런싱은 얼굴 표정과 몸의 움직임과 같은 준 언어적인 요소(paralinguistic cues)를 전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고 불안감을 줄여 목표어를 학습에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 후 연구에서 이와 같이, 최근에 사용되는 일대일 비디오컨퍼런싱 도구는 동시적 채팅, 파일 교환, 컴퓨터 스크린의 활용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이를 실질적인 교사 교육에 활용하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원격화상교육을 활용한 교사 교육과 소외 계층 교육의 확대에 활용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학생 교사들과 교육 복지를 위해 소외 계층의 초,중등학생과 연계한 연구는 드물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비디오컨퍼런싱을 통해 한국의 교육적 현실에서 소외되는 초등학생들(서울 및 수도권 지역 중심으로)과 서울 수도권 지역의 영어 교육 관련 대학(원)생 교사를 일대일로 연결하여 학습자의 영어 능력 향상 도모와 교육 복지의 방안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교육 모형으로 영어 교육 관련 대학(원)생 교사의 새로운 교사 교육의 방안으로 교사들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 효과는 효과적인 영어 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제시와 함께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한 저소득/소외 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 확대와 사회 통합적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사회적 효과로 저소득 및 소외 계층의 초등학생들에게 일대일의 양질의 영어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간의 영어교육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및 대학교의 기반 시설을 활용하여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학생들이 부담하는 비용이나 사회적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들면서도 바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여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모형은 1차적으로 영어 교육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에서 증등학생으로 대상을 확대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성과를 보고 다른 교과목(국어, 수학 등)으로 확대할 수도 있다. 또한 (예비) 교사들에게는 다양한 학습 현장을 경험해 보고 실제로 학교 수업과 같은 실습을 해 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므로 예비 교사 인력 양성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대학생들에게도 기존의 교실을 중심으로 한 면대면 학습 방법과는 다른 교육적 성과를 이룰 수 있기에 다양한 교수법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학생들의 다각적인 사회 봉사, 교육 기부의 모형이 될 수 것으며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에 대한 체험적 경험이 진정한 교사의 모습을 만들어 가는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학술적으로 교사 교육의 새로운 측면으로 테크놀로지 활용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예비 및 현직 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영어교육을 할 만한 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았고, 이에 대한 연구도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어과 교재 등에서 이론적으로 다루어진 테크놀로지 사용의 한 부분인 원격화상 교육을 대학생들이 실제로 경험하고 초등학생들과 이루어진 수업 및 학습 효과에 대한 결과를 여러 가지 방면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면밀히 살펴보는 것으로 새로운 학문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요약
  • 본 연구는 인터넷 기반의 원격화상(videoconferencing)교육을 통해 저소득 및 소외 계층 초등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과 함께 대학(원)생 (예비)교사들이 새로운 영어 교육 현장에 대한 경험과 교수법을 익히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영어교육 환경은 학습자 및 학생 교사 모두에게 상당히 새로운 교육 환경이기에 학습자와 학생 교사 모두를 위하여 1차와 2차 연구를 통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영어교육환경이 교육 복지 및 사회 통합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먼저 저소득 및 소외 계층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이다. 서울 및 경기지역 일대의 1~2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수업 시간 및 가정 통신문 등의 공고를 통해 약 10~12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초등학생들 중에 대학(원)생 교사와 일대일 원격화상교육을 통해 말하기 및 쓰기 영어 능력 향상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예비) 교사들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 대학 소속의 학부 및 대학원생 가운데 영어 교육 관련 학과의 학생 10~12명으로 구성한다. 이 지역의 1~2개 대학에 공고하여 본 연구에 관심있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는 주로 초등학생들의 특기 적성 시간이나 주말 특화 시간을 활용하여 일주일에 한 시간씩, 1~2회 일대일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할 수 있도록 한다. 2) 연구 내용
    먼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 가운데 저소득 및 사회 소외 계층의 원격화상영어교육에 대한 이해와 연구 참여 기회에 대한 홍보를 실시한다. 이 후 관심 학교 등을 대상으로 특기 적성 활동 시간 및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개별적으로 새로운 영어 교육을 무상으로 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영어 교육 관련 학부 및 대학원생들에게 사회 봉사 및 교육기부에 대한 안내를 하고 본 연구의 취지 및 방법, 기대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원격화상 영어교육의 방법 및 무료 화상 프로그램인 스카이프 활용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한다. 초등학생 및 대학생 교사들은 각자의 학교의 컴퓨터실에서 기본적인 원격화상 영어교육에 대한 설명을 듣고, 헤드셋 및 웹카메라 등의 장비가 필요한 학생에게는 개별적으로 지원받는다.
    원격화상 영어 교육의 1차 운영(2013년 9~12)하고, 이에 대해 방법과 과정 등에서 보완할 사항이 있으면 수정(2014년 1~2월)하여 2차 시범 연구(2014년 3~4월)를 실시한다.
    3)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인 초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교수-학습법, 생각 및 태도의 변화, 영어 교육적 성과를 고려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하여 다각적인 연구 방법을 사용한다. 첫째, 객관적인 대학(원)생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 교수-학습의 효과 및 반응 등을 살펴보기 위하여 매주 실시되는 원격화상 영어교육에 대한 수업을 컴퓨터를 통해 비디오 저장 녹화하고 이 후 수업 비디오 자료를 분석한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비디오컨퍼런싱 수업에 대한 반응 및 태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비디오 녹화된 수업 자료를 면밀히 관찰하고, 면접법을 통한 대화로 새로운 연구모형에 대한 학생들의 생각을 조사한다. 면접을 통한 대화는 차후 체계적인 담화 분석을 위하여 비디오 녹화한다. 셋째, 본 연구는 대학(원)생 연구대상자의 새로운 영어 교육 방법에 대한 반응과 교수법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위하여 설문조사, 비디오 녹화를 통한 심층 면접, 학생 교사들의 개인 저널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다양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학습자와 교사와의 상호작용 및 영어 학습의 효과를 세세한 부분까지 심도있게 살펴보고자 마이크로 민족문화적 접근(microethnographic approach)을 통한 담화적 분석(discourse analysis)의 방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4) 연구 결과 활용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영어 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제시와 함께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한 저소득/소외 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 확대와 사회 통합적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사회적 효과로 저소득 및 소외 계층의 초등학생들에게 일대일의 양질의 영어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간의 영어교육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및 대학교의 기반 시설을 활용하여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학생들이 부담하는 비용이나 사회적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들면서도 바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여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결과보고시 연구요약문
  • 국문
  • 본 연구는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교육의 일환인 원격화상 교육의 방법으로 대학과 지역 초등학교를 연계한 영어 화상 교육의 성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1) 초등학교 중심의 원격화상을 통한 영어 교육의 다양성 확보와 질적인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는 것이며, 2) 대학에서 활용 가능한 원격화상 교육을 통해 새로운 교사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혁신적인 교수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수도권 지역의 K대학교와 N초등학교를 연계하여 인터넷 기반의 일대일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실시하였으며, N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들과 K대학교의 대학(원)생 가운데 영어교육에 관심있는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1차 시범 연구(2013년 9월-12월)와 2차 시범 연구(2014년 3월-4월)로 진행되었으며, 각 그룹 당 10-11명씩 참여하였다. 각 학교의 컴퓨터실에서 1주일에 1회씩,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매 회당 1시간 정도 진행하였다. 초등학생 및 대학(원)생 교사들을 원격 화상으로 연결한 새로운 방법의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원격화상교육 내용 녹화, (예비) 교사들의 저널쓰기(journal writing), 설문조사, 심층 면담, 화상수업의 녹화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대학(원)생 중심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원격화상 영어교육은 (예비) 교사들의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을 향상시켜주고 가르치는 행위에 대한 교수(teaching)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며 학생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 중심의 연구 결과에서는 학생들은 처음 접해보는 영어교육적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원격화상 영어교육적 모델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영어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들의 읽기 능력, 문법이해 능력, 쓰기 능력, 단어 및 새로운 표현을 익히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 교사들의 집중적인 지도와 관심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 컴퓨터 및 기기 사용에 대한 미숙으로 서로간의 연결에 다소 어려움을 겪었으므로 향후 연구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영문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outcomes of a new model of internet-based videoconferencing between college-level students (including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new educational model is an effective way in terms of providing good language learning opportun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and of training teachers by using new educational technology. To this end, two small experiments (in September-December. 2013 and March-April, 2014) were conducted with 10-11 participants from each group of elementary and college students, one hour per week. The date collection consists of interviews, survey questionnaires, journal writing and recordings of videoconferencing s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new internet-based videoconferening model can foster pre-service teachers’ improvement of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skills and can create a student-centered and customized language learning environment. Also, as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with elementary school participants indicate, they show a great deal of satisfaction of the new learning model and English language development, particularly in reading, writing, grammar, vocabulary and expressions. However, there were some technical difficulties in connecting with their counterparts at the beginning stage.


연구결과보고서
  • 초록
  • 본 연구는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 교육의 일환인 원격화상 교육의 방법으로 대학과 지역 초등학교를 연계한 영어 화상 교육의 성과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1) 초등학교 중심의 원격화상을 통한 영어 교육의 다양성 확보와 질적인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교육 모형을 제시한다는 것이며, 2) 대학에서 활용 가능한 원격화상 교육을 통해 새로운 교사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혁신적인 교수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원격화상의 새로운 영어 교육적 방법은 저소득 및 소외 계층의 학생들에게 새로운 영어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며 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 소득 격차로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영어 교육의 기회 제한을 상대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의 영어 실력 향상과 함께 영어교육을 통한 사회 통합적인 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측면에서 고무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수도권 지역의 K대학교와 N초등학교를 연계하여 인터넷 기반의 일대일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실시하였으며, N초등학교의 5-6학년 학생들과 K대학교의 대학(원)생 가운데 영어교육에 관심있는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1차 시범 연구(2013년 9월-12월)와 2차 시범 연구(2014년 3월-4월)로 진행되었으며, 각 그룹 당 10-11명씩 참여하였다. 각 학교의 컴퓨터실에서 1주일에 1회씩, 방과후 시간을 활용하여 매 회당 1시간 정도 진행하였다. 초등학생들은 간단한 인터뷰 및 테스트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수준을 평가하여 교재의 난이도와 영어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화상교육을 위한 기계적 시스템으로는 스카이프(Skype)를 사용하였다.
    초등학생 및 대학(원)생 교사들을 원격 화상으로 연결한 새로운 방법의 교수-학습 방법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원격화상교육 내용 녹화, (예비) 교사들의 저널쓰기(journal writing), 설문조사, 심층 면담, 화상수업의 녹화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대학(원)생 중심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원격화상 영어교육은 (예비) 교사들의 교사효능감(teacher efficacy)을 향상시켜주고 가르치는 행위에 대한 교수(teaching)적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대일 원격화상 영어교육 모형은 (예비) 교사들이 어린 학생들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며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 방법 스스로 생각하고 계획하도록 하여 교사로의 자신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또한 대학생 교사들은 원격화상 영어 수업을 통해 교수행위와 학생들의 학습 성취간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직접 체험할 수 있었고, 교사의 수업 준비와 열정이 학습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습득하게 되었다. 또한, 일대일 원격화상 영어교육이 모형은 학생 중심의 맞춤형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 수업 설계가 가능하여 현재 교육적 구조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초등학생 중심의 연구 결과에서는 학생들은 처음 접해보는 영어교육적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원격화상 영어교육적 모델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었다.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영어 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들의 읽기 능력, 문법이해 능력, 쓰기 능력, 단어 및 새로운 표현을 익히는데 도움이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생 교사들의 집중적인 지도와 관심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 컴퓨터 및 기기 사용에 대한 미숙으로 서로간의 연결에 다소 어려움을 겪었으므로 향후 연구를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 연구결과 및 활용방안
  •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영어 교육에 대한 새로운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제시와 함께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한 저소득·소외 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 확대와 사회 통합적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먼저, 사회적 효과로 저소득 및 소외 계층의 초등학생들에게 일대일의 양질의 영어 교육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간의 영어교육 격차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초등학교 및 대학교의 기반 시설을 활용하여 원격화상 영어교육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부담하는 비용이나 사회적 비용이 비교적 적게 들면서도 바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여건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장점으로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육적 모형은 먼저 교사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위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예비) 교사들은 원격화상 영어교육의 방법을 통해 교사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교수적 능력을 배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선행 연구에서 나타나듯이,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일수록 학생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지하고 학생 및 수업에 대한 몰입도가 높으며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교사효능감은 교사교육 당시 많은 부분 형성되기에 보다 바람직하고 진취적인 교사교육을 위해 원격화상 영어 교육적 모형을 교사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초등학생 대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이러한 교육적 모형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차적으로 영어 교육을 중심으로 대상을 초등학생에서 증등학생으로 확대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성과를 보고 다른 교과목(국어, 수학 등)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색인어
  • 원격화상 영어교육, 교사교육, 초등영어, 교사효능감, 교육소외
  • 연구성과물 목록
데이터를 로딩중 입니다.
데이터 이용 만족도
자료이용후 의견
입력